<독전>은 왜 15세 관람가일까? 관람 등급에 관한 이모저모

300만 관객을 돌파하며 꾸준히 흥행몰이 중인 <독전>. 아마 영화를 본 관객들 중에는 이 영화가 15세 관람가라는 사실이 의아한 관객들도 있을 것이다. 마약을 주요 소재로 한 데다 노출 수위도 꽤 높았기 때문. 예전부터 15세 관람가와 청소년 관람불가 영화의 경계는 늘 애매하게 느껴졌다. 이번 주 ‘알쓸신잡’에서는 이런 애매하고 어렴풋이 알고 있던 영화 관람 등급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 참고 자료: 영상물등급위원회 홈페이지)


15세 관람가와 청소년 관람불가를 가르는 기준은?



15세 관람가 <독전>의 관람 등급 평가 기준


청소년 관람불가 <데드풀 2>의 관람 등급 평가 기준

국내 관람 등급 기준은 총 다섯 개 등급으로 분류된다. 전체관람가, 12세 이상 관람가, 15세 이상 관람가, 청소년 관람불가, 제한 상영가가 있다. 단, 12세 관람가부터 15세 이상 관람가까지는 보호자가 동반한다면 연령이 낮아도 볼 수 있다. 반면 청소년 관람불가는 청소년 관람이 아예 불가하다. 이 등급은 위 표에 그려진 주제, 선정성, 폭력성, 대사, 공포, 약물, 모방위험 등 7가지 기준 등에 의해 나뉜다.

‘전체 관람가’는 ‘사회, 가족의 긍정적 가치와 의미를 담아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 권선징악 뚜렷, 아동에게 위협을 느끼게 하는 유해한 내용 없는 것’이 기준이다. ‘12세 관람가’는 ‘범죄에 대한 해결방안과 사회적 메시지의 표현, 폭력의 가해자를 영웅시하거나 가해 행위를 미화하지 않는 것, 불합리한 사회적 현실 비판을 자극적으로 접근하지 않은 것’이 기준이다. ‘제한 상영가’의 경우는 ‘청소년 관람 불가’ 이상으로 선정성, 폭력성 등의 표현이 과해 국민 정서를 해할 우려가 있어 상영과 광고 선전에 제한이 필요하다 판단된 영화들에게 내리는 등급이다.

이 포스트에서는 아무래도 주민등록증을 통해 관람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가장 민감한 등급인 ‘15세 관람가’와 ‘청소년 관람 불가’를 보다 중점적으로 비교해 소개하려 한다.

<독전>, <데드풀2> 포스터

<주제>
15세 – 범죄, 폭력, 청소년 비행, 성적 문란 등을 미화하거나 정당화하지 않는 것.
청불 – 사회적 가치, 통념에 반하는 내용. 장애인 등 특정인의 권리를 적나라하게 훼손.

<선정성>
15세 – 상반신 노출, 옆·뒷면의 전신 노출이 간결하고 짧게. 근친상간, 성매매 등 사회윤리에 어긋나는 성적 행위가 없는 것.
청불 – 직접적 신체 노출, 성적 행위가 구체적·지속적·노골적.

<폭력성>
15세 – 신체 손괴 등 폭력적 행동이 지속적이고 구체적이지 않은 것, 폭력을 옹호하거나 정당성 강조하지 않은 것. 살인, 살상 행위가 등장해도 그 주체나 대상이 국가나 사회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경우.
청불 – 신체 손괴 등 폭력적 행동이 구체적, 직접적, 노골적인 것. 성폭력이 구체적이고 직접적.

<대사>
15세 – 동물과 성적인 형태소 관련 욕설이 반복적, 지속적으로 표현되지 않은 것.
청불 – 자극적이고 혐오스러운 성적 표현, 정서적·인격적 모욕감 수치심 유발의 욕설, 저속어 등이 반복 지속적.

<공포>
15세 – 불안감 주는 장면, 음향, 시각 효과 등이 지속적이고 구체적이지 않은 것.
청불 – 불안감 주는 장면, 음향, 시각 효과 등이 사실적, 자극적, 지속적인 것.

<약물>
15세 – 음주, 흡연 장면이 반복적, 지속적, 구체적이지 않은 것. 약물 사용 등장 가능하나 미화, 조장하지 않는 것. 약물 제조 과정을 구체적이고 자세히 묘사하지 않은 것.
청불 – 전체적 맥락과 당위성 없이 음주, 흡연 장면이 지속 반복적인 것. 마약 등 불법 약물 제조, 이용방법이 구체적이고 사실적.

<모방 위험>
15세 – 자살, 폭력, 비행 등을 정당화하거나 영웅시하지 않을 것.
청불 – 자살, 폭력, 비행, 범죄 등의 수단과 방법이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것.

결론적으로 얼마나 지속적, 구체적으로 보여 주느냐와 비윤리적인 행동이나 상황을 정당화하고 미화하느냐에 대한 부분에서 15세 관람가와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이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독전>은 폭력 묘사와 마약 불법 제조 및 거래에 대한 내용도 빈번하지만 제한적으로 묘사되었다는 점에서 15세 관람가 등급을 받았다.

