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테넷> 개봉에 힘입어 북미 극장가가 조금이나마 활기를 되찾나 싶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바람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테넷>이 2주 연속 북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지만, 전주대비 성적이 67% 가까이 떨어져 워너브러더스의 시름이 늘었다. 참고로 이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커리어 사상 가장 큰 2주차 주말 성적 낙폭이다. 상황을 지켜보던 워너브러더스와 월트 디즈니 컴퍼니, 소니 픽처스가 올 하반기 개봉 예정이던 대형 블록버스터들을 연기하기로 결정, 최악의 경우 <원더 우먼 1984>(12월 25일로 일정 변경) 이전까지 텐트폴 영화 개봉이 없을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테넷>이 아쉬운 성적으로 1위를 지키는 37주차 북미 주말 박스오피스에는 로맨틱 코미디 <브로큰 하츠 갤러리>가 4위로 데뷔했다. 과연 다른 개봉작들은 어떤 성적표를 받았을지 이번 주말 박스오피스에서 살펴보자.
2020년 37주차 북미 주말 박스오피스
1.
테넷
(Tenet)
( – )
로튼토마토: 평단 73% / 관객 76%
메타스코어: 69
상영관 수: 2,810
주말수익: $6,700,000 (-66.8%)
북미누적: $29,500,000
전세계누적: $207,500,000
제작비: $200,000,000
상영기간: 2주 (11일)
크리스토퍼 놀란 신작 <테넷>이 2주 연속 북미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했다. 주말 간 670만 달러를 더한 북미 성적은 2950만 달러, 어려운 시국에도 ‘놀란표 영화’이기에 가능한 월등한 퍼포먼스다. 그러나 워너 브러더스 입장에서는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현재 <테넷>의 흥행이 ‘상대적’으로 다른 작품들에 비해 좋은 것일 뿐, 절대적인 수치로 보면 결코 좋은 성적이 아니기 때문이다. 알려진 영화의 손익분기점은 5억 달러(일부 매체는 8억 달러까지도 예상), 전 세계 누적 스코어가 올해 개봉작 중 다섯 번째로 높은 2억 750만 달러임에도 갈 길이 한참 남은 셈이다. ‘흥행은 단거리가 아닌 장거리 마라톤’이라며 큰 그림을 그리려던 워너 브러더스 입장에선 예상보다 저조한 <테넷>의 행보가 당혹스러웠을 듯하다. 전적으로 <테넷> 때문만은 아니겠지만, 워너브러더스에서 최근 <원더 우먼 1984>의 개봉일자를 11월에서 12월 25일로 미룬 것도 이 때문은 아닐까?
2.
뉴 뮤턴트
(The New Mutants)
( – )
로튼토마토: 평단 33% / 관객 54%
메타스코어: 43
상영관 수: 2,704 (-50)
주말수익: $2,089,204 (-31.2%)
북미누적: $15,329,572
전세계누적: $29,501,382
제작비: $67,000,000
상영기간: 3주 (17일)
<뉴 뮤턴트>가 지난주에 이어 2위 자리를 지켰지만, 성적까지 지켜내지는 못했다. 주말 성적은 지난주보다 31% 줄어든 208만 달러로, 이를 더한 북미 성적은 약 1530만 달러에 불과하다. 물론 지난 몇 년 동안 여러 차례 개봉을 미룬 데 이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북미 극장가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않는 상황이긴 해도, 20년 역사를 가진 폭스 <엑스맨>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임을 감안하면 분명 아쉬운 성적이라 할 수 있다. 월트디즈니컴퍼니 입장에선 올해까지 이어지는 ‘폭스 영화의 부진’과 이후 <엑스맨> 프랜차이즈의 미래, 여기에 <뮬란>을 둘러싼 논란과 <블랙 위도우>와 <소울> 개봉 일정을 두고도 고민 중이니 머리가 아플 수밖에. 현재 전 세계 누적 스코어는 2950만 달러다.
3.
언힌지드
(Unhinged)
( – )
로튼토마토: 평단 48% / 관객 76%
메타스코어: 40
상영관 수: 2,365 (-37)
주말수익: $1,516,422 (-16.1%)
북미누적: $13,842,978
전세계누적: $25,970,500
제작비: $33,000,000
상영기간: 5주 (31일)
국내 10월 개봉을 앞둔 범죄 스릴러 <언힌지드>가 지난주에 이어 3위를 지켰다. 영화는 37주차 상위권 작품들 중 가장 안정적인 성적 하락치(-16.1%)를 기록, 151만 6420달러를 더해 북미 스코어를 1384만 달러까지 끌어올렸다. 현재 전 세계 누적 성적은 2597만 달러, 여담이지만 해외 매체들에 의하면 일반 극장보다 자동차 극장에서 소위 ‘잘 나가는’ 작품이라고 한다.
4.
