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201740주차 북미 박스오피스 시간입니다. 이미 언급했지만 최악의 8월을 지나 9월이 되면서 북미 극장가가 어느 정도 활기를 띄게 되었습니다. 영화팬의 한사람으로서 반가운 일이며 이제 겨울시즌이 다가오면서 부진했던 여름시즌을 만회해주길 바라는 마음, 간절합니다. 10월의 첫 테이프를 끊을 영화가 드디어 도착했습니다. 당연히 35년 묵은 한을 풀어주리라 믿어 의심치 않으면서 말이죠. 주말 북미 극장가의 성적과 순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블레이드 러너 2049
Blade Runner 2049
(NEW)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88% / 관객: 83%
IMDb 사용자 지수 - 8.6/10 (56,621 Votes)

- 주말 수익: $32,753,122
- 상영관 수: 4,058
- 평균 수익: $8,071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32,753,122 ($82,737,289)
- 총 제작 예산: $150,000,000
- 상영 기간: 1주
- 스튜디오: WB

. 금요일 오프닝 스코어가 공개되었을 때 저도 모르게 튀어나온 한 마디입니다. 워너의 야심작 <블레이드 러너 2049>의 이야기입니다. 이 영화의 이야기를 간단하게 하자면, 1979<에이리언>으로 SF 호러영화의 신기원을 열었던 리들리 스콧 감독의 두번째 작품이 바로 이 영화의 전작인 <블레이드 러너>였습니다. <에이리언>이 북미에서만 8천만불의 성적을 기록했는데 이 성적은 지금 티켓 가격으로 계산하면 거의 3억불 가까운 어마어마한 성적입니다. 당연히 차기작인 <블레이드 러너>에 많은 관심이 갔겠죠. 그런데 하필 공개된 시점이 스티븐 스필버그의 <E.T>가 북미 극장가를 쑥대밭으로 만들고 있을 때였습니다. <E.T>3주째 북미 극장가 1위를 지키고 있을 때 개봉된 <블레이드 러너>는 한 마디로 <E.T>에게 처참하게 눌리고 말았습니다. <E.T>가 북미에서만 4억불 이상의 성적을 올리는 동안 <블레이드 러너>가 북미에서 거둬들인 토탈 수입은 32백만불. 1/10도 안되는 북미 성적입니다. 게다가 당시엔 성적도 성적이지만 영화에 대한 평가도 그다지 좋지 못했죠.

그랬던 것이 신기하게도 세월이 흐르면서 영화에 대한 재평가가 계속 이루어지고 소위 팬덤이 형성되면서 망한 SF 영화에서 SF 걸작 영화로 재탄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팬들의 관심을 워너로선 무시할 수가 없었고 속편이 제작됩니다. 무려 35년 만에 말이죠. 이미 <프리즈너스>,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 등으로 주목받았으며, 작년에 <컨택트>라는 영화로 비평과 흥행,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았던 드니 빌뇌브가 연출을 맡았고 오리지날 주연인 해리슨 포드와 라이언 고슬링 등이 출연하면서 영화에 대한 기대치는 점점 더 높아만 갔습니다. 현지에서 예상하는 오프닝 스코어도 매주 약간씩이나마 올라가면서 지난주까지만해도 약 5천만불 중반대까지 올라간 상태였습니다. 영화에 대한 평가는 말할 필요도 없었죠. 워너의 이전작인 <그것>이 바로 전주 예상 오프닝이 7천만~8천만불이었다가 막상 개봉하니까 1억불을 훌쩍 넘겼듯이 워너로선 은근히 대박을 기대했을 겁니다. 하지만. 공개된 주말성적은 놀랍게도 32백만불. 공교롭게도 전작의 북미 토탈 성적을 오프닝 스코어로 기록했습니다. 잘 나온 성적? 당연히 아닙니다. 공개된 순제작비만 15천만불인데 이 정도면 토탈 제작비로 계산했을 때 최하 2억불 이상이 들어갔다는 이야기입니다. 잘나가던 워너가 지지난주 <레고 닌자고 무비>로 삐거덕대더니 <블레이드 러너 2049>의 오프닝 성적을 보고 한숨을 쉬게 되었습니다.
 
