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 트로피를 손에 든 로저 디킨스 촬영감독.

야누즈 카민스키, 다리우스 콘지, 엠마누엘 루베즈키, 호이터 판 호이테마. 누구냐고? 할리우드에서 잘나가는 촬영감독들이다. 여기에 한 명 더 추가해야 한다.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이름이다. 지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드디어 오스카 트로피를 받은 로저 디킨스다. 그는 <블레이드 러너 2049>로 무려 14번째 후보로 오른 뒤에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그동안 로저 디킨스가 후보에 올랐던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쇼생크 탈출>(1995), <파고>(1996), <쿤둔>(1997), <오 형제여 어디 있는가>(2000),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2001),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2007),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2007),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2008), <더 브레이브>(2010), <007 스카이폴>(2012), <프리즈너스>(2013), <언브로큰>(2014),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2015). 눈에 띄는 점은 코엔 형제의 영화가 많다는 점이다. 코엔 형제와의 협업은 1991년 <바톤 핑크>부터 시작됐다. 최근에 로저 디킨스는 <프리즈너스>를 시작으로 드니 빌뇌브 감독과도 호흡을 맞추고 있다.

드니 빌뇌브(왼쪽) 감독과 로저 디킨스 촬영감독.
<파고> 촬영 현장의 에단 코엔(왼쪽), 로저 디킨스(가운데), 조엘 코엔.

해외 매체 ‘인디와이어’는 로저 디킨스의 아카데미 촬영상 수상에 맞춰 그가 창조해낸 전설적인 명장면 20개를 선정했다. 다큐멘터리 촬영 감독으로 시작해 1986년 <시드와 낸시>로 할리우드에 입성한 뒤 코엔 형제의 영화로 전설이 된 로저 디킨스의 뷰파인더를 들여볼 시간이다.


<시드와 낸시>
(1986)

<시드와 낸시>는 다큐멘터리 경력의 로저 디킨스가 극영화에서 자신의 장기를 발휘한 영화다. 펑크밴드 섹스 피스톨스의 시드 비셔스와 낸시 스펑겐의 비극적인 실화를 담은 이 영화에서 로저 디킨스는 저항으로 상징되는 두 인물뿐만 아니라 위 사진 같은 멜랑콜리한 뉴욕의 풍경을 담아냈다.

시드와 낸시

감독 알렉스 콕스

출연 게리 올드만, 클로이 웹

개봉 1986 영국

상세보기

<바톤 핑크>
(1991)
<바톤 핑크>

코엔 형제와 로저 디킨스는 모두 12편의 영화를 함께 만들었다. <바톤 핑크>가 첫 작품이다. 로저 디킨스는 코엔 형제를 만난 뒤 다큐멘터리적 기법을 버리고 스토리보드에 기반한 코엔 형제의 치밀한 스타일을 받아들였다. 로저 디킨스에게 <바톤 핑크>는 새로운 시대의 시작임에 틀림 없다.

바톤 핑크

감독 조엘 코엔

출연 존 터투로, 존 굿맨, 주디 데이비스, 마이클 러너, 존 마호니

개봉 1991 미국, 영국

상세보기

<허드서커 대리인>
(1994)
<허드서커 대리인>

<허드서커 대리인>은 코엔/디킨스의 조합 가운데 아마도 가장 유명하지 않은 영화일 듯하다. 어쨌든 로저 디킨스는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소실점을 향하는 사무실 숏에서 로저 디킨스는 관객에게 필요한 모든 정보를 보여준다.

허드서커 대리인

감독 조엘 코엔

출연 팀 로빈스, 제니퍼 제이슨 리, 찰스 더닝, 폴 뉴먼

개봉 1994 영국, 미국

상세보기

<쇼생크 탈출>
(1995)
<쇼생크 탈출>

<쇼생크 탈출>을 본 사람이라면 결코 잊지 못할 이 장면이 로저 디킨스의 카메라로 만들어졌다. 이 한 컷은 영화 역사에도 남을 만하다. <쇼생크 탈출>은 로저 디킨스가 첫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에 오른 영화이기도 하다.

쇼생크 탈출

감독 프랭크 다라본트

출연 팀 로빈스, 모건 프리먼

개봉 1994 미국

상세보기

<파고>
(1996)

<파고>는 코엔 형제와 로저 디킨스의 협업을 영화 교과서에 기록하게 만든 작품이다. <파고>는 흑과 백의 조화가 중요한 영화다. 미국의 미네소타 주를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에는 끝임 없이 설원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위 장면에서 흑과 백의 조화와 구도는 감탄을 자아낸다.

파고

감독 조엘 코엔

출연 프란시스 맥도맨드, 윌리암 H. 머시, 스티브 부세미, 하브 프레스넬, 피터 스토메어

개봉 1996 미국, 영국

상세보기

<쿤둔>
(1997)
<쿤둔>

<쿤둔>은 <쇼생크 탈출>, <파고>에 이은 로저 디킨스의 세 번째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작이다. 그의 필모그래피에서 유일하게 마틴 스콜세지 감독과 작업한 영화이기도 하다. 티벳의 달라이 라마를 소재로 한 이 영화에서 로저 디킨스는 거대한 자연 속의 인간을 포착했다. 인디와이어는 <쿤둔>을 두고 “로저 디킨스의 마음 속에 데이비드 린 감독(<아라비아의 로렌스>)이 있다”고 말한다.

