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2017년 23주차 북미 박스오피스 시간입니다. 지난주 북미 극장가는 오랜만에 등장한 여성 히어로물이 깜짝 놀랄 만한 오프닝을 기록했었습니다. 그동안 마블에 눌려있었던 워너와 DC 관계자들을 환호하게 만들었는데요, 새로운 신작 세편이 차트에 새롭게 진입한 주말, 어떤 변화가 있었을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원더 우먼
(Wonder Woman)
(⇔)
로튼토마토 지수-평론가: 93% / 관객: 92%
IMDb 사용자 지수-8.2/10 (101,727 Votes)
- 주말 수익: $58,520,672 (-43%)
- 상영관 수: 4,165
- 평균 수익: $14,051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206,343,175 ($436,543,175)
- 총 제작 예산: $149,000,000
- 상영 기간: 2주
- 스튜디오: WB
자, 23주차 북미 극장가도 지난주에 이어서 워너의 <원더우먼>이 1위자리를 굳건하게 지켰습니다. 지난주보다 주말성적이 43% 드롭에 그치며 예상 외로 선전했습니다. 영화에 대한 입소문이 이래서 무섭습니다. 개봉 10일간 기록한 이 영화의 북미 누적성적은 어느새 2억 6백만불입니다. 지난주 오프닝도 그랬지만 2주차 누계도 기대 이상입니다. 현재 기세라면 조금만 더 선전한다 가정했을 때 북미 3억불도 충분히 가능해 보입니다. 정말이지 이 정도까지 인기가 있을 줄은 미처 예상치 못했습니다. 해외에서도 현재까지는 순항 중입니다. 오늘까지 누적된 월드와이드 성적은 4억 3천 6백만불입니다. 현재 개봉 중인 국가들 이외에 남아있는 빅마켓은 독일과 스페인, 그리고 일본 등이 남아있는데요, 앞으로 북미에서 1억불 정도, 그리고 해외에서의 예상 수입을 감안하면 월드와이드로 6억불 이상, 잘하면 7억불도 가능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지난주에도 언급했지만 아직 오피셜은 뜨지 않았지만 이 영화의 속편, 당연히 나오겠죠? DC로선 정말 오랜만에 잘 만든, 거기에 성적까지 잘 나온 영화를 그냥 묵힐 리 없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이 영화처럼 단독주연이 아닌, 과연 <저스티스리그>에서 보여줄 원더우먼의 모습은 어떠할지도 무척이나 궁금합니다.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에서 유독 빛났던 원더우먼의 모습이 가을에 개봉할 <저스티스리그>에서도 보여졌으면 합니다. 이 영화가 이렇게까지 선전하며 높은 수익을 올렸다는 건 주말에 공개된 또다른 기대작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겠죠? 자, 어쨌든 <원더우먼>의 'WONDER'한 흥행세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앞으로의 행보를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2
미이라
(The Mummy)
(NEW)
로튼토마토 지수-평론가: 16% / 관객: 45%
IMDb 사용자 지수-5.9/10 (15,777 Votes)
- 주말 수익: $31,688,375
- 주말 수익: 4,035
- 주말 수익: $7,853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31,668,375 ($173,468,375)
- 총 제작 예산: $125,000,000
- 상영 기간: 1주
- 스튜디오: Uni
금주 2위는 톰 크루즈의 신작 <미이라>입니다. 위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이 영화의 오프닝, 기대 이하입니다. 주말 3일간 기록한 오프닝 스코어가 3천 1백만불에 그치고 말았습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이 영화에 대한 현지 평단의 평가는 한마디로 최악입니다. 예고편만 봐도 다소 산만하다 싶었는데 역시나 영화를 본 평단이나 관객들 모두 실망을 금치 못하고 있습니다. 톰 크루즈 이외에도 <킹스맨>에서 엽기(?)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었던 소피아 부텔라와 러셀 크로우까지 출연하는데요, 여기서 러셀 크로우가 맡은 배역이 지킬 박사와 하이드라고 하는군요. 지난주에도 이야기했지만 이 작품은 마블이나 DC처럼 요즘 프랜차이즈 시리즈가 유행인데 유니버설에서도 새로운 프랜차이즈를 만들었고 그 이름이 다크 유니버스입니다. 그 첫번째 작품이 바로 이 <미이라>입니다. 이 다크 유니버스에 등장할 영화들은 그동안 유니버설의 클래식 몬스터물들입니다. 내후년에 두번째 작품이 공개될 예정인데 그 작품은 <프랑켄슈타인의 신부>이며 하비에르 바르뎀이 프랑켄슈타인 역으로 등장한다고 하는군요. 아직 스케쥴은 나오지 않았지만 현재 기획 중인 영화들을 잠깐 살펴보면 <인비저블맨>, <반헬싱>, <울프맨>, <프랑켄슈타인>, <드라큘라> 등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고전영화 속 괴수들이 대거 등장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미이라>의 성적이 중요했었는데 적어도 북미에선 영 아닙니다. 잘 아시다시피 이미 이 작품은 스티븐 소머즈에 의해서 리부트되어 이미 3편까지 나왔던 작품입니다. 그런데 이번이 새로운 리부트라고 해도 솔직히 신선한 느낌은 느껴지질 않습니다. 해외에서 열심히 벌어들여야겠습니다. 오늘까지 벌어들인 월드와이드 성적은 1억 7천 3백만 불입니다.
