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권력의 계승이 사내아이로만 내려가는, 여자의 몸으로 권력을 누린다는 발상 자체가 무엄한 이 세계 안에서 휘는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

<연모>.

한때는 개혁군주와 권신들이 치열하게 부딪히는 이야기를, 혹은 암군의 시대를 돌파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신진 사대부들의 이야기를 다룬 궁중 사극을 즐겨보곤 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그 모든 것들이 영 시큰둥해졌다. 무엇 때문일까 가만히 생각해보니, 제아무리 성군인 임금이 나오는 작품이라 하더라도 결국엔 세습군주제 왕정을 이야기한다는 사실이 껄끄러웠던 모양이다. 화면 위에서 누가 더 백성을 위하는가를 두고 치열하게 다투는 그들 또한, 자신이 좋은 사람이고 노력한 자여서 존엄해진 것이 아니라 부모를 잘 만나서 왕족이 되고 양반이 된 신분제 엘리트들 아니었던가. 공화정인 오늘날의 한국 사회조차 충분히 평등하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이다가, TV 앞에 앉아서는 상하 신분구조가 명확한 세계를 즐기는 일이 내겐 조금은 앞뒤가 안 맞는 농담처럼 느껴졌다. 하긴, 나이를 먹으면 입맛도 바뀌는데, 하물며 사극 취향이야.

하지만 궁 안의 남정네들 말고 궁 안의 여인들에게 초점을 맞추는 순간 이야기는 조금 달라진다. 타고 태어나길 존엄하게 태어난 남정네들과 달리, 여인들은 신분은 높을지언정 제 뜻대로 할 수 있는 일에는 늘 한계가 있지 않나. 살아남기 위해서는 임금의 총애를 받아야 하고, 다른 궁녀가 임금의 성은이라도 입으면 안 되기에 끊임없이 견제해야 하고, 친정 가문의 생존을 위해서 원자 아기씨를 생산해야 하고, 임금 몰래 제 뜻을 펼치려 해도 직접 움직일 수 없기에 남자 조력자들의 도움이 필요하고…. 궁 안의 여인들이 손에 쥔 권력이라는 건, 수렴청정 중인 대왕대비 정도를 제외하고 나면 결국 남자들에게 종속되어 있다. “여인들의 암투” 정도로 소비되어 왔던 궁중 여인들의 삶은, 곱씹어 보면 볼수록 더 서글픈 생존 투쟁으로 가득하다. 비빈이 되어도 가문의 남자들이 권력 다툼에서 지면 언제든 폐비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된 삶, 신분이 높아도 뜻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없는 비단으로 지어진 감옥 속에 유폐된 삶은, 그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탐구되었던 게 아닐까?

실제 역사와 무관한 판타지이지만, KBS <연모>(2021)에 눈길이 가는 건 바로 그 때문이다. <연모>는 남녀의 위계가 지엄했던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역사 속에서 지워진 남장여자 세자가 있었다면 어땠을까?”라는 상상을 펼친다. 세손과 쌍생아로 태어난 휘(박은빈)는, “일국의 세손이 계집과 태를 같이 나고 태어나선 안 된다”는 말도 안 되는 핑계로 태어나자마자 그 존재가 지워진 아이였다. 생모인 빈궁(한채아)은 아버지 한기재 대감(윤제문)과 왕실 종친들의 등쌀에 못 이겨 딸의 목숨을 거둬야 하는 상황에 몰렸는데, 그나마 짧은 시간 안에 기지를 발휘해 휘를 ‘태어나자마자 숨을 거둔 것’으로 위장해 빼돌리고는 인적 드문 산사로 보낸다. 그러나 운명의 장난인지 기거하던 절에 불이 나서 혼자 남겨진 휘는, 제 출생의 비밀도 모른 채 생계를 잇기 위해 궁녀가 되어 궁으로 돌아온다. 그리고는 모종의 사건으로 인해 사망한 세손의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해, 남은 평생을 남장을 하며 지낼 운명에 갇힌다.

당연히 말도 안 되는 판타지이지만, <연모>가 그리는 가상의 조선에는 일말의 진실이 숨어있다. 빈궁은 명색이 일국의 왕세자빈인데, 그 지위로도 제 자식을 지킬 수 없었다. 자신의 지위와 권력은 남편인 세자(이필모)에게서 나오는 것이기에, 세자가 아비인 왕(남경읍)의 명에 맞서지 않기로 하는 순간 세자빈이라는 지위도 무색해져 버린다. 심지어는 제 가문의 정치적 입지를 다지기 위해서라도 세손의 정통성을 더 공고히 세워야 한다는 아버지 한기재 대감의 뜻조차 거스를 수 없다. 신분으로만 따진다면 대신인 아버지보다 세자빈인 자신의 지위가 더 높겠으나, 왕실과 사돈관계를 맺어 인척이 된 가문을 생각해야 한다는 당위는 빈궁을 좀처럼 제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상황으로 몰고 간다. 비단 금침을 덮고 누운 들 그런 삶이 편하랴. 빈궁은 사랑하는 자식들을 끔찍한 지옥 속으로 몰아갔다는 회한으로 앓다가 세상을 떠난다.

선왕이 죽고, 세자가 왕이 되고, 세손이 세자가 된 후에도 지옥은 끝나지 않는다. 자신이 여자라는 걸 들키는 순간 자신은 물론 제 주변 사람들의 목숨까지 위태로워질 것을 잘 알고 있는 휘는, 매일 광목천으로 가슴을 동여매고 목소리를 한껏 내리깐 채 그 누구도 믿지 못하는 삶을 산다. 똑같이 왕의 핏줄을 이어받아 빈궁의 몸에서 난 자식이라 해도, 자신이 세자로서 누리는 권력이란 것은 사람들이 자신을 남자로 오인할 때에만 유효한 것이다. 아무리 말을 잘 타고 활을 잘 쏘며 위엄 있는 표정으로 서릿발 같은 명을 내린다 해도, 왕의 피를 이은 ‘사내’가 아닌 이상 아무 의미가 없다. 휘는 왕실의 종친들이 자기 뒤에서 “계집애 같다”는 말을 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모든 권력의 계승이 사내아이로만 내려가는, 여자의 몸으로 권력을 누린다는 발상 자체가 무엄한 이 세계 안에서 휘는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이제 휘는 자신이 미처 남장을 하지 못한 모습을 목격한 남자, 자신이 처음으로 연모했던 첫사랑이자 제 원수의 아들인 정지운(로운)을 스승으로 맞이해 수업을 해야 한다. 로맨스 라인을 즐기는 시청자들은 휘와 지운이 서로를 향한 마음을 확인하고 행복한 결말을 맞이하기를 바랄 것이지만, 나는 휘가 끝끝내 권력투쟁에서 승리하는 결말을 더 보고 싶다. ‘왕의 핏줄을 타고 태어난 왕족’이라는 특권으로도 극복할 수 없는, 남녀의 장벽을 뛰어넘는 광경을 보고 싶다. 물론 우리 모두 다 그것이 불가능할 것을 알고, 그 사실을 “역사에서 철저히 사라져야만 했던 왕”을 상상해보자는 시놉시스를 통해 이미 확인했지만…


이승한 TV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