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날 보는 사람 같은데도, 새로운 조합으로 만나면 색다른 경험이 될 때가 있다. <강철비>에 '이의성'과 '김경영'으로 출연한 김의성과 이경영이 그랬다. 북의 내부 반란과 선전 포고에 대통령 이의성은 선제공격을 고려하고 차기 대통령 김경영은 이에 반대한다. 김의성과 이경영은 연기로 이 두 인물의 딜레마를 설득한다. 두 배우를 보고 있자니 사뭇 궁금해졌다. '다작 배우'로 인정받은 두 사람은 얼마나 비슷하고, 또 다를까?

강철비

감독 양우석

출연 정우성, 곽도원

개봉 2017 한국

상세보기

두 배우의 공통점?
연기를 쉬었던 공백기가 있다.

2015년 이경영 12편, 김의성 9편. 2016년 이경영 8편, 김의성 7편. 2017년 이경영 9편, 김의성 6편. 현재는 이처럼 바쁘게 다작 중인 배우들이지만 두 사람 모두 배우 활동을 쉬었던 공백기가 있었다.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김의성은 1996년 홍상수 감독의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을 작업한 후 “어떤 캐릭터도, 연기도 가짜 같았다”고 느껴 1999년 베트남으로 떠나 현지에서 드라마 제작 사업을 시작한다. 하지만 2010년 즈음 아버지의 건강 문제로 입국했고, 홍상수 감독의 권유에 2011년 <북촌방향>으로 복귀한다.

이경영은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재판을 진행하면서 2002년 말부터 2004년까지 휴식기를 가졌다. 이후 재판의 결과에 승복해 형을 이행하고 2005년에 복귀했다. 방송 출연 불가라는 난점에도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활동해 영화계에서 다시 도약에 성공한다.

<파주>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감독 홍상수

출연 김의성, 박진성, 조은숙, 이응경

개봉 1996 대한민국

상세보기
파주

감독 박찬옥

출연 이선균, 서우

개봉 2009 대한민국

상세보기

천만 관객을 돌파한 출연작이 있다.
<암살>

두 사람 모두 천만 관객 돌파 영화에 출연했다. 바로 <암살>. 이 영화에서 이경영은 친일반민족행위자 강인국 역으로, 김의성은 그의 집사로 출연했다. 영화가 흥행하면서 기회주의적인 두 캐릭터를 연기한 두 배우는 당연히(?) 욕도 많이 먹었다.

이후 두 번째 ‘천만 돌파’를 먼저 달성한 건 김의성. <부산행>에서 용석 역으로 역대급 민폐 악역을 소화하면서 제2의 전성기를 열었다. 안경을 벗고 연기를 펼친 덕에 안경 쓴 배우에게 안경이 얼마나 소중한 소품인지 몸소 보여줬다.

<부산행>


반면 이경영은 천만 영화가 하나지만 누적 관객 수 1억 명을 돌파한 세 번째 배우다. 오달수, 송강호, 유해진, 황정민까지 국내에 딱 다섯 명뿐인, 만만치 않은 기록을 보유했다.

암살

감독 최동훈

출연 전지현, 이정재, 하정우

개봉 2015 대한민국

상세보기
부산행

감독 연상호

출연 공유, 정유미, 마동석, 김수안, 김의성, 최우식, 안소희

개봉 2016 대한민국

상세보기

정치적 성향을 감추지 않는다.

두 배우를 좋아하는 관객들이라면 <강철비>에서 대립하는 두 대통령의 모습이 더 흥미진진했을 것이다. 김의성이나 이경영 모두 정치적인 작품 출연이나 발언을 결코 두려워하지 않는 배우이기 때문이다. 

김의성은 <탐욕의 별>이나 <저수지 게임> 같은 권력을 파헤치는 다큐멘터리에 목소리 출연은 물론이고 <남영동 1985>나 <소수의견>에도 출연해 권력을 고발했다. 또 SNS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의견을 적극적으로 밝힌다. <1987>에서도 교도소에 수감된 재야운동가 이부영 역으로 출연한다.

<1987> / <26년>

김의성과 달리 이경영은 작품 선택으로 확실한 메시지를 전한다. 정지영 감독의 <남영동 1985>에서 국가가 가진 강압적 폭력에 일조하는 이가 되고, <26년>에선 폭력에 트라우마를 가진 피해자가 됐다. 또한 <내부자들>에선 노출(!)까지 감내하며 정경유착 인사들의 추잡한 행태를 보여주기도 했다.

참고로 두 사람 모두 닮은꼴 정치인이 있다. 김의성은 잘 알려졌다시피 우병우. 본인도 “이런 역은 그냥 카메라 앞에서 귤만 까먹어도 아카데미상 받을 수 있음”이라고 자신감(!)을 표했다.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화제일 때, 한 네티즌이 제시한 가상 캐스팅에서 이경영은 박지원으로 지명됐다.