영화에 대한 평가도 훌륭하고 이 영화를 기다렸던 팬들이 엄청나게 많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어디가 문제인 건지 모르겠군요. 배급사인 워너가 가장 답답하겠죠? 11월에 공개될 <저스티스 리그>의 어깨가 더 무겁게 되었습니다. 오늘까지 누적된 월드와이드 스코어는 82백만불인데요, 과연 이 영화. 시작부터 제작비 회수를 걱정해야 할 처지입니다. 부디 북미에선 크게 성공하긴 이미 틀렸고, 해외에서라도 어느 정도 만족할 만한 성적을 올려주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블레이드 러너팬들. 기죽지 마시길.

블레이드 러너 2049

감독 드니 빌뇌브

출연 라이언 고슬링, 해리슨 포드

개봉 2017 영국, 캐나다, 미국

상세보기

2
우리 사이의 거대한 산
The Mountain Between Us
(NEW)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44% / 관객: 52%
IMDb 사용자 지수 - 6.1/10 (1,373 Votes)

- 주말 수익: $10,551,336
- 상영관 수: 3,088
- 평균 수익: $3,417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10,551,336 ($14,209,191)
- 총 제작 예산: $35,000,000
- 상영 기간: 1주
- 스튜디오: Fox

금주 2위 역시 신작입니다. 비행기 사고로 인해 조난 당한 두 주인공이 펼치는 이야기, <우리 사이의 거대한 산>입니다.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하는 작품인데요, 주말 3일간 기록한 이 영화의 오프닝 스코어는 정확하게 1천만불입니다. 케이트 윈슬렛과 이드리스 엘바가 주연을 맡은 작품인데요, 케이트 윈슬렛은 이미 조난 경험이 있죠? 이드리스 엘바는 작년 초 디즈니의 <주토피아>와 <정글북>에 목소리 출연하면서 영화는 대박이 났었는데 정작 그 뒤로 본인이 직접 출연한 영화들은 줄줄이 흥행에서 재미를 못 보고 있습니다. 극장 수도 그렇고 오프닝 스코어도 특별하게 인상적이진 못합니다.  

우리 사이의 거대한 산

감독 하니 아부 아사드

출연 이드리스 엘바, 케이트 윈슬렛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3
그것
It
(▼1)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85% / 관객: 86%
IMDb 사용자 지수 - 7.8/10 (141,738 Votes)

- 주말 수익: $9,972,002 (-41%)
- 상영관 수: 3,605 (-312)
- 평균 수익: $2,766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305,250,480 ($604,350,480)
- 총 제작 예산: $35,000,000
- 상영 기간: 5주
- 스튜디오: WB (NL)

금주 3위, 워너의 <그것>이 지난주 2위에서 한계단 내려왔습니다. 주말에 북미 3억불을 돌파하면서 여전히 뜨거운 흥행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감안해서 계산하면 약간 내용이 달라지지만, 단순히 거둬들인 흥행성적만 놓고 보면 호러영화 역사상 처음으로 북미 3억불을 돌파한 작품이 되었으며 당연히 역대 호러영화들 중 흥행 1위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1위는 <식스센스>가 기록했던 2억 9천 3백만불이었습니다. 북미 3억불 돌파와 함께 월드와이드 성적도 6억불을 동시에 돌파했습니다. R등급 호러영화가 월드와이드로 6억불을 돌파했다는 게 참 대단합니다. 과연 이 영화의 최종 스코어가 어디까지 갈지 무척이나 궁금합니다. 과연 <식스센스>가 가지고 있는 월드와이드 6억 7천만불도 넘어설지 기대가 됩니다.

그것

감독 안드레스 무시에티

출연 빌 스카스가드, 제이든 리버허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4
마이 리틀 포니: 더 무비
My Little Pony: The Movie
(NEW)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56% / 관객: 89%
IMDb 사용자 지수 - 6.9/10 (1,513 Votes)

- 주말 수익: $8,885,899
- 상영관 수: 2,528
- 평균 수익: $3,515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8,885,899 ($12,685,899)
- 총 제작 예산: N/A
- 상영 기간: 1
- 스튜디오: LGF

금주 4위는 라이온스게이트에서 배급한 애니메이션 <마이 리틀 포니: 더 무비>입니다. 지난주에 언급했듯이 <트랜스포머> 시리즈로 유명한 완구회사 하브스로의 인기 캐릭터입니다. 많이 익숙한 캐릭터죠? 그런데 재미있는 건 이 캐릭터가 이미 영화로 한번 공개가 되었습니다. 그것도 31년 전에 말이죠. 두달 차이로 같은 해에 <트랜스포머>도 애니메이션으로 공개가 되었습니다. 영화에 대한 평가는 비교적 괜찮습니다. 