3
캡틴 언더팬츠
Captain Underpants: The First Epic Movie
(▼1)
로튼토마토 지수-평론가: 84% / 관객:70%
IMDb 사용자 지수-7.0/10 (1,529 Votes)
- 주말 수익: $12,180,704 (-49%)
- 주말 수익: 3,529 (+95)
- 주말 수익: $3,452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44,443,216 ($47,148,791)
- 총 제작 예산: $38,000,000
- 상영 기간: 2주
- 스튜디오: Fox (DW)
금주 3위는 지난주 2위로 데뷔했던 폭스와 드림웍스의 마지막 작품 <캡틴 언더팬츠>입니다. 지난주보다 49% 주말성적이 빠졌으며 개봉 10일간 기록한 이 영화의 북미 누적성적은 4천 4백만불입니다. 지난주에도 언급했지만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치곤 제작비가 상당히 저렴하게 들어간 작품이라 웬만해선 손해볼 것 같지는 않습니다. 아직 해외 성적은 미미한 편입니다.
4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
(Pirates of the Caribbean: Dead Men Tell No Tales)
(▼1)
로튼토마토 지수-평론가: 29% / 관객: 68%
IMDb 사용자 지수-User Rating : 7.1/10 (63,191 Votes)
- 주말 수익: $10,704,103 (-52%)
- 주말 수익: 3,679 (-597)
- 주말 수익: $2,910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135,830,397 ($600,200,000)
- 총 제작 예산: $230,000,000
- 상영 기간: 3주
- 스튜디오: BV
금주 4위는 지난주 3위에서 한계단 내려온 조니 뎁의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입니다. 지난주도 그랬지만 하염없이 성적이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개봉 3주차를 맞아서 기록한 북미 성적은 1억 3천 5백만 불로 현재 추세로 봐선 북미 1억 5천만 불을 겨우 넘기는 선에서 마무리될 듯합니다. 그리고 오늘 모조 자료를 보니 이 영화의 해외성적이 업데이트가 안되었더군요. 그래서 다른 사이트를 찾아서 살펴보니 오늘까지 기록한 월드와이드 성적은 정확하게 6억 불입니다. 이러다가 월드와이드 7억 불도 못넘기는 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왠지 이젠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를 더 보기가 힘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5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Guardians of the Galaxy Vol. 2)
(▼1)
로튼토마토 지수-평론가: 81% / 관객: 90%
IMDb 사용자 지수-8.1/10 (165,161 Votes)
- 주말 수익: $6,312,367 (-36%)
- 주말 수익: 2,911 (-596)
- 주말 수익: $2,168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366,431,539 ($828,345,857)
- 총 제작 예산: $200,000,000
- 상영 기간: 6주
- 스튜디오: BV
금주 5위는 지난주 4위에서 한계단 내려온 마블의 <가오갤 2>입니다. 북미에선 그래도 꾸준하게 성적을 끌어올리곤 있습니다. 오늘까지 기록한 북미 누계는 3억 6천 6백만불로 잘하면 3억 8천만불 정도까지 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아쉽다면 해외에서의 반응이 생각보다 뜨겁지 못했다는 점. 오늘까지 기록한 월드와이드 성적이 8억 2천 8백만불인데요, 전편에 비해 북미에서의 성적이 늘어난 걸 빼면 해외에서의 성적은 전편의 성적과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전편보다 약 2천만불 정도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전편이 워낙에 평가도 좋았기에 속편에 걸었던 기대가 컸을 텐데 많이 아쉽죠?
