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밈(internet meme)’을 아는가. 인터넷에서 이미지, 동영상, 해시태그 등의 형태로 번져나가 사회 문화의 일부로 자리 잡은 소셜 아이디어, 활동, 트렌드 등을 일컫는 말이다. 1976년 영국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라는 책에서 ‘밈’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는데, 어렵다면 ‘짤방’(짤림방지의 준말)을 떠올리면 된다. 아, 이것도 하나 알아두면 좋겠다. 생물학적 유전자=‘진(gene)’이라면, 이에 대비되는 문화적 유전자=‘밈’임을. 강한 유전자가 오래 살아남듯, 밈적(memetic) 유전자를 가진 브랜드만이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남는 시대가 도래한 셈이다.
그렇다면 이걸 배우에게 대입해 볼까. 연기를 잘하는 배우는 많지만, 스타가 되는 배우는 드물다. 스타가 된 배우 중에서도 밈적 유전자가 강한 배우는 또 더 드물다. 화제를 만들어내는 것도 힘들지만, 그것을 소비자 스스로가 공유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느끼게 하는 ‘밈적 요소’로 진화하는 게 말처럼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아무리 톱스타라도, 아무에게나 인터넷 밈 현상이 일어나는 게 아닌 이유다. 그렇다면 궁금하다. 수많은 별이 뜨고 지는 연예계에서, 단순히 자신의 팬이 아닌, 불특정 다수인 일반 대중을 움직이는 배우들은 무엇이 다른지. 밈 유전자가 강한, 바이러스 형 배우들을 통해 그 이유를 가늠해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