남영동1985

감독 정지영

출연 박원상, 이경영

개봉 2012 대한민국

상세보기
26년

감독 조근현

출연 진구, 한혜진, 임슬옹

개봉 2012 대한민국

상세보기

그렇다면 다른 점은?
아웃사이더 vs. 운동권

이경영과 김의성은 대학 전공이나 연기 입문 등에서 차이가 있다. 이경영은 충남대 경상대학에 입학했지만 자퇴 후 한양대 연극영화과로 입학한다. 그렇게 어렵게 진학했지만 정작 자신은 “처음엔 배우 할 생각이 없었고 실존철학에 빠져 있었다. 회색이어서 운동권 친구들과 싸우기도 했다”고 언급할 정도로 연기와는 거리가 멀었다. 

김의성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하지만 공부보다는 당시 운동권 활동에 매진했고, 수업보다 연극 무대에 더 열중해 연극배우 출신 영화배우 1세대로 거듭났다. 당시 함께 활동했던 배우가 정진영이며 권해효와도 절친한 사이가 됐다.


개파 vs. 고양이파
채널A ‘개밥 주는 남자2’

이경영은 예능프로그램 '개밥 주는 남자'에 출연했다. 활짝이와 피움이, 반려견 두 마리를 키우는 그는 이 프로그램에서 눈을 가린 채 발냄새만으로 자신의 반려견을 맞춰 ‘개사랑’의 끝을 보여줬다. 심지어 사과와 당근을 배합한 '애견 주스'를 직접 제조하기도 해 노련한 견주의 능력을 입증했다.

반면 김의성은 SNS로 여러 차례 반려묘 사진을 공개하고, 때때로 반려묘에 대한 질문도 답변해주는 등 '집사'의 모습을 보여줬다. 트위터 계정을 중지하기 직전에도 누군가에게 입양 권유를 받았는지 아기 고양이 사진을 업로드하기도 했고, 인스타그램에도 가끔씩 반려묘의 근황을 공개하고 있다.

김의성 인스타그램

흑막 그 자체 vs. 홍상수 페르소나
<제보자>, <소수의견>

두 사람이 다작을 해도 각자 대표하는 이미지가 달라 서로 겹치지 않는 구석이 있다. <부산행>을 기점으로 김의성의 이미지가 조금씩 '악역'화되고 있지만, 그래도 서로를 대표하는 이미지라면 '흑막'과 '생활 연기'라고 할 수 있다.

배후에서 권력을 뒤흔드는 '흑막', '배후'의 이미지는 이경영이 가진 무기다. 그의 낮은 목소리나 백발은 <제보자>의 이장환 박사나 <모비딕>의 장선생, <암살>의 강인국 등 중후하면서도 속을 알 수 없는 인물로 둔갑시켰다. 굳이 흑막이 아니더라도 <부러진 화살>의 이태우나 <소수의견>의 박재호, <베를린>의 리학수처럼 강단 있는 인물로 그려지는 편이다.

김의성은 홍상수 감독의 작품 속 '생활 연기'를 고스란히 구현해낸다. 복귀작 <북촌방향>에선 '베트남에서 사업하다 온' 남자로 등장하고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자유의 언덕>에서도 기묘한 존재감으로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최근 홍상수 감독과 함께 한 <당신자신과 당신의 것>에선 영수(김주혁)를 걱정하면서도 한심해하는 듯한 '친구' 김중행으로 출연했다.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당신자신과 당신의 것>
제보자

감독 임순례

출연 박해일, 유연석, 이경영

개봉 2014 대한민국

상세보기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감독 홍상수

출연 이선균, 정은채, 김의성

개봉 2012 대한민국

상세보기

그외에도 흥미로운 알쓸신잡
서로가 언급한 장점

2015년 '시사iN'은 두 배우가 함께한 인터뷰를 진행한 바 있다. 해당 인터뷰에서 이경영은 김의성에 대해 "다른 사람이 절대 흉내낼 수 없는, 독특한 자기만의 색깔을 갖고 있다"는 장점을, 김의성은 이경영에 대해 "여러 가지 역할의 가능성을 다 열어놓고 있다"는 장점을 언급했다. 두 사람은 입을 모아 "작업 자체에 대한 순수한 열정이 있어서 감독들이 좋게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연관검색어

마지막으로 두 사람의 연관 검색어를 소개해본다. 이경영은 다작의 본좌답게 ‘또경영’, ‘이경영 쿼터제’가 자주 등장한다. 최근 <신과함께-죄와 벌>로 ‘오관대왕’이 연관검색으로 나온다. 눈에 띄는 건 ‘이경영 리즈’. 사진 한 장으로 요약하겠다.

<부활의 노래>

김의성은 최근 같이 출연한 조우진(<강철비>), 차광수·허정도(<W>)가 연관 검색어로 뜬다. ‘김의성 서울대’도 있다. 물론 가장 핫한 연관 검색어는 ‘김의성 마동석’. <부산행> 상영 당시 ‘1200만이 넘으면 뭔지 모르겠지만 마동석에게 명존세('명치 겁나 세게 치기'의 준말)를 해달라고 하겠다’고 발언했고, 최근 마동석의 <범죄도시> 300만 관객 돌파로 ‘명치 약하게 맞기’를 실천하기도 했다.


씨네플레이 에디터 성찬얼 

재밌으셨나요? 아래 배너를 눌러 네이버 영화를 설정하면 영화 이야기, 시사회 이벤트 등이 가득한 손바닥 영화 매거진을 구독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