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잠했던 극장가에 활력이 돌기 시작했다. <007 노 타임 투 다이>를 시작으로 <>, <이터널스>와 같은 할리우드 대작들이 연이어 스크린을 찾았기 때문. 그중에서도 <>의 행보가 눈에 띈다. OTT의 시대로 극장의 존폐 여부가 나날이 이어지는 가운데, <>은 극장이 존재해야만 하는 이유를 여실히 증명해 내고 있다. 오로지 스크린을 통해서만 느낄 수 있는 영화적 쾌감. <>1.43:1 화면비를 고스란히 거대한 스크린에 영사함으로써 영화 관람을 체험의 경험으로 이끈다. 관람객들 사이 입소문의 위력은 꽤 대단했다. 상영 내내 용산 IMAX 관은 빈자리를 찾아볼 수 없었으며, 마블의 신작 <이터널스>의 개봉에도 불구하고 인기에 힘입어 재상영을 확정했다. 이처럼 종종 관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는 IMAX 상영 영화들이 있다. 그럴 때면 주기적으로 떠오르는, IMAX로 다시 보고 싶은 영화들을 선정해 봤다.


<블레이드 러너2049>
<블레이드 러너2049>

<블레이드 러너 2049>

영화 마니아들 사이, 전설처럼 내려오는 IMAX 재상영 기원 상위권에 항상 위치하는 작품 <블레이드 러너 2049>. 리들리 스콧 감독의 <블레이드 러너>(1982) 시퀄로 <>, <컨택트> 연출한 드니 빌뇌브 감독의 야심작이다. SF계의 바이블로 불리는 전편의 위상에 대한 부담감에도 불구하고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다. 흥행에는 실패했으나 평단의 호평, 90회 아카데미 시상식 촬영상, 시각효과상이라는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

<블레이드 러너2049>

<블레이드 러너2049> 풀타임 1.90:1 IMAX 화면비를 갖춘 영화다. 그러나 IMAX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 촬영 감독인 로저 디킨스는 <블레이드 러너2049> 2D 와이드 스크린, 즉 시네마스코프 비율로 촬영했다고 밝혔다. IMAX가 최적의 관람 환경을 제공하는 건 아니지만 드니 빌뇌브 감독과 로저 디킨스가 담아낸 미장센은 그 어떤 IMAX 영화보다 놀라운 황홀함을 선사할 것이다. 그러니 최대한 화면의 잘림 없이 관람하길 추천한다. <블레이드 러너 2049>만의 IMAX 카운트다운 로고 또한 IMAX로 봐야 할 이유다. 덧붙여 한스 짐머의 저음이 강조된 오리지널 스코어 또한 백미다.

블레이드 러너 2049

감독 드니 빌뇌브

출연 라이언 고슬링, 해리슨 포드

개봉 2017.10.12.

상세보기

<덩케르크>

<덩케르크>

IMAX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감독? 망설임 없이 크리스토퍼 놀란이다. 크리스토퍼 놀란은 상업 영화 최초로 IMAX 카메라를 도입해 촬영한 감독이다. 그렇게 탄생한 작품이 <다크 나이트>다. 오프닝 시퀀스의 조커(히스 레저)의 등장부터 펼쳐지는 1.43:1의 풀 IMAX 화면은 그저 경이로울 정도. <다크 나이트>보다 더 많은, 무려 총 165분의 러닝타임 중 약 70분을 IMAX에 할애한 <다크 나이트 라이즈>도 빼놓을 수 없다. 그러나 IMAX의 진가를 맛보고 싶다면 지난 2017년 개봉한 <덩케르크> 봐야 한다.

<덩케르크>
<덩케르크> 화면비 차이

무작정 IMAX 화면비를 자랑하는 분량이 많다고 해서 좋은 영화가 아니다. 화면비의 전환을 적절하게 사용할 줄 아는 영화가 영리한 영화다. 만약 둘 다 갖췄다면? 그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 <덩케르크>. <덩케르크> IMAX 디지털 카메라가 아닌 70mm IMAX 필름 카메라로 촬영된 작품이다. 놀란은 제작 단가가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무려 러닝타임의 75%를 IMAX 필름으로 촬영했다. 이는 오프닝 시퀀스부터 스핏 파이어의 공중전투 신까지 적절하게 활용되며 영화적 완성도를 높였다. 감독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1.43:1의 화면비를 온전히 영사할 수 있는 상영관이 필요한데, 때마침 <덩케르크> 개봉과 맞물려 국내 용산 CGV가 리뉴얼을 마치고 1.43:1의 스크린을 보유한 IMAX 관을 오픈해 화제가 된 바 있다. 당시 관람객들의 극찬과 함께 ‘용아맥’ 예매 대란의 서막을 연 장본인이다.

IMAX 카메라로 촬영 중인 크리스토퍼 놀란(가운데) 감독.
덩케르크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

출연 톰 하디, 킬리언 머피, 케네스 브래너, 마크 라이런스, 해리 스타일스, 핀 화이트헤드, 아뉴린 바나드, 톰 글린 카니, 잭 로던, 배리 케오간

개봉 2017.07.20.