독전

감독
이해영

출연
조진웅, 류준열, 김주혁, 김성령, 박해준

개봉
2018 한국

상세보기

데드풀 2

감독
데이빗 레이치

출연
라이언 레이놀즈, 조슈 브롤린, 재지 비츠, 모레나 바카린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미국에선 R등급, 한국에선 전체 관람가?

미국의 영화 등급 역시 다섯 개로 나뉜다. G(전체관람가), PG(부모 동반 전체관람가), PG-13(부모 동반 13세 이상 관람가), R(부모 동반 17세 이상 관람가), NC-17(청소년 관람불가)로 구분된다. 등급 분류 위원들을 모두 5~17세 자녀를 둔 부모로 구성할 정도로 부모의 역할을 강조해 등급을 나눈다고 한다. 인터넷 영화데이터베이스 IMDb에는 각 영화별로 부모 관객을 위한 가이드도 올려져 있다.



<디올 앤 아이>

막연히 미국이니까 표현 수위에 있어 한국보다 모든 면에서 자유로울 것이라 짐작할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전체관람가 판정을 받았지만 미국에선 17세 이상인 R등급 판정을 받은 사례도 있었다. 바로 프랑스 다큐멘터리 영화 <디올 앤 아이>. 디올 사의 수석 디자이너가 된 남성복 디자이너 라프 시몬스가 이끌어낸 디자인 혁신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로 국내에서는 건전한 가치관 형성을 저해하는 부적절한 표현이 없거나 매우 약하다는 이유로 전체관람가 등급을 받았다. 반면 미국에서는 ‘f**k’ 등 강한 욕설 사용을 이유로 R등급을 받았다.

디올 앤 아이

감독
프레데릭 청

출연
라프 시몬스, 마리옹 꼬띠아르, 안나 윈투어, 시드니 톨레다노, 피터 뮤리에르, 이자벨 위페르, 제니퍼 로렌스, 샤론 스톤, 도나텔라 베르사체, 하비 웨인스타인

개봉
2014 프랑스

상세보기


한국에선 청소년 관람불가, 프랑스에선 12세 관람가?

국내에서는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았던 영화 <아가씨>와 <가장 따뜻한 색, 블루>는 프랑스에서는 의외로 12세 관람가 등급을 받았다. 두 영화의 섹스 신들이 폭력으로부터 해방된 것이고 눈요깃거리로 묘사하려는 의도를 찾아볼 수 없으며, 영화가 다루는 주제와 조화롭게 부합하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 국내에서 <아가씨>는 성적 행위, 신체 손괴 장면 등이 거칠고 자극적으로 표현되었다는 이유로 7가지 기준에서 전부 ‘높음’ 단계를 받았다.  

아가씨

감독
박찬욱

출연
김민희, 김태리, 하정우, 조진웅

개봉
2016 대한민국

상세보기

가장 따뜻한 색, 블루

감독
압델라티프 케시시

출연
레아 세이두, 아델 에그자르코풀로스

개봉
2013 프랑스

상세보기


세계에서 가장 먼저 영화 심의를 한 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영화 심의를 한 나라는 스웨덴이다. 1911년 영화 표현 규제를 담당한 국립 검열위원회를 설립해 영화 상영 전 반드시 위원회의 심의를 받게 했다. 이 심의위원은 스웨덴 국왕이 임명했다. 이후 국립 검열위원회는 해산됐고, 2010년부터 국립미디어위원회가 영화등급을 분류하고 있다.





스웨덴의 ‘A’ 등급제

스웨덴은 2013년부터 양성평등 등급제도인 ‘A’ 등급제를 도입하기도 했다. 영화 성 평등 테스트인 ‘벡델테스트’(이름을 가진 여성 캐릭터 최소 2명 이상이 남성에 대한 것 이외의 대화를 나눌 것)를 통과한 영화에 한해 상영 전 A등급을 고지하고 있다.


15세 관람가 등급 받기 위해 가위질 당한 영화들



<얼라이드>


<러브 액츄얼리>

보다 많은 관객 수를 끌어들이려면 아무래도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보다는 15세 관람 등급을 받아야 유리하다. 이를 위해 한국으로 영화를 수입하면서 특정 장면을 삭제해 관람 등급을 맞춰 개봉한 적도 있었다. 2017년 개봉한 <얼라이드>에서는 브래드 피트와 마리옹 꼬띠아르의 일부 신체가 노출되는 장면을 편집해 15세 관람 등급을 받았다. <러브 액츄얼리>는 성인영화 배우들 에피소드를 삭제해 15세 관람 등급을 받았다. 삭제된 캐릭터를 연기했던 배우는 마틴 프리먼이었다. 팬들의 성화에 결국 2013년 무삭제판으로 재개봉했다.

얼라이드

감독
로버트 저메키스

출연
브래드 피트, 마리옹 꼬띠아르, 리지 캐플란, 자레드 해리스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러브 액츄얼리

감독
리차드 커티스

출연
휴 그랜트, 콜린 퍼스, 리암 니슨, 키이라 나이틀리, 엠마 톰슨, 앨런 릭먼, 빌 나이, 로라 리니, 마틴 맥커친

개봉
2003 영국, 미국

상세보기


씨네플레이 조부용 기자

Must Read

Relat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