마이 리틀 포니: 더 무비

감독 제이슨 티에슨

출연 에밀리 블런트, 리브 슈라이버, 크리스틴 체노웨스, 타라 스트롱, 타이 딕스, 애슐리 볼, 섀넌 찬-켄트, 안드리아 리브먼, 타비다 세인트 거메인, 캐시 웨즈럭, 시아, 카즈미 에반스, 우조 압두바, 마이클 페나, 조 샐다나

개봉 2017 캐나다, 미국

상세보기

5
킹스맨: 골든 서클
Kingsman: The Golden Circle
(▼4)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50% / 관객: 71%
IMDb 사용자 지수 - 7.3/10 (51,341 Votes)

- 주말 수익: $8,675,412 (-49%)
- 상영관 수: 3,488 (-550)
- 평균 수익: $2,487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80,539,837 ($254,139,837)
- 총 제작 예산: $104,000,000
- 상영 기간: 3주
- 스튜디오: Fox

지난 2주간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던 폭스의 <킹스맨: 골든서클>이 이번주엔 5위로 추락했습니다. 주말 성적이 49% 빠지면서 개봉 3주차를 맞아서 누적된 북미 성적은 8천만불입니다. 이대로 계속 주말마다 50%대로 성적이 빠져나간다면 북미 1억불도 장담하기 힘들 듯합니다. 참고로 전작은 개봉 3주차까지 북미 8천 5백만불의 성적을 기록했었습니다. 그리고 오늘까지 누적된 월드와이드 성적은 2억 5천 4백만불인데요, 북미 성적은 전작의 성적(1억 2천 8백만불)을 넘어서기 힘들어 보이고 월드와이드 누계는 중국에서의 성적이 관건입니다. 참고로 전작은 월드와이드로 4억 1천 4백만불의 성적을 기록했었습니다.

킹스맨: 골든 서클

감독 매튜 본

출연 콜린 퍼스, 줄리안 무어, 태런 에저튼

개봉 2017 영국, 미국

상세보기

6
아메리칸 메이드
American Made
(▼3)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87% / 관객: 81%
IMDb 사용자 지수 - 7.3/10 (21,065 Votes)

- 주말 수익: $8,446,715 (-50%)
- 상영관 수: 3,031 (+7)
- 평균 수익: $2,787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30,818,675 ($99,021,941)
- 총 제작 예산: $50,000,000
- 상영 기간: 2주
- 스튜디오: Uni

월드와이드 성적만 놓고 보면 어느 정도 만족스러운 성적인데, 북미 성적만 따로 떼어서 보면 북미 관객들이 이젠 톰 크루즈에게 거의 관심이 없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여름시즌에 개봉한 <미이라>도 그렇고 이 영화 <아메리칸 메이드>도 북미 성적이 영 깝깝합니다. 개봉 10일간 기록한 북미 성적이 3천만불입니다. 해외성적을 포함한 월드와이드 누계는 1억불인데 말이죠. 어찌 되었건 제작비 회수는 별 문제가 없을 듯한데 톰 크루즈나 그가 출연한 영화를 제작, 배급하는 스튜디오들에겐 고민거리가 아닐 수 없습니다. 

아메리칸 메이드

감독 더그 라이만

출연 톰 크루즈, 사라 라이트, 도널 글리슨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7
레고 닌자고 무비
The LEGO Ninjago Movie
(▼3)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51% / 관객: 54%
IMDb 사용자 지수 - 6.2/10 (3,227 Votes)

- 주말 수익: $7,002,474 (-40%)
- 상영관 수: 3,611 (-436)
- 평균 수익: $1,939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44,076,137 ($79,976,137)
- 총 제작 예산: $70,000,000
- 상영 기간: 3주
- 스튜디오: WB

금주 7위는 워너 관계자들을 당혹스럽게 만들었던 영화 <레고 닌자고 무비>입니다. 지난주보다 세계단 순위가 하락했으며 주말 성적은 그나마 선전했습니다. 지난주보다 40% 감소했으며 개봉 3주차를 맞아 누적된 북미 성적은 4천 4백만불입니다. 오늘까지 누적된 월드와이드 성적은 7천 9백만불인데요, 과연 순제작비만 7천만불이 들어간 이 영화, 제작비 회수가 가능할지 걱정입니다.

