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석 영화 저널리스트
해녀들
★★★☆
류승완 표 장르 영화. 1970년대를 배경으로 김추자부터 김창완까지 당대의 강렬한 사운드를 전면에 내세운다. 밀수는 거들 뿐, 영화는 해녀들 사이의 오해와 갈등과 거친 우정에 초점을 맞춘다. 액션 장면의 긴장감은 류승완 감독 특유의 영화적 쾌감을 느끼게 하지만, 그 사이의 드라마에선 조금 텐션이 떨어진다. 그럼에도 클라이맥스의 수중 액션은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긴장을 자아내며, 엔딩 역시 깔끔하다.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다채로운 캐릭터 무비에 더해진, 처음 만나는 활력
★★★☆
삶의 터전과 소중한 이들을 잃은 자의 복수심, 돌아온 탕아, 피할 수 없는 승부. <밀수>는 이 같은 서부극의 기본 공식을 흥미롭게 변형한다. 주인공은 춘자(김혜수)와 진숙(염정아)의 구도로, 공간 배경은 바닷가로 바꾼다. 여기에 더해진 것이 다채로운 캐릭터 무비로서의 재미다. 물 밖의 남자들이 욕망을 좇을 때 물속의 여자들은 역경을 돌파하기 위해 서로를 부둥켜안는다. 춘자와 진숙, 해녀들과 옥분(고민시)로까지 이어지는‘불굴의 워맨스’는 꿍꿍이로 칭칭 감긴 비열한 밧줄을 끊는 힘이자 영화의 핵심 동력이다. 타격감과 속도를 강조한 물 밖, 유연성과 넓은 공간 활용이 두드러지는 수중까지 액션 연출의 활력은 만점에 가깝다. 선배 배우들이 안정적으로 단단히 영화를 붙들며 판을 만들어주는 사이, 출중하게 날아다니는 건 박정민과 고민시의 몫이다.
이지혜 영화 저널리스트
한번 참은 숨으로 쭉 내달리는 기세
★★★
<밀수>의 가장 큰 장점은 속도감이다. 다양한 인물들이 모이고 그들이 하나의 목표물을 강탈하기까지의 과정을 빠르게 진행한다. 조용한 어촌 마을이 밀수의 본거지가 되기까지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한 해녀들이 중심이 되는데, 그들의 의리만큼이나 배신과 갈등이 작전을 수행하는 내내 암초처럼 불거진다. 평이한 이야기를 따라가게 만드는 데는 배우들의 존재감이 큰 역할을 한다. 염정아는 우직하게 해녀들을 이끌고, 김혜수는 정확히 그 반대 지점에서 똘똘 뭉친 이들을 뒤흔든다. 주연부터 조연까지 적재적소에 배치된 앙상블 캐스팅을 보는 즐거움이 크다.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관객이여, <밀수>행 어선을 타라
★★★☆
호방한 개성을 뽐내는 한국형 하이스트 어촌활극. 남성을 위해 쓰인 각본에서 성별만 단순하게 바꿔서 내놓은 시류 편승 영화가 아니라, 여성 캐릭터 개성은 물론 그런 인물을 연기한 배우 특징까지도 고려해 빌드업한 각본이라는 점이 각별하게 다가온다. 클라이맥스를 장식하는 맨몸 수중 액션의 형식미도 흥미롭지만, 좁은 호텔 복도/방에서의 액션도 박력 넘친다. 전자가 아이디어와 의미가 돋보인다면, 후자는 액션 키드로 영화판을 주름잡아 온 류승완의 DNA가 흩뿌려져 쾌감을 전한다. 김혜수-염정아의 워맨스가 들숨과 날숨처럼 어우러지는 가운데, 조인성은 자신의 ‘화보 인생 컬렉션’ 상단에 위치할 아름다운 이미지 하나를 확실하게 챙긴다. 전개가 다소 늘어진다 싶은 구간에서 인공호흡기 역할을 하는 건, 고민시와 박정민. 고민시는 숨은 매력을 물 만난 듯 풀어내고, 박정민은 장도리(캐릭터)로 자신의 존재감을 신마다 박아낸다. 쾅쾅.
정유미 영화 저널리스트
상업 영화의 제맛을 살린
★★★
시원한 오락 영화다.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범죄 액션 코미디에 한국 여성 버디물의 계보까지 잇는다. 케이퍼 무비와 시대극의 볼거리도 맞춤 제공한다. 가벼움과 재미를 추구하는 상업 영화의 미덕을 아는 류승완 감독이 정갈하게 차린 모둠회 한 상을 받는 기분이다. 액션 장인다운 감독의 특제 액션은 짜릿한 손맛까지 안긴다. 본 적 없는 색다른 재미를 기대한다면 아쉬울 수 있지만, 배우들이 기대를 넘어서는 팀플레이로 유쾌한 시너지를 내며 아쉬움을 상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