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반가운 (그런데 이제 힘이 아주 센) 동창 만나듯
★★★
확실하게 ‘아는 즐거움’으로 승부한다. “나쁜 놈은 그냥 잡는” 단순하고 속 시원한 일갈이 시리즈를 관통하는 여전한 통쾌함이다. 웬만해선 안위가 걱정되지 않는 주먹, 한 끗 모자란 언어 감각의 소유자인 마 형사를 다시 만나는 반가움은 아직 확실하다. 악당을 두 명으로 내세웠지만 파괴력은 오히려 덜한 편. 잔혹한 묘사는 이미 충분한 것으로 봐서 캐릭터 설계 차원에서의 아쉬움으로 지적할 만하다. 비슷한 템플릿 안에서 사건과 몇 가지 디테일을 변주하는 반복성, 유머와 개그 사이의 중심 잡기가 앞으로의 과제로 보인다.
이지혜 영화 저널리스트
이 주먹 어디까지 세지는 거예요?
★★☆
이제 마동석의 마석도는 형사라기보다는 슈퍼히어로다. 시리즈를 거듭하며 파워를 더해간 주먹은 마음 졸이지 않고 액션을 즐길 수 있게 한다. 결국 악당들은 마형사에게 무참히 맞을 것이며 정의는 그의 근육으로 실현될 거니까. 세 편의 영화에서 동일하게 반복된 악당의 등장과 범죄의 심화, 마석도의 응징은 이 프랜차이즈의 색깔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너무나 쉽게 예측 가능하다. 이번에는 빌런을 둘로 쪼개는 변주를 줬지만 큰 틀은 동일하다. 반복되는 시리즈의 피로를 마동석 개인의 매력으로 돌파하는 것은 여전하나 이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기대 속 선방, 풀어야 할 숙제
★★★
마석도(마동석) 등장과 함께 객석에서 웃음이 터져 나오는 걸 보면서 관객들이 이 영화에 웃을 준비를 하고 왔음을, 마동석이라는 배우를 매우 좋아한다는 걸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었다. 이것이 <범죄도시>가 쌓은 브랜드 힘이고, 마동석과 마석도가 빚어낸 시너지일 것이다. <범죄도시3>는 관객의 기대 포인트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석도 특유의 원펀치 괴력은 여전하고, 예상 못 한 지점을 파고드는 유머도 유효하다. 비슷한 차림새임에도, 몇몇 변주를 통해 식상한 느낌을 최소한 것이 특기할 만. 1편의 빌런들이 워낙 개성 충만했었던지라 빌런 만족도에 대한 허들이 높은 건 어쩔 수 없는 일인데, 그런 면에서 이준혁이 연기한 ‘빌런 직업’은 다소 의외이긴 하다. 한국 범죄물에서 너무 흔하게 사용돼 온 악인 직업인지라, 경우의 수가 다 읽힌달까. 마석도의 매력은 다시 한번 확인 사살했으니, 시리즈 장기 연장의 꿈을 위해선 빌런 캐릭터 빌드업에 각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유미 영화 저널리스트
흥행 시리즈의 뒷걸음질
★★★
2편의 천만 흥행으로 코로나 시대에 한국 영화의 구원투수가 된 <범죄도시>는 시리즈 제작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성급히 서두른 탓인지 3편의 만듦새는 전편만 못하다. 금천서를 떠난 마석도 형사가 광역수사대로 무대를 넓혀 새로운 팀원들과 활동하는 설정으로 변화를 꾀하지만, 결과는 신통찮다. 나쁜 놈은 맞아야 한다는 마석도의 통쾌한 응징 액션과 새 캐릭터들이 꾸리는 웃음 타율 정도에 만족해야 한다. 이를 제외하곤 한국형 범죄 액션 영화 공식에 짜 맞춘 모양새에 헐거운 구석까지 심심찮게 드러난다. 이 시리즈를 추동하는 기획력에 주춤 신호가 감지된다. 아오키 무네타카, 쿠니무라 준 등 야심 차게 기용한 일본 배우들과 새로 합류한 좋은 배우들의 활용에도 아쉬움이 든다. 이준혁은 악역의 한계와 상관없이 연기 폭이 넓은 배우임을 입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