레고 닌자고 무비

감독 찰리 빈

출연 데이브 프랭코, 올리비아 문, 저스틴 서룩스, 성룡, 마이클 페나

개봉 2017 미국, 덴마크

상세보기

8
빅토리아 & 압둘
Victoria and Abdul
(▲3)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67% / 관객: 71%
IMDb 사용자 지수 - 6.8/10 (2,776 Votes)

- 주말 수익: $4,171,870 (+282%)
- 상영관 수: 732 (+655)
- 평균 수익: $5,699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5,987,264 ($31,123,331)
- 총 제작 예산: N/A
- 상영 기간: 3주
- 스튜디오: Focus

금주 8위는 지난주 11위에서 세계단 상승, 8위로 진입한 포커스 필름의 <빅토리아 & 압둘>입니다. 슈라바니 바수의 동명의 작품을 원작으로 하고 있으며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과 인도 청년 압둘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디 덴치가 빅토리아 여왕 역으로 등장하는데요, 주디 덴치는 이미 1997년 공개된 영화 <미세스 브라운>에서 빅토리아 여왕 역을 맡았던 바 있습니다. 그리고 <셰익스피어 인 러브>에선 엘리자베스 1세 역을 맡기도 했었습니다. 개봉 3주차를 맞아 누적된 북미 성적은 598만불입니다.

빅토리아 & 압둘

감독 스티븐 프리어즈

출연 마이클 갬본, 주디 덴치, 에디 이자드, 알리 파잘, 아딜 악타르, 사이먼 캘로우, 러스 맥케이브

개봉 2017 영국, 미국

상세보기

9
플랫라이너
Flatliners
(▼4)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3% / 관객: 38%
IMDb 사용자 지수 - 5.0/10 (2,808 Votes)

- 주말 수익: $3,975,021 (-40%)
- 상영관 수: 2,552
- 평균 수익: $1,558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12,504,623 ($18,504,623)
- 총 제작 예산: $19,000,000
- 상영 기간: 2주
- 스튜디오: Sony

금주 9위는 지난주 5위에서 네계단이나 하락한 소니의 속편 <플랫라이너>입니다. 소니도 만들 영화가 참 없었나 봅니다. 무려 27년 만에 만드는 속편이면 어느 정도 제대로 만들었어야 하는데, 로튼의 전문가 평점은 거의 최악 중 최악입니다. 지난주에 평점을 지나치게 후하게 올렸더군요. 눈으로 보고도 설마 4%는 아니겠지 했나 봅니다. 4%가 맞습니다. 개봉 10일간 기록한 북미누적 성적은 1천 2백만불입니다. 아마도 저예산 호러물로 재미를 톡톡히 보고 있는 워너와 유니버설에 자극을 받은 듯한데, 만들기만 한다고 흥행이 되는 건 아니죠? 

플랫라이너

감독 닐스 아르덴 오플레브

출연 니나 도브레브, 키어시 클레몬스, 엘렌 페이지, 제임스 노턴, 디에고 루나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10
빌리 진 킹: 세기의 대결
Battle of the Sexes
(▼4)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84% / 관객: 76%
IMDb 사용자 지수 - 6.8/10 (2,778 Votes)

- 주말 수익: $2,562,066 (-25%)
- 상영관 수: 1,822 (+609)
- 평균 수익: $1,406
- 총 수익 (누적 해외 수익): $7,839,641 ($9,539,641)
- 총 제작 예산: $25,000,000
- 상영 기간: 3주
- 스튜디오: FoxS

마지막으로, 지난주 확대 개봉에 들어가며 6위로 뛰어올랐던 폭스서치라이트의 신작 <빌리 진 킹: 세기의 대결>이 10위로 네계단 하락했습니다. 극장 수도 지난주보다 600개가량 늘어났지만 관객들의 반응은 테니스의 광속서브 속도만큼 빠르게 식어가고 있습니다. 개봉 3주차가 되었으며 누적된 북미 스코어는 783만불입니다.

빌리 진 킹: 세기의 대결

감독 조나단 데이턴, 발레리 페리스

출연 엠마 스톤, 스티브 카렐

개봉 2017 영국, 미국

상세보기

2017년 월드와이드 누적 박스오피스 차트

오늘까지 누적된 2017년 성적과 순위를 살펴보면, 이번주에도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순위 변동이 없습니다. 누적 스코어도 지난주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유니버설의 <슈퍼배드 3>가 마지막 피치를 올리고 있으며 소니의 <스파이더맨: 홈커밍>은 스파이더맨 시리즈 중 <스파이더맨 3>가 기록했던 월드와이드 최고 기록까지 약 1천만불 정도가 남았는데 현재 추세로 봐선 힘들어 보이는 게 사실입니다. 더 나올 성적이 없습니다. 아무래도 11월 대작들이 공개돼야 월드와이드 차트에 변화가 있을 듯합니다.

