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탄생일을 포함한 나흘간의 연휴와 <블랙 팬서>의 개봉으로 지난 주말 북미 극장가는 전주보다 더 붐볐다. 주말 박스오피스 상위 열두 작품의 흥행성적이 두 배 이상 증가한(+126.9%) 27천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그 중 약 80%2억 달러를 <블랙 팬서>가 벌어들이면서 3주차 박스오피스의 압도적인 승자로 남았다. 당초 현지에서는 <블랙 팬서>의 개봉 주말 성적은 1억 달러에서 14천만 달러 사이로 예상했는데, 실로 엄청난 흥행몰이를 하고 있는 중이다.

승자가 있으면 언제나 패자도 있는 법이다. 지난주 불안한 1위 자리에 올라있던 <50가지 그림자: 해방>은 무려 55.1%의 수익 감소를 겪으며 1730만 달러의 흥행 성적표를 받았다. 개봉 이후 가파른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58.2%)<윈체스터>(-57.7%) 다음으로 높은 수익 감소율이다.

이외에도 화려한 출연진으로 주목을 받은 애니메이션 <얼리 맨>이 개봉과 동시에 상위권 차트에 올랐으며, 지난주부터 왕좌에서 물러난 <쥬만지: 새로운 세계>는 주말을 기준으로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9억 달러를 돌파했다. 월트 디즈니와 소니 픽쳐스 관계자들의 입가에 미소가 번졌을 듯하다. 또한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이 순위권 밖으로 밀려나면서 아카데미상 작품상 후보 중 <더 포스트>가 유일하게 상위권을 차지한 것도 눈여겨볼 만하다. (23주차 상위권/전체 박스오피스 성적: $270,964,945/$285,948,779)


2018년 2월 3주차
북미 주말 박스오피스
(*2월 19일 월요일을 제외한 16~18일까지의 성적)
1
블랙 팬서 (Black Panther)
( New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97% / 관객 77%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88
상영관 수: 4,020
주말 수익: $202,003,951
북미 누적 수익: $202,003,951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404,000,000
제작비: $200,000,000
상영기간: 1주 (4일)

디즈니-마블 스튜디오의 2018년 첫 작품 <블랙 팬서>23주차 박스오피스의 압도적인 승자가 되었다. <블랙 팬서>는 프리미어 시사회 당시부터 역대 최고의 마블 시리즈라는 극찬을 받아 이목이 집중되었다. 역대 히어로 영화 중 티켓 사전 예매율 1위를 기록한 <블랙 팬서>의 행보는 기대에 부응하듯 거침없다. 개봉 전 예상을 뛰어넘은 2170만 달러를 돌파했으며, 공휴일로 지정된 2월 19일의 수익까지 포함한다면 무려 24천만 달러를 개봉 첫 주말에 벌어들였다. 더욱 놀라운 점은 미국에선 종교로 여겨지는 <스타워즈> 시리즈의 기록도 넘어섰다는 것이다. 19일 월요일 북미에서만 4020만 달러를 벌어들여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가 가지고 있던 4010만 달러의 기록을 넘어서 역대 월요일 흥행 성적 1위 자리를 갈아치웠다. 또한 개봉 4일차 성적은 <깨어난 포스>28800만 달러를 넘어서지는 못했지만, <라스트 제다이>보다 40만 달러를 더 벌어들인 24200만 달러를 기록해 이 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다. <블랙 팬서>의 엄청난 성공이 북미 극장 주가까지 올렸다고 하니, 나라 안팎을 모두 다스리는 국왕의 면모를 여지없이 보여주었다. 국내에서는 지난 14일에 개봉해 <조선 명탐정: 흡혈괴마의 비밀>, <골든 슬럼버>를 제치고 설 연휴 극장가를 점령했다. 국내에서 설 연휴 기간에 외화가 1위를 차지한 것은 2009 <적벽대전 2: 최후의 결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블랙 팬서

감독 라이언 쿠글러

출연 채드윅 보스만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2
피터 래빗 (Peter Rabbit)
( -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59% / 관객 62%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52
상영관 수: 3,725
주말 수익: $17,506,207 (-30.0%)
북미 누적 수익: $48,478,749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54,085,068
제작비: $50,000,000
상영기간: 2주 (11일)

소니 픽쳐스의 실사 애니메이션 <피터 래빗>이 지난주와 같은 순위인 2위로 주말 박스오피스를 마무리했다. 개봉 2주차를 맞이한 <피터 래빗>은 전주의 70% 정도인 1750만 달러의 수익을 주말 동안 올렸다. 주말 동안 북미 누적 4800만 달러, 현재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은 5400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소니 픽쳐스는 작년 최악의 영화로 손꼽혔던 <스머프: 비밀의 숲><이모티: 더 무비>실사 애니메이션의 무덤이라는 평가를 받았는데, <피터 래빗>은 이미 2주차에 <스머프: 비밀의 숲>의 북미 누적 수익인 4500만 달러를 넘어섰다. <이모티: 더 무비>2주차 북미 누적 성적인 4900만 달러에는 약간 못 미쳤지만, 적어도 <이모티: 더 무비>가 비평가와 관객들에게 받았던 혹평을 넘어서는 악평을 받고 있지는 않는 상황이다. 다만 음식 알레르기를 우수꽝스럽게 다루어 비난을 면치 못했지만 말이다.

