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그대만>을 리메이크한 일본영화 <유어 아이즈 텔>
유어 아이즈 텔

감독 미키 타카히로

출연 요시타카 유리코, 요코하마 류세이, 마치다 케이타

개봉 2021.03.11.

상세보기

도경수가 <말할 수 없는 비밀>에 캐스팅 됐다. 제목이 익숙하다. 주걸륜 주연의 대만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의 한국 리메이크영화다. 소지섭, 한효주 주연의 <오직 그대만>을 리메이크한 일본영화 <유어 아이즈 텔>이 3월 11일 개봉한다. 이 두 가지 소식을 거의 비슷한 시기에 접했다.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승리호>도 할리우드에서 리메이크 된다고 한다. 이런 뉴스를 계기로 2000년 이후 해외에서 리메이크된 한국영화를 조사해봤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펴낸 <한류NOW> 2019년 9~10월호에 실린 글 ‘한국영화 IP 수출(해외 리메이크) 역사와 전망’을 참고했다.


2000~2010년

2000년부터 2010년은 한국영화의 해외 리메이크가 시작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주로 일본, 미국 등에서 리메이크가 이뤄졌다.

<카타쿠리가의 행복>
<조용한 가족>

<카타쿠리가의 행복>(2001, 일본)
<카타쿠리가의 행복>은 일본영화 좀 본 관객이라면 익숙한 이름 미이케 다카시 감독의 작품이다. 그가 리메이크한 영화는 김지운 감독의 <조용한 가족>이다. 리메이크의 다양한 방법 가운데 <카타쿠리가의 행복>이 선택한 방식은 기존 영화의 설정만 가져오기다. <조용한 가족>이 블랙 코미디 호러 장르라면 <카타쿠리가의 행복>은 코미디에 좀더 비중이 높은 뮤지컬(!) 영화다.

카타쿠리가의 행복

감독 미이케 다카시

출연 사와다 켄지, 마쓰자카 게이코, 다케다 신지, 니시다 나오미

개봉 미개봉

상세보기

일본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
<8월의 크리스마스>

<8월의 크리스마스>(2005, 일본)
허진호 감독의 <8월의 크리스마스>가 일본에서 같은 제목의 영화로 리메이크 됐다. 나가사키 슌이치 감독이 연출하고 야마자키 마사요시, 세키 메구미가 출연했다. 일본 버전 <8월의 크리스마스>는 앞서 소개한 <카타쿠리가의 행복>의 리메이크 전략과는 다르다. 배경만 일본으로 옮겼을 뿐 원작과 거의 모든 것이 똑같은 작품이다. <8월의 크리스마스>가 개봉하기 전 <야수의 심장박동>으로 전주국제영화제에 참석한 나가사키 슌이치 감독은 “한류 열풍 때문에 기획된 영화다. 보면 알겠지만, 스토리나 분위기 모두 원작에 충실하다”라고 말했다.

8월의 크리스마스

감독 나가사키 슌이치

출연 야마자키 마사요시, 세키 메구미

개봉 2007.03.08.

상세보기

<레이크 하우스>
<시월애>

<레이크 하우스>(Lake House, 2006, 미국)
<레이크 하우스>는 대체로 무난한 리메이크작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원작인 이현승 감독의 <시월애>와 <레이크 하우스>의 가장 큰 차이는 공간이다. <시월애>는 석양이 지는 석모도의 갯벌이 배경이었고 <레이크 하우스>는 제목처럼 배경이 호수로 바뀌었다. 영화 속 호수는 일리노이주 쿡 카운티의 메이플 호수라고 한다. 키아누 리브스와 산드라 블록이 각각 이정재와 전지현의 역할을 연기했다.

레이크 하우스

감독 알레한드로 아그레스티

출연 키아누 리브스, 산드라 블록

개봉 2006.08.31.