6
잇 컴스 앳 나이트
(It Comes At Night)
(NEW)
로튼토마토 지수-평론가: 86% / 관객: 43%
IMDb 사용자 지수-7.2/10 (3,116 Votes)
- 주말 수익: $5,988,370
- 주말 수익: 2,533
- 주말 수익: $2,364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5,988,370 ($5,988,370)
- 총 제작 예산: $5,000,000
- 상영 기간: 1주
- 스튜디오: A24
금주 6위는 A24에서 배급한 신작 호러물 <잇 컴스 앳 나이트>입니다. 주말 3일간 기록한 이 영화의 오프닝 스코어는 6백만불에 약간 못 미칩니다. 영화에 대한 평가도 상당히 우수한데, 성적이 지난주 예상치(1천만불)보다 많이 뒤떨어졌습니다. 비록 시작은 아쉽지만 그래도 영화에 대한 입소문을 탄다면 조금 더 차트에서 선전하리라 생각합니다.
7
베이워치
(Baywatch)
(▼2)
로튼토마토 지수-평론가: 20% / 관객: 64%
IMDb 사용자 지수-5.7/10 (14,365 Votes)
- 주말 수익: $4,648,207 (-47%)
- 주말 수익: 2,832 (-815)
- 주말 수익: $1,641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51,113,342 ($86,115,460)
- 총 제작 예산: $69,000,000
- 상영 기간: 3주
- 스튜디오: Par
금주 7위는 지난주 5위에서 두계단 하락한 파라마운트의 <베이워치>입니다. 개봉 3주차를 맞아서 극장수도 대폭 줄어들었고, 누적 북미 성적은 힙겹게 5천만불 고지를 넘어섰습니다. 오늘까지 누적된 월드와이드 성적은 8천 6백만불인데요, 과연 이 영화, 제작비라도 건져낼지 걱정스럽습니다. 총제작비로 계산한다면 월드와이드로 약 2억불 정도는 벌어야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것 같습니다.
8
메건 리비
(Megan Leavey)
(NEW)
로튼토마토 지수-평론가: 80% / 관객: 86%
IMDb 사용자 지수-7.0/10 (566 Votes)
- 주말 수익: $3,810,867
- 주말 수익: 1,956
- 주말 수익: $1,948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3,810,867 ($3,810,867)
- 총 제작 예산: N/A
- 상영 기간: 1주
- 스튜디오: BST
금주 8위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BST의 신작 드라마 <메건 리비>입니다. 실제로 이라크에서 해병대로 근무했던 여주인공과 군견의 이야기인데요, 이 영화 또한 위에 소개한 <잇 컴스 앳 나이트>처럼 영화에 대한 평가는 좋은데 성적은 영 신통치가 못합니다. 381만불의 오프닝 스코어를 기록했습니다. 아무래도 영화에 대한 홍보 자체가 제대로 안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9
에이리언: 커버넌트
(Alien: Covenant)
(▼3)
로튼토마토 지수-평론가: 71% / 관객: 60%
IMDb 사용자 지수-6.8/10 (82,841 Votes)
- 주말 수익: $1,826,579 (-56%)
- 주말 수익: 1,814 (-846)
- 주말 수익: $1,007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71,238,791 ($181,618,411)
- 총 제작 예산: $97,000,000
- 상영 기간: 4주
- 스튜디오: Fox
금주 9위는 리들리 스콧 감독의 <에일리언: 커버넌트>가 세계단 하락하며 9위로 떨어졌습니다. 개봉 4주차를 맞아서 누적된 북미 성적은 7천 1백만불이며 오늘까지 누적된 월드와이드 성적은 1억 8천 1백만불입니다. 전작인 <프로메테우스>가 월드와이드 4억불까지 갔던 걸 생각하면 참 많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10
에브리씽, 에브리씽
(Everything, Everything)
(▼3)
로튼토마토 지수-평론가: 47% / 관객: 65%
IMDb 사용자 지수-6.3/10 (1,902 Votes)
- 주말 수익: $1,627,295 (-51%)
- 주말 수익: 1,546 (-829)
- 주말 수익: $1,053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31,739,247 ($31,739,247)
- 총 제작 예산: $10,000,000
- 상영 기간: 4주
- 스튜디오: WB
마지막으로 금주 10위는 워너의 드라마 <에브리씽, 에브리씽>입니다. 개봉 4주차가 되었으며 북미 누적 스코어는 3천 1백만불입니다.