피터 래빗

감독 윌 글럭

출연 데이지 리들리, 로즈 번, 엘리자베스 데비키, 제임스 코든, 마고 로비, 도널 글리슨, 샘 닐, 시아

개봉 2018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상세보기

3
50가지 그림자: 해방 (Fifty Shades Freed)
( ↓ 2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11% / 관객 44%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32
상영관 수: 3,768
주말 수익: $17,320,000 (-55.1%)
북미 누적 수익: $76,499,000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272,830,575
제작비: $55,000,000
상영기간: 2주 (11일)

지난주 불안한 왕위에 앉았던 <50가지 그림자: 해방>이 이번 주 두 계단 내려간 3위를 기록했다. 순위의 하락보다 수익 감소율에 눈에 띄는데, 무려 55% 이상 감소한 1730만 달러밖에 벌어들이질 못했다. 개봉 직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시리즈 영화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2주차 수익 감소율(-56.7%)과 흡사하다. 북미 누적 약 7650만 달러, 현재 월드와이드 27천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주에 언급했듯이 이제는 손쓸 수 없는 지경이 된 시리즈라 혹평받고 있지만, 여전히 누군가의 판타지를 충족시켜주고 있는 모양인지 이미 제작비의 5배 가까이 벌어들였으니 워너브러더스로선 아쉬울 게 없는 입장이다.

50가지 그림자: 해방

감독 제임스 폴리

출연 제이미 도넌, 다코타 존슨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4
쥬만지: 새로운 세계 (Jumanji: Welcome to the Jungle)
( -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76% / 관객 90%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58
상영관 수: 2,800 (-336)
주말 수익: $7,925,000 (-20.9%)
북미 누적 수익: $377,603,565 (379,678,565)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906,678,565
제작비: $90,000,000
상영기간: 9주 (62일)

소니 픽쳐스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쥬만지: 새로운 세계>가 순위 변동 없이 4위로 주말 박스오피스를 매듭지었다. 3<50가지 그림자: 해방>과의 격차는 약 천만 달러 차이, 전주 대비 약 21% 감소한 790만 달러의 흥행 성적을 3주차 주말에 기록했지만 이 영화는 이미 자신의 역할을 할 만큼 했다. 주말 기준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9억 달러를 넘기는 저력을 발휘했기 때문이다. 현재 2017년 월드와이드 누적 박스오피스에서 5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일본에서의 성적에 따라 103400만 달러로 4위를 지키고 있는 <슈퍼배드 3>를 넘볼 수 있는 상황이다.

쥬만지: 새로운 세계

감독 제이크 캐스단

출연 드웨인 존슨, 케빈 하트, 잭 블랙, 카렌 길런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5
더 15:17 투 파리 (The 15:17 to Paris)
( ↓ 2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25% / 관객 46%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45
상영관 수: 3,042
주말 수익: $7,586,015 (-39.6%)
북미 누적 수익: $25,333,732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37,370,823
제작비: $30,000,000
상영기간: 2주 (11일)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연출한 파리 열차 테러 실화 <15:17 투 파리>가 주말 동안 760만 달러의 흥행 성적표를 받고 5위를 기록했다. 실제 테러를 저지했던 주인공들을 캐스팅해 영화를 제작하는 파격적인 수를 두었지만 스토리의 지루함 등의 이유로 실망스러운 실적을 거두고 있다. 북미 누적 2533만 달러, 현재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은 3730만 달러 수준이다.

더 15:17 투 파리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

출연 주디 그리어, 제나 피셔, 브라이스 게이사르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6
위대한 쇼맨 (The Greatest Showman)
( ↓ 1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55% / 관객 89%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48
상영관 수: 1,936 (-437)
주말 수익: $5,033,518 (-21.9%)
북미 누적 수익: $154,411,874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341,754,726
제작비: $84,000,000
상영기간: 9주 (62일)

휴 잭맨의 뮤지컬 드라마 <위대한 쇼맨>이 지난주보다 한 계단 내려앉은 6위를 기록하며 개봉 이후 처음으로 주말 박스오피스에서 5위권 밑으로 떨어졌다. 전주보다 약 22% 감소한 500만 달러의 흥행 수익을 주말 3일 동안 벌어들였다. 주말 간 북미 누적 15440만 달러, 현재 월드와이드 누적 34175만 달러를 기록 중이다. 박스오피스 상위권 작품들 중 <쥬만지: 새로운 세계>와 함께 가장 오랫동안 탑 10 안에 들고 있는 이 영화의 저력이 대단하다고 할 수밖에.