브로큰 하츠 갤러리
(The Broken Hearts Gallery)
( NEW )
로튼토마토: 평단 77% / 관객 89%
메타스코어: 57
상영관 수: 2,209
주말수익: $1,126,401
북미누적: $1,126,401
전세계누적: $1,126,401
제작비: $8,000,000
상영기간: 1주 (3일)
이번 주말 박스오피스의 유일한 신작인 소니 픽처스 <브로큰 하츠 갤러리>가 4위로 데뷔했다. 연인과 헤어진 주인공이 본인을 비롯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전남/여친과의 추억’이 담긴 물건들을 전시하는 갤러리를 연다는 내용을 담은 로맨틱 코미디로, 첫 주말 간 112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평단과 관객의 만족도는 상당히 높은 편. 여담이지만 소니 픽처스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날 때까지 제작비 2억 달러 이상의 블록버스터는 개봉시키지 않겠다고 선언한 만큼, 앞으로 소니 작품은 <브로큰 하츠 갤러리>처럼 규모가 작은 영화만 볼 수 있을 예정이다. <베놈 2>, <스파이더맨 3>, <모비우스>를 기대한 팬들에겐 아쉬운 소식이다.
5.
빌 & 테드 페이스 더 뮤직
(Bill & Ted Face the Music)
( ▼ 1 )
로튼토마토: 평단 81% / 관객 75%
메타스코어: 66
상영관 수: 807 (-146)
주말수익: $292,653 (-62.1%)
북미누적: $2,748,235
전세계누적: $2,994,982
제작비: $25,000,000
상영기간: 3주 (17일)
주말 사흘간 29만 2600달러를 벌어들인 <빌 & 테드 페이스 더 뮤직>이 5위로 내려왔다. 3주차 주말 성적을 더한 북미 스코어는 274만 8200달러로 제작비의 1/10을 가까스로 넘기는 데 그친 상황. 그러나 극장 상영과 동시에 시작한 VOD 시장에서 여전히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안방극장’은 확실히 휘어잡고 있는 듯하다.
6.
워즈 온 배스룸 월스
(Words on Bathroom Walls)
( ▲ 1 )
로튼토마토: 평단 88% / 관객 94%
메타스코어: 61
상영관 수: 1,003 (-165)
주말수익: $229,892 (-16.6%)
북미누적: $1,941,428
전세계누적: $1,941,428
제작비: $9,300,000
상영기간: 4주 (24일)
6위는 하이틴 성장 영화 <워즈 온 배스룸 월스>다. 영화는 지난주보다 약 16% 줄어든 22만 9890달러를 벌어들이며 주말을 마무리, 이는 <언힌지드>에 이어 두 번째로 인상적인 주말 성적 감소율이다. 아무래도 관객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제대로 탄 모양이다. 현재 북미 누적 스코어는 194만 달러.
7.
더 스폰지밥 무비: 스폰지 온 더 런
(The SpongeBob Movie: Sponge on the Run)
( ▼ 2 )
로튼토마토: 평단 N/A / 관객 75%
메타스코어: N/A
상영관 수: 267 (-37)
주말수익: $225,829 (-34.5%)
북미누적: $3,964,145
전세계누적: $3,964,145
제작비: $60,000,000
상영기간: 5주 (31일)
<더 스폰지밥 무비: 스폰지 온 더 런>이 지난주보다 두 계단 밑으로 내려오면서 7위를 차지했다. 영화는 267개 상영관에서 22만 5800달러를 벌어들였으며, 이를 더한 누적 스코어는 396만 달러다. 스트리밍 서비스(북미: CBS All Access, 해외: 넷플릭스) 공개를 확정한 만큼, 파라마운트 입장에선 지금의 손해를 조금이나마 만회할 수 있게 됐다.
8.
더 퍼스널 히스토리 오브 데이빗 코퍼필드
(The Personal History of David Copperfield)
( ▼ 2 )
로튼토마토: 평단 93% / 관객 55%
메타스코어: 77
상영관 수: 1,203 (-347)
주말수익: $194,528 (-40.6%)
북미누적: $1,405,572
전세계누적: $11,620,337
제작비: $15,600,000
상영기간: 3주 (17일)
찰스 디킨스 소설 원작 <더 퍼스널 히스토리 오브 데이빗 코퍼필드>가 8위로 주말을 마무리했다. 주말 간 19만 4500달러를 더한 개봉 3주차까지의 북미 성적은 140만 5500달러, 전 세계 스코어는 1160만 달러다.
9.
반도
(Peninsula)
( – )
로튼토마토: 평단 51% / 관객 74%
메타스코어: 51
상영관 수: 85 (-12)
주말수익: $52,110 (-13%)
북미누적: $943,460
전세계누적: $35,382,806
제작비: $16,000,000
상영기간: 6주 (38일)
개봉 6주차에 접어든 <반도>가 9위로 주말을 마무리했다. 총 85개 상영관에서 5만 2100달러를 더한 북미 누적 스코어는 94만 3400달러, 전 세계 극장가에서 벌어들인 금액은 약 3540만 달러다.
10.
컷 스로트 시티
(Cut Throat City)
( – )
로튼토마토: 평단 72% / 관객 36%
메타스코어: 67
상영관 수: 106 (-25)
주말수익: $41,029 (-27.2%)
북미누적: $695,812
전세계누적: $696,350
제작비: $8,900,000
상영기간: 4주 (24일)
르자(RZA)의 세 번째 연출작, <컷 스로트 시티>가 37주차 북미 박스오피스의 대미를 장식했다. 주말 사흘간 4만 1000달러를 흥행 성적표에 추가, 현재 북미 누적 스코어는 69만 5800달러다.
에그테일 에디터 영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