2017년 월드 와이드 누적 박스오피스 차트
오늘까지 누적된 2017년 월드와이드 순위와 성적을 살펴보면, 여전히 <미녀와 야수>와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이 사이좋게 1, 2위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조니 뎁의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가 성적은 한계단 올라섰지만 급격하게 상승세가 꺾인 모습입니다. 그리고 2주째 차트 정상을 지키고 있는 워너의 <원더우먼>이 차트에 8위로 새롭게 진입했습니다.
1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
(⇔)
- 북미 수익: $502,900,000
- 해외 수익: $739,100,000
- 전 세계 수익: $1,241,900,000
- 역대 흥행 순위: #10
- 스튜디오: BV
2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The Fate of the Furious)
(⇔)
- 북미 수익: $224,500,000
- 해외 수익: $1,007,000,000
- 전 세계 수익: $1,231,500,000
- 역대 흥행 순위: #11
- 스튜디오: Uni
3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Guardians of the Galaxy Vol. 2)
(⇔)
- 북미 수익: $366,400,000
- 해외 수익: $461,900,000
- 전 세계 수익: $828,300,000
- 역대 흥행 순위: #58
- 스튜디오: BV
4
로건
(Logan)
(⇔)
- 북미 수익: $226,200,000
- 해외 수익: $389,400,000
- 전 세계 수익: $615,600,000
- 역대 흥행 순위: #120
- 스튜디오: Fox
5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
(Pirates of the Caribbean: Dead Men Tell No Tales) (▲1)
- 북미 수익: $135,800,000
- 해외 수익: $464,400,000
- 전 세계 수익: $600,200,000
- 역대 흥행 순위: #124
- 스튜디오: BV
6
콩: 스컬 아일랜드
(Kong: Skull Island)
(▼1)
- 북미 수익: $168,000,000
- 해외 수익: $398,100,000
- 전 세계 수익: $566,100,000
- 역대 흥행 순위: #138
- 스튜디오: WB
7
보스 베이비
(The Boss Baby)
(⇔)
- 북미 수익: $171,800,000
- 해외 수익: $315,800,000
- 전 세계 수익: $487,600,000
- 역대 흥행 순위: #176
- 스튜디오: Fox (DW)
8
원더 우먼
(Wonder Woman)
(NEW)
- 북미 수익: $206,300,000
- 해외 수익: $230,200,000
- 전 세계 수익: $436,500,000
- 역대 흥행 순위: #217
- 스튜디오: WB
9
50가지 그림자: 심연
(Fifty Shades Darker)
(▼1)
- 북미 수익: $114,400,000
- 해외 수익: $264,400,000
- 전 세계 수익: $378,800,000
- 역대 흥행 순위: #267
- 스튜디오: Uni
10
너의 이름은.
(君の名は。)
(▼1)
- 북미 수익: $4,900,000
- 해외 수익: $349,500,000
- 전 세계 수익: $354,400,000
- 역대 흥행 순위: #308
- 스튜디오: FUN
본격적으로 날씨가 더워지면서 북미 극장가도 뜨거워지는 것 같습니다. 시원한 극장 안에서 뜨거운 열기를 즐기는 것만큼 확실한 피서도 없는 듯합니다. 한 주간 건강하시고 다음주에 다시 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권오형 / 파워블로거
재밌으셨나요? 아래 배너를 눌러 네이버 영화를 설정하면 영화 이야기, 시사회 이벤트 등이 가득한 손바닥 영화 매거진을 구독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