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이 영화를 보겠다 결심한 순간은 포스터를 본 뒤였다. 영화의 주 소재인 성적을 이렇게 센스 있게 잘 표현할 수 있을까 싶었다. <성적표의 김민영>이라는 영화 제목과 개봉 일자 등을 시험 칠 때면 마주했던 OMR 카드에서 적은 것처럼 표현했다. 물론, 이제 더 이상 학창 시절처럼 성적을 받을 일은 없다. 그래도 우리는 누구든, 무엇으로부터든 '보이지 않는' 성적표를 받는다. 그 어떤 형태로든 '성적'과 같은 맥락의 결과들을 마주하게 된다. 어떤 시간을 살았느냐에 따라 그에 응당한 미래가 눈앞에 놓이듯.

<성적표의 김민영>은 다가오는 9월 8일 개봉하는, 전주국제영화제·서울국제영화제 대상 수상에 빛나는 영화다. 영화 워크샵에서 처음 만난 이재은, 임지선 감독이 공동 연출을 맡은 첫 연출작이기도 하다. 이재은 감독이 처음 영화를 상상했을 당시는 친구 관계에 고민이 많던, 타지 생활을 하던, 외롭고, 한가한 대학생이었다. 그 경험과 고민들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어떤 형태로든 누구에게나 소외당한 경험이 있을 것이라는 그의 말처럼, 보다 보면 자신과 주인공 정희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도 있다. 열아홉 살에서 스무 살로 넘어가며 변화를 겪는 세 아이의 모습에서 포착해낸 예민하고도 서툴러서 오히려 아름다운 그 시절은 그 자체로 '위로'로 다가온다.


고등학교 친구였던 셋은 졸업 후 각자의 길로 가면서, 화상통화로 '삼행시 클럽'을 지속한다.

관계에서 마음의 크기는 사람마다 다르다. ‘서운함’이라는 감정은, 이럴 때 생긴다. 그 서운함의 크기는, 상대를 좋아하는 마음의 크기이기도 하다. 여기 고등학교 때 기숙사에서 같이 생활하며 절친한 사이였던 정희(김주아 분), 민영(윤서영 분), 수산나(손다현 분)세 명의 아이들이 있다. 졸업 후, 각자 다른 상황에 놓이면서 관계에 분명한 변화가 생긴다. 고작 한 살 차인데 열아홉 살과 스무 살 차이는 크게 느껴진다. 영화 <성적표의 김민영>은 이들이 스무 살이 되고 서로 다른 길을 가면서 관계의 변화와 거기서 느끼는 미묘한 변화를 다룬다. 어떤 극적인 사건은 없지만, 현실적이고 소소한 이야기들이다. 그래서인지 주인공 정희의 모습에서 내 모습을 발견하며, 이 영화가 포착해낸 그 젊음의 찰나를 떠올리게 된다. 특히 이 세 아이가 하는 상상력 넘치는 행동들이 인상적이다. 그래서 당신에게'<성적표의 김민영>의 아이들 따라잡기', 해보기를 추천한다. 하다 보면 좀 더 자유로워진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1. 비공식 ‘삼행시 클럽’ 만들기 ✍

수능을 100일 앞둔 비공식 '삼행시 클럽'의 멤버들.

티비 예능에서 삼행시 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다만, 이 셋이 하는 클럽은 좀 다르다. 무엇보다 삼행시의 내용이 ‘문학적’이다. 이는 이재은 감독이 더 잘할 자신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영화는 수능 100일을 앞두고 비공식 삼행시 클럽을 해체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재은 감독은 실제로 이런 삼행시 클럽을 해보고 싶었지만, 주위 친구들이 그 제안을 다들 거절했다고 한다. 이렇게 영화의 캐릭터들이 탄생했고, 삼행시 클럽이 나왔다. 재밌는 포인트다.

이재은 감독은 이 삼행시 클럽에 대해 "‘삼행시 클럽’처럼 조금 이상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즐거운 것들을 같이 나눌, 코드가 잘 맞는 친구들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극 중 세 친구에게 남들과는 공유할 수 없는, 정말 ‘우리들끼리의’ 추억을 만들어 주고자 삼행시 클럽을 등장시켰다. 또 정희라는 캐릭터에게 자기의 마음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 어떤 형식적인 제약을 주고 싶지 않았는데, (삼행시 클럽을) 그런 정희의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매개체로 사용할 수도 있겠다 싶었다."라고 밝혔다.

2. 비오는 날, 수경 쓰고 자전거 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