위대한 쇼맨

감독 마이클 그레이시

출연 휴 잭맨, 잭 에프론, 미셸 윌리엄스, 레베카 퍼거슨, 젠다야 콜맨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7
얼리 맨 (Early Man)
( New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81% / 관객 57%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68
상영관 수: 2,494
주말 수익: $3,190,525
북미 누적 수익: $3,190,525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4,260,148
제작비: $50,000,000
상영기간: 1주 (4일)

추억의 클레이 애니메이션 감독 닉 파크의 <얼리 맨> 7위로 3주차 박스오피스에 새로이 진입했다. 닉 파크는 <치킨 런> <월리스와 그로밋>으로 많은 사랑을 받은 스톱 애니메이션, 클레이 애니메이션의 강자다. <얼리 맨>의 출연진은 <피터 래빗>만큼이나 화제를 모았는데, 에디 레드메인, <왕좌의 게임> 메이지 윌리엄스, 톰 히들스턴 등 영국에서 내로라하는 배우들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핫한 출연진에 비해 319만 달러의 다소 실망스러운 흥행 성적을 거두었다. 영국식 유머가 미국에선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패딩턴 2>에 이어 증명한 것일까? 한편으론 <월리스와 그로밋>에 등장했던 치즈와 크래커 조합에 버금가는 음식 조합이 등장했을지 기대가 된다.

얼리 맨

감독 닉 파크

출연 에디 레드메인, 톰 히들스턴, 메이지 윌리암스, 티모시 스폴

개봉 2018 영국, 프랑스

상세보기

8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 (Maze Runner: The Death Cure)
( ↓ 2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43% / 관객 68%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51
상영관 수: 1,892 (-1,031)
주말 수익: $2,600,395 (-58.2%)
북미 누적 수익: $54,080,521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259,331,923
제작비: $62,000,000
상영기간: 4주 (25일)

가파른 하향세를 보이고 있는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가 주말 박스오피스에서 260만 달러의 흥행성적을 거두며 8위를 차지했다. 박스오피스 상위권 작품들 중 가장 높은 수익 감소율(-58.2%)과 함께 상영관이 가장 많이 줄어든 작품(-1,031)이 되었다. 북미 누적 수익 5400만 달러, 월드와이드 누적 26천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로써 <메이즈 러너> 시리즈 최악의 작품이라는 불명예스러운 타이틀을 거머쥘 것이 기정사실로 보인다. 폭스와 워너브러더스의 새해 첫 시리즈 영화들의 성적표가 영 신통치 않다.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

감독 웨스 볼

출연 딜런 오브라이언, 토마스 생스터, 이기홍, 카야 스코델라리오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9
윈체스터 (Winchester)
( ↓ 2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11% / 관객 40%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28
상영관 수: 1,479 (-1,001)
주말 수익: $2,205,695 (-57.7%)
북미 누적 수익: $21,835,874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22,249,335
제작비: N/A
상영기간: 3주 (18일)

헬렌 미렌의 <윈체스터>가 주말 간 220만 달러의 흥행 수익을 올리며 전주보다 두 계단 내려앉은 9위에 자리했다. 수익 감소율(-57.7%)과 상영관 감소(-1,001)<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에 근소한 차이로 밀려 2위를 차지한 상황이다. 현재 북미/월드와이드 누적 약 2200만 달러를 기록 중인데,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에 빛나는 헬렌 미렌을 데려다가 어떤 영화를 찍었길래 이렇게 성적이 저조한 것인지 궁금해진다.

윈체스터

감독 마이클 스피어리그, 피터 스피어리그

출연 헬렌 미렌, 제이슨 클락, 사라 스누크

개봉 2018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상세보기

10
더 포스트 (The Post)
( ↓ 2)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88% / 관객 73%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83
상영관 수: 1,050 (-815)
주말 수익: $1,988,634 (-45.2%)
북미 누적 수익: $76,598,006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135,047,364
제작비: $50,000,000
상영기간: 9주 (60일)

올해 아카데미 작품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더 포스트>10위로 주말을 마무리했다.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 중 유일하게 박스오피스 탑 10을 지키고 있는 <더 포스트>는 전주 수익의 절반 정도인 198만 달러를 벌어들여 북미 누적 수익 약 7660만 달러,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13500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이 개봉 11주차를 맞이했던 저번 주를 끝으로 차트에서 내려온 것으로 보아, <더 포스트> 역시 조만간 자리를 내어줄 것으로 보인다.

더 포스트

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출연 메릴 스트립, 톰 행크스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띵양 / 에그테일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