상세보기

<마이 쎄시 걸>
<엽기적인 그녀>

<마이 쎄시 걸>(My Sassy Girl, 2008, 미국)
<마이 쎄시 걸>은 <엽기적인 그녀>의 할리우드 리메이크 영화다. <엽기적인 그녀>는 미국 버전 말고도 일본판 드라마, 중국판, 베트남판 리메이크가 있다. 미국 버전에서는 엘리샤 커스버트가 전지현 캐릭터에 해당하는 조단 로아크를 연기했다. 커스버트는 <내겐 너무 아찔한 그녀>라는 영화로 알려진 배우다. 참고로 <마이 쎄시 걸>의 배경은 뉴욕이다.

마이 쎄시 걸

감독 얀 사뮤엘

출연 제시 브래포드, 엘리샤 커스버트

개봉 2008.10.30.

상세보기

<미러>
<거울 속으로>

<미러>(Mirror, 2008, 미국)
<미러>와 <거울 속으로>는 어떻게 같고 다를까. 유지태, 김명민, 김혜나 등이 출연한 <거울 속으로>와 키퍼 서덜랜드, 폴라 패튼 등이 출연한 <미러>는 거울이라는 장치와 공포를 연결시킨 작품이라는 점에서 같다. 다른 점은? 아마도 잔혹한 정도? <미러>에는 <엑스텐션> 등을 통해 호러 신동이라고 불렸던 알렉산드로 아야 감독만의 분위기가 남았다. 그 분위기가 공포의 차이를 만들었다.

미러

감독 알렉산드르 아야

출연 키퍼 서덜랜드, 폴라 패튼

개봉 2008.09.18.

상세보기

<안나와 알렉스: 두 자매 이야기>
<장화, 홍련>

<안나와 알렉스: 두 자매 이야기>(The Uninvited, 2009, 미국)
<장화,홍련>의 수미(임수정)와 수연(문근영)이 미국으로 건너가 안나(에밀리 브라우닝)와 알렉스(아리엘 케벨)가 됐다. <안나와 알렉스: 두 자매 이야기>(이하 <안나와 알렉스>)는 김지운 감독의 <장화, 홍련>의 리메이크 영화다. 박평식 평론가는 <안나와 알렉스>에 대해 “리메이크가 아니라 리폼, 괴상하게 뜯어고친”이라는 평가를 남겼다.

안나와 알렉스: 두 자매 이야기

감독 찰스 가드, 토머스 가드

출연 에밀리 브라우닝, 아리엘 케벨, 데이빗 스트라탄, 엘리자베스 뱅크스, 마야 매자

개봉 2009.04.09.

상세보기

2010~2020년

2000년부터 2010년의 한국영화 해외 리메이크는 대체로 판권의 판매로 이뤄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2010년부터는 양상이 달라졌다. 대표적인 영화가 CJ ENM의 <수상한 그녀>다. <수상한 그녀>는 모두 7개국에서 리메이크 됐는데 공동제작 등 전략적으로 해외 진출을 모색했다. 특히 베트남, 중국 등으로의 진출이 활발했다.

<분신사바: 저주의 시작>
<분신사바>

<분신사바: 저주의 시작>(筆仙, 2012, 중국)
<분신사바: 저주의 시작>(이하 <저주의 시작>)은 분신사바의 중국어인 ‘필선’이라는 제목으로 중국에서 개봉한 영화다. 이후 국내에 다시 수입되면서 제목이 지금과 같이 바뀌었다. <저주의 시작>은 <분신사바>를 연출한 안병기 감독의 중국 진출작이다. <분신사바>의 리메이크라기보다 <분신사바> 시리즈라고 봐야 옳을 듯하다. 리메이크라고 본다면 감독이 직접 중국으로 가서 연출한 ‘셀프 레메이크’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분신사바: 저주의 시작>은 중국 및 국내에서 꽤 좋은 평가를 받은 작품이다.

분신사바-저주의 시작

감독 안병기

출연 메이팅, 궈징페이

개봉 2014.09.24.

