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7일, 마침내 <콜>이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됐다. 지난 3월 개봉을 앞두고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개봉일을 연기한 <콜>은 OTT 서비스 넷플릭스 공개로 선회했다. <콜>이 공개되면서 원작 <더 콜러>와 비슷한 설정의 <프리퀀시>도 누리꾼들 사이에서 다시 소환되고 있는 상황. <콜>과 <더 콜러>는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프리퀀시>는 왜 갑자기 소환됐는지 살펴봤다.

감독 이충현

출연 박신혜, 전종서

개봉 2020.11.27.

상세보기

<더 콜러>와 <콜>

원작 <더 콜러>와 <콜>

<콜>은 2011년 푸에르토리코 영화 <더 콜러>를 각색한 작품이다. 리메이크답게 기본 설정은 비슷하다. 한 여성이 자신의 집에 살았던 20여 년 전 사람에게 전화를 받는 것. 그 과정에서 과거가 바뀌고 그 여파로 현재까지 바뀌면서 상황이 뒤죽박죽 엉망진창이 된다. 이렇게 한 줄 요약으로 보면 거의 동일해 보이지만, 의외로 두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다른 부분이 적지 않다.

1. 통화하는 두 사람의 관계

<콜>은 캐스팅 단계부터 여성 투톱 영화로 주목받았다.

<콜>은 처음부터 여성 투톱 영화로 주목받았다. 2019년에 사는 서연과 1999년의 영숙을 각각 박신혜, 전종서가 맡게 되면서 화제를 모았다. 영화에서 두 사람은 사는 시간대는 달라도 동갑내기 친구였고, 전화를 통해 두 사람은 나름대로 우정을 쌓아간다. 그러다가 서연이 영숙에게 한 가지 부탁을 하면서 과거가 바뀐다.

<더 콜러>

반면 <더 콜러>의 두 인물은 좀 더 일방적이다. 메리(레이첼 르페브르)는 로즈(로나 라버)의 전화를 받고도 이상한 사람의 장난전화 정도로 받아들인다. 그래서 로즈를 통해 과거를 바꾸려고 한 게 아닌데, 전화에 대꾸하다 보니 과거를 바꾸게 된다. 로즈는 메리를 자신에게 용기를 준 사람으로 맹신하다 그가 냉정하게 굴자 배신감에 점차 심사가 뒤틀린다.

2. 과거냐 현재냐

<더 콜러>

<콜>과 <더 콜러> 속 두 통화자의 관계가 다른 건 영화 전체에도 영향을 준다. <콜>은 서연과 영숙의 정서적 교감을 보여주기 위해 1999년과 2019년을 모두 묘사한다. 반면 <더 콜러>는 처음부터 로즈에게 관심이 없던 메리처럼, 오직 현재만을 묘사한다. 그렇게 메리를 괴롭히는 로즈를 구체적으로 묘사하지 않아 좀 더 답답한 상태의 긴장감을 유지한다.

3. 썸 타는 돌싱 OR 엄마와 냉랭한 딸

<더 콜러>의 메리는 썸남 존(왼쪽), 전남편 스티븐과의 관계가 그려진다.

두 영화의 차이 중 하나는 주인공의 가족관계. <더 콜러>의 메리는 남편과 이혼 절차를 밟고 있다. 전남편은 접근 금지 명령 처분을 받고도 메리를 찾아와 불안하게 하고, 연인이 되는 존 또한 첫 만남에선 무례하기 짝이 없다. 그뿐만 아니라 지하철을 이용할 때도 관음증적인 시선을 느끼는 등 <더 콜러>는 메리를 통해 홀로 남은 여성이 느끼는 심리적 불안감을 종종 드러낸다. 

어색한 분위기... 같은 섬뜩한 분위기
<콜>은 서연의 엄마(김성령, 왼쪽), 영숙의 엄마(이엘) 등을 포함해 가족 관계가 자세히 그려진다.

<콜>의 서연은 메리와 달리 연인 관계가 전혀 그려지지 않는다. 반대로 메리에게선 거의 보이지 않는 가정과 부모가 만든 환경이 서연이란 캐릭터의 핵심 중 하나. 메리나 서연 모두 갑자기 혼자 남게 된 인물인 건 동일하지만, 각자의 환경이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영화에서 중점적으로 그리는 부분이 상이하다. 주인공의 가정 환경이 그린 <콜>은 <더 콜러>가 전하는 홀로 남은 사람의 불안감을 다소 덜어내고 대신 관계가 무너지고 급격히 변화하는 시간의 영향을 부각하고자 영화 전체를 시각화하는 데 전념한다. 


<콜>과 함께 소환되고 있는 영화들은?

<콜>이 화제를 모으면서 <더 콜러>처럼 다시 언급되는 영화들도 있다. 가장 최근 작품은 드라마 <시그널>. 2000년의 이재한 형사(조진웅)와 2015년의 박해영 경위(이제훈)가 무전기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사건을 해결하는 드라마로 2016년 방영 당시 신드롬을 일으킨 장본인. 드라마를 안 봤어도 "이재한 형사님"하고 외치는 이제훈의 다급한 목소리는 유명했다. 작중 현재의 정보로 과거를 바꾼다는 내용은 동일하지만,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두 사람이 적대적인 관계로 거듭나진 않는다.

시그널

연출 김원석

출연 이제훈, 김혜수, 조진웅

방송 2016, tvN

상세보기

<시그널>보다 오래됐지만 더 많이 언급되는 영화는 <프리퀀시>. 1999년의 존 설리반(제임스 카비젤)이 아버지의 낡은 라디오를 사용하다가 1969년의 아버지 프랭크(데니스 퀘이드)와 무선 통신을 하게 되는 설정. 이 영화는 '끈 이론' 등을 언급하며 두 사람이 시간을 초월해 연락할 수 있게 된 계기에 과학적인 근거를 덧붙인다는 것이 특징. <콜>에서처럼 과거를 바꿨다가 점차 점입가경으로 빠져드는 1969년의 풍경이 흥미롭다.

포스터에 어울리지 않는 오로라도 이유가 있다.
프리퀀시

감독 그레고리 호블릿

출연 데니스 퀘이드, 제임스 카비젤

개봉 2000.11.25.

상세보기

영화를 관통하는 정서는 전혀 다르지만,  <동감> 또한 함께 언급되고 있다. <동감>은 2000년의 지인(유지태)과 1979년 윤소은(김하늘)이 무선통신으로 교감하는 멜로 영화. 두 사람이 같은 시간대에 머무는 것은 아닌 멜로 영화가 드물어서 <시월애>와 세트로 묶이는 경우도 많다. <콜>과는 정서적으로 전혀 다른 영화지만 이런 유의 한국 영화는 <동감>이 워낙 대표적이라 <콜>을 보고 이 영화를 떠올리는 관객들이 적지 않다.

동감

감독 김정권

출연 김하늘, 유지태

개봉 2000.05.27. / 2020.05.14. 재개봉

상세보기

씨네플레이 성찬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