1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
(⇔)
- 북미 수익: $504,000,000
- 해외 수익: $759,400,000
- 전 세계 수익: $1,263,400,000
- 역대 흥행 순위: #10
- 스튜디오: BV
미녀와 야수

감독 빌 콘돈

출연 엠마 왓슨, 댄 스티븐스, 루크 에반스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2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The Fate of the Furious
(⇔)
- 북미 수익: $225,800,000
- 해외 수익: $1,013,000,000
- 전 세계 수익: $1,238,800,000
- 역대 흥행 순위: #11
- 스튜디오: Uni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감독 F. 게리 그레이

출연 빈 디젤, 드웨인 존슨, 샤를리즈 테론, 제이슨 스타뎀

개봉 2017 미국, 일본, 프랑스, 캐나다

상세보기

3
슈퍼 배드 3
Despicable Me 3
(⇔)
- 북미 수익: $262,300,000
- 해외 수익: $760,800,000
- 전 세계 수익: $1,023,000,000
- 역대 흥행 순위: #29
- 스튜디오: Uni
슈퍼배드 3

감독 카일 발다, 피에르 꼬팽

출연 스티브 카렐, 트레이 파커, 크리스틴 위그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4
스파이더맨: 홈커밍
Spider-Man: Homecoming
(⇔)
- 북미 수익: $333,100,000
- 해외 수익: $546,000,000
- 전 세계 수익: $879,100,000
- 역대 흥행 순위: #49
- 스튜디오: Sony
스파이더맨: 홈커밍

감독 존 왓츠

출연 톰 홀랜드, 마이클 키튼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5
전랑 2
Wolf Warrior 2
(⇔)
- 북미 수익: $2,700,000
- 해외 수익: $867,600,000
- 전 세계 수익: $870,300,000
- 역대 흥행 순위: #55
- 스튜디오: HC
전랑 2

감독 오경

출연 오경, 프랭크 그릴로, 정산, 오강, 장한

개봉 2017 중국

상세보기

6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Guardians of the Galaxy Vol. 2
(⇔)
- 북미 수익: $389,800,000
- 해외 수익: $473,700,000
- 전 세계 수익: $863,600,000
- 역대 흥행 순위: #57
- 스튜디오: BV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

감독 제임스 건

출연 크리스 프랫, 조 샐다나, 데이브 바티스타, 빈 디젤, 브래들리 쿠퍼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7
원더 우먼
Wonder Woman
(⇔)
- 북미 수익: $412,400,000
- 해외 수익: $408,800,000
- 전 세계 수익: $821,200,000
- 역대 흥행 순위: #64
- 스튜디오: WB
원더 우먼

감독 패티 젠킨스

출연 갤 가돗, 크리스 파인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8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
Pirates of the Caribbean: Dead Men Tell No Tales
(⇔)
- 북미 수익: $172,600,000
- 해외 수익: $622,100,000
- 전 세계 수익: $794,700,000
- 역대 흥행 순위: #69
- 스튜디오: BV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

감독 요아킴 뢰닝, 에스펜 잔드베르크

출연 조니 뎁, 하비에르 바르뎀, 카야 스코델라리오, 브렌튼 스웨이츠, 제프리 러쉬

개봉 2017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상세보기

9
로건
Logan
(⇔)
- 북미 수익: $226,300,000
- 해외 수익: $390,500,000
- 전 세계 수익: $616,800,000
- 역대 흥행 순위: #125
- 스튜디오: Fox
로건

감독 제임스 맨골드

출연 휴 잭맨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10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
Transformers: The Last Knight
(⇔)
- 북미 수익: $130,200,000
- 해외 수익: $475,300,000
- 전 세계 수익: $605,400,000
- 역대 흥행 순위: #129
- 스튜디오: Par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

감독 마이클 베이

출연 마크 월버그, 로라 하드독, 조쉬 더하멜, 안소니 홉킨스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권오형 / 파워블로거

재밌으셨나요? 아래 배너를 눌러 네이버 영화를 설정하면 영화 이야기, 시사회 이벤트 등이 가득한 손바닥 영화 매거진을 구독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