상세보기

미국영화 <올드보이>
<올드보이>

<올드보이>(Old Boy, 2013, 미국)
한국영화 리메이크를 얘기할 때 <올드보이>를 빼놓을 수 없다.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가 할리우드에서 리메이크 된다고 했을 때 많은 이들이 기대했다. 스파이크 리 감독이 연출하고 조슈 브로린이 출연한다고 했을 때 기대는 더 커졌지만 원작 <올드보이>에 비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스파이크 리 감독도 리메이크 영화의 한계를 넘어서지 못했다.

올드보이

감독 스파이크 리

출연 조슈 브롤린, 엘리자베스 올슨, 샬토 코플리, 사무엘 L. 잭슨

개봉 2013.10.11. / 2014.01.16. 재개봉

상세보기

<이별계약>
<선물>

<이별계약>(分手合约, 2013, 중국)
<이별계약>은 오기환 감독의 연출작이다. 한중 합작 영화다. 이정재와 이영애가 출연한 오기환 감독의 <선물>에서 시작된 프로젝트다. 위에서 언급한 <저주의 시작>처럼 리메이크라고 하기에는 많은 부분이 다르다. <이별계약>은 중국에서 꽤 흥행했다. 약 400억 원의 흥행 수입을 올렸다. <선물>은 터키에서 <핫 스위트 사워>(Hot Sweet Sour, 2017, 터키)라는 제목으로 리메이크 되기도 했다.

이별계약

감독 오기환

출연 펑위옌, 바이바이허, 장경부

개봉 2013.06.20.

상세보기

<몬스터즈>
<초능력자>

<몬스터즈>(MONSTERZ, 2014, 일본)
<몬스터즈>는 강동원, 고수 주연의 <초능력자>의 리메이크 영화다. 후지와라 타츠야, 야마다 타카유키, 이시하라 사토미 등이 출연했다. <링>으로 유명한 나카다 히데오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몬스터즈

감독 나카다 히데오

출연 후지이 미나, 후지와라 타츠야, 이시하라 사토미, 나가노 타이가, 야마다 타카유키, 타구치 토모로오, 오치아이 모토키

개봉 미개봉

상세보기

<나는 증인이다>
<블라인드>

<나는 증인이다>(我是证人, 2015, 중국)
<나는 증인이다>는 김하늘, 유승호이 출연한 안상훈 감독의 <블라인드> 중국 버전이다. <나는 증인이다>  역시 앞서 소개한 <저주의 시작>, <이별계약>과 유사한 형태로 리메이크 된 영화다. 안상훈 감독이 직접 리메이크작도 연출했다. 약 380억 원의 흥행 수입을 기록했다. 국내 감독이 중국 현지에서 연출한 영화들은 대체로 성공적이었다.

나는 증인이다

감독 안상훈

출연 양미, 루한, 주아문

개봉 2016.09.14.

상세보기

(왼쪽부터) <미스 그래니>, <다시 또 스물>
(왼쪽부터) <20세여 다시 한번> <내가 니 할매다>
<고-고 시스터즈>

나문희, 심은경이 출연한 <수상한 그녀>를 원작으로 제작된 리메이크 영화는 7개국에서 제작됐다. <내가 니 할매다>(Em la ba noi cua anh, 2015, 베트남), <20세여 다시 한번>(重返20歲, 2015, 중국), <다시 또 스물>(Suddenly Twenty, 2016, 태국), <싱 마이 라이프>(あやしい彼女, 2016, 일본), <20 포에버>(20 Forever, 2017, 인도네시아), <미스 그래니>(Miss Granny, 2018, 필리핀), <오! 베이비>(Oh! Baby, 2019, 인도) 등이다. 또 심은경 주연의 <써니>는 <고-고 시스터즈>(Go-Go Sisters, 2018, 베트남), <써니: 강한 마음, 강한 사랑>(SUNNY 強い気持ち・強い愛, 2018, 일본) 등으로 리메이크 됐다.