상세보기

<인터스텔라>
<인터스텔라>

<인터스텔라>, <퍼스트맨>

앞서 소개한 놀란의 작품 가운데 <인터스텔라> 소개를 잠시 뒤로 미룬 이유. IMAX의 진가를 느낄 수 있는 영화의 장르를 뽑자면 우주를 소재로 한 SF 영화가 있다. 그 중 소개할 작품은 크리스토퍼 놀란의 <인터스텔라>와 데이미언 셔젤의 <퍼스트맨>이다. <인터스텔라>의 경우 169분 중 66분이 IMAX 카메라로 촬영됐으며, 이 역시 1.43:1의 화면비에서만 온전히 즐길 수 있다. 우주에서의 도킹 장면, 웜홀, 밀러 행성 등 IMAX 화면으로 관람했을 때 그 자체로 압권인 장면들이 많다. 국내에서 인기리에 여러 번 재개봉한 작품이기도.

<퍼스트맨>

잘 언급되진 않지만 IMAX 화면비를 적절하게 쓴 SF 영화가 바로 <퍼스트맨>이다. <라라랜드> 데이미언 셔젤 감독이 연출한 차기작 <퍼스트맨> 우주 영화라기보다 사실 닐 암스트롱이라는 한 인간의 드라마에 가깝다때문에 타 SF 영화들에 비하면 정적인 편이지만 데이미언 셔젤은 클라이맥스에 2.39:1의 시네마스코프 화면비를 1.43:1 IMAX 화면비로 확장 시키며 달에 첫발을 내딛음으로써 새로운 세계를 연 인류의 발걸음을 영리하게 그려 냈다.

인터스텔라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

출연 매튜 맥커너히, 앤 해서웨이, 마이클 케인, 제시카 차스테인

개봉 2014.11.06. / 2016.01.14. 재개봉

상세보기
퍼스트맨

감독 데이미언 셔젤

출연 라이언 고슬링, 클레어 포이

개봉 2018.10.18.

상세보기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토르: 라그나로크>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토르: 라그나로크>, <아쿠아맨>
 
IMAX의 활용은 슈퍼히어로 장르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는 상업 영화상 최초로 러닝타임을 전부 IMAX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해 채운 의미 있는 영화다. 이어서 개봉한 <어벤져스: 엔드게임> 역시 마찬가지다. 디지털이기에 1.43:1이 아닌 1.90:1의 화면비로 접해볼 수 있다. 두 작품보다 조금 더 앞서서 IMAX로 인상 깊은 몇몇 장면들을 만나볼 수 있었던 의외의 작품이 있다. 타이카 와이티티 감독이 연출한 토르의 세 번째 시리즈 <토르: 라그나로크>. 극장을 걸어 나오며 IMAX의 활용에 감탄했던 점을 떠올려보자면 감히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보다도 한 수 위가 아닐까 하는 소신 발언을 해본다. <토르: 라그나로크>130분 중 약 40분가량이 IMAX 전용 화면비로 상영됐다. 무스펠헤임에서의 오프닝 전투 시퀀스부터 발키리(테사 톰슨)의 과거 회상 등 다수의 장면이 거대한 화면을 통해 감각적으로 스크린에 펼쳐진다.

<토르: 라그나로크>

DC의 <아쿠아맨>도 그 연장선에 있는 영화다. <아쿠아맨><토르: 라그나로크>보다 50분 더 많은 90분 분량을 IMAX에 할애했다. <토르: 라그나로크>와 마찬가지로 일반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해 일부 장면을 IMAX 화면비로 전환한 케이스다. 아틀란티스 왕국과 트렌치의 영역, 후반 옴(패트릭 윌슨)과의 전투 신까지 제임스 완 감독이 연출해낸 화려한 비주얼과 미장센은 큰 스크린 관람을 놓쳐서는 안 될 <아쿠아맨> 하이라이트다.

<아쿠아맨>

<1917>

<1917>
 
오스카 트로피를 두고 <기생충>과 대립했던 그 작품. 샘 멘데스 감독의 <1917>은 독특한 촬영 기법과 연출을 통해 영화팬들의 갈증을 해소시켜줬다. 일명 원 컨티뉴어스 숏’(One Countinuous Shot)으로 장면들을 롱테이크처럼 느껴지게 이어 붙이는 것. 이에 맞춰 동선과 촬영을 맞춰야 한다는 점이 촬영감독을 맡은 로저 디킨스에게도 도전적으로 다가온 작품이었다고. 로저 디킨스는 <1917><블레이드 러너 2049>에 이어 두 번째 아카데미 촬영상 수상에 성공했다.

<1917>

샘 멘데스와 로저 디킨스의 호흡은 제1차 세계대전이라는 극한의 전장 상황을 관객들에게 체험하게끔 만들었다. 한 순간의 여유도 없이 목숨을 걸고 나아가야만 하는 주인공의 여정이자 지옥 한복판에 관객들을 끌어 앉힌 셈이다. 이러한 체험은 IMAX로 관람했을 때 더욱 극대화된다. <1917>은 풀타임 1.90:1 IMAX 화면비를 자랑하는 영화다. 전쟁을 목격하기보다 체험하라는 감독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빛을 담아내는데 특출난 로저 디킨스의 장기가 경이롭게만 느껴지는 중반부는 IMAX로 관람했을 때 더욱 묵직한 여운을 선사한다. 국내 개봉 당시 입소문을 타고 IMAX 관객이 늘었으며, 코로나19의 타격을 받아 개봉작이 사라진 탓에 뜻하지 않은 IMAX 장기 상영(?)을 누리기도 했다.

<1917> 촬영장에서 로저 디킨스(왼쪽) 촬영감독과 샘 멘데스(오른쪽) 감독.
1917

감독 샘 멘데스

출연 조지 맥케이, 딘-찰스 채프먼

개봉 2020.02.19.

상세보기

씨네플레이 문선우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