(왼쪽부터) <록키 핸섬>, <몽타주>

2010년 이후 인도에서의 한국 영화 리메이크도 이뤄지기 시작했다. <몽타주>(Te3n, 2016, 인도)는 엄정화, 김상경이 출연한 <몽타주>가 원작이다. <록키 핸섬>(Rocky Handsome, 2016, 인도)은 원빈 주연의 <아저씨>를 리메이크한 영화다.

몽타주

감독 다스굽타 리부

출연 아미타브 밧찬, 나와주딘 시디퀴, 비드야 발란

개봉 미개봉

상세보기
록키 핸섬

감독 니쉬칸트 카마트

출연 존 에이브러햄

개봉 미개봉

상세보기

<22년 후의 고백>
<내가 살인범이다>

<22년 후의 고백>(22年目の告白―私が殺人犯です―, 2017, 일본)
<22년 후의 고백>은 정재영, 박시후가 출연한 정병길 감독의 <내가 살인범이다>의 일본 리메이크 영화다. <22년 후의 고백>의 주연은 후지와라 타츠야가 맡았다. 그는 <초능력자>의 리메이크 영화 <몬스터즈>에도 출연했다.

22년 후의 고백

감독 이리에 유

출연 후지와라 타츠야, 이토 히데아키

개봉 2018.01.17.

상세보기

(왼쪽부터) <미씽: 사라진 여자> <조도니>

<조도니>(找到你, 2018, 중국)
<조도니>는 엄지원, 공효진 주연, 이언희 감독 연출의 <미씽: 사라진 여자>(이하 <미씽)의 중국 리메이크 영화다. <미씽>은 조선족 보모 한매(공효진)이 등장한다. 중국에서는 농촌 출신의 보모라는 설정으로 바뀌었다.

조도니

감독 뤼러

출연 야오천, 마이리

개봉 미개봉

상세보기

<모어 댄 블루>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

<모어 댄 블루>(比悲傷更悲傷的故事, 2018, 대만)
대만 멜로영화 <모어 댄 블루>는 권상우, 이보영이 출연한 원태연 감독의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의 리메이크 영화다. <안녕, 나의 소녀>의 류이호와 <청설>의 진의함이 출연했다. 원태연 감독은 <넌 가끔가다 내 생각을 하지 난 가끔가다 딴 생각을 해>, <손 끝으로 원을 그려봐 네가 그릴 수 있는 한 크게 그걸 뺀만큼 널 사랑해> 등의 시집으로 유명한 시인이다.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는 직접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한 데뷔작이다.

모어 댄 블루

감독 임효겸

출연 류이호, 진의함

개봉 2018.12.12.

상세보기

<대인물>
<베테랑>

<대인물>(大人物, 2018, 중국)
<대인물>은 황정민, 유아인 주연, 류승완 감독 연출의 <베테랑>의 중국 리메이크 영화다. <대인물>은 2020년 10월 기준으로 중국에서 개봉한 한국 리메이크 영화 가운데 가장 좋은 성적을 낸 작품이다. 1052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2020년~

2020년 한국 영화의 리메이크는 새로운 양상으로 접어들었다. 넷플릭스를 비롯한 OTT(Over the Top) 시장의 활성화에 따른 변화처럼 보인다. <킹덤>과 같은 국내 제작 넷플릭스 오리지널 컨텐츠가 세계 시장에 바로 공개되는 시대가 됐다. 넷플릭스로 공개한 <승리호>, K좀비 열풍의 근원지인 <부산행> 등이 해외에서 리메이크 될 예정이다.

<설국열차>
TV시리즈 <설국열차>

<설국열차>(Snowpiercer, 2020, 미국)
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는 할리우드에서 TV시리즈로 리메이크 됐다. TBS와 넷플릭스에서 방영됐다. 얼어붙은 지구를 끊임없이 달리는 열차를 배경으로 하는 원작의 설정을 그대로 가져왔으나 스토리는 많이 다르다. 각색이 많이 이뤄졌다. 리메이크 <설굴열차>는 계급 투쟁의 이야기라기보다 수사물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았다.


씨네플레이 신두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