쿤둔

감독 마틴 스콜세지

출연 텐진 듀톱 차롱, 규메 테통

개봉 1997 미국

상세보기
<위대한 레보스키>
(1998)
<위대한 레보스키>

<위대한 레보스키>의 유명한 꿈 시퀀스다. ‘인디와이어’는 판타지가 가득한 이 시퀀스의 하이라이트인 볼링 레인 장면이 “스탠리 큐브릭과 비교해도 더 재치있고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위대한 레보스키

감독 조엘 코엔

출연 제프 브리지스, 존 굿맨, 줄리안 무어, 스티브 부세미, 피터 스토메어, 데이빗 허들레스톤

개봉 1998 미국

상세보기

<오 형제여 어디 있는가>
(2000)
<오 형제여 어디 있는가>

<오 형제여 어디 있는가>는 필름에서 디지털로 전환되던 시기, 로저 디킨스가 최초로 디지털 색보정(D.I.) 작업을 한 영화로 유명하다. 로저 디킨스는 1949년생으로 당시 환갑의 나이였지만 테크놀로지에 대한 관심은 젊은 촬영감독 못지 않다. <오 형제여 어디 있는가>에서 ‘인디와이어’가 선정한 로저 디킨스의 장면에선 보안관 쿨리(다니엘 본 바겐 )의 선글라스에 비친 화염이 핵심이다.

오 형제여 어디 있는가

감독 조엘 코엔

출연 조지 클루니, 존 터투로, 팀 블레이크 넬슨

개봉 2000 미국

상세보기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2001)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의 심문실 장면은 빛과 그림자의 대비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흑백영화인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는 컬러로 촬영한 뒤 흑백으로 현상한 영화다. 코엔 형제는 “촬영은 컬러로 한 뒤 흑백필름에 프린트함으로써 섬세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콘트라스트가 선명하지 않고 부드러운 느낌이 드는 건 그래서일 것이다. 촬영감독인 로저 디킨스와 많은 실험을 했고 그 결과물이다”라고 밝혔다.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감독 조엘 코엔

출연 빌리 밥 손튼, 프란시스 맥도맨드

개봉 2001 미국

상세보기

<자헤드>
(2005)

로저 디킨스는 코엔 형제와 드니 빌뇌브 말고도 셈 멘데스와 좋은 파트너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라크 전쟁을 다룬 <자헤드>에서 불이 붙은 석유시추관 장면은 지옥 혹은 악몽 속 이미지처럼 보인다.

자헤드 - 그들만의 전쟁

감독 샘 멘데스

출연 제이크 질렌할, 피터 사스가드, 루카스 블랙, 브라이언 게라그티, 제이콥 바가스, 라즈 알론소, 에반 존스, 이반 펜요, 크리스 쿠퍼, 데니스 헤이스버트, 스콧 맥도널드, 제이미 폭스

개봉 2005 독일, 미국

상세보기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2007)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의 열차 강도 시퀀스의 한 장면이다. 빛과 그림자, 안개까지 완벽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위의 이미지만 놓고 보면 이 영화의 시대 배경인 서부개척시대에 촬영된 오래된 사진 같은 느낌도 든다. ‘인디와이어’는 이 영화를 로저 디킨스 촬영감독의 21세기 최고의 작품으로 선정한 바 있다.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감독 앤드류 도미닉

출연 브래드 피트, 메리 루이스 파커, 케이시 애플렉

개봉 2006 미국, 캐나다

상세보기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2007)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코엔 형제와 로저 디킨스가 만들어낸 걸작이다. 초반부 사막 장면을 보자. 아래에서 위로 보는 앵글, 푸른 하늘과 검게 그림자 진 지표면, 총을 들고 있는 인물, 헤드라이트를 비추는 자동차. 로저 디킨스가 아니면 만들어내지 못할 장면이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감독 에단 코엔, 조엘 코엔

출연 토미 리 존스, 하비에르 바르뎀, 조슈 브롤린

개봉 2007 미국

상세보기

<다우트>
(2008)

로저 디킨스에 대해 얘기할 때 클로즈업은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다우트>에서는 다르다. 메릴 스트립,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의 연기 대결이 펼쳐지는 이 영화는 캐릭터의 감정을 이끌어내는 클로즈업으로 가득하다. 위 장면은 클로즈업이 아니지만 메릴 스트립에게만 시선이 가게 만들어 캐릭터를 부각시키는 효과를 만들었다.

다우트

감독 존 패트릭 샌리

출연 메릴 스트립,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

개봉 2008 미국

상세보기

<레볼루셔너리 로드>
(2008)
<레볼루셔너리 로드>

샘 멘데스 감독의 <레볼루셔너리 로드>는 로저 디킨스의 역량이 다소 과소평가된 영화다. 멍 하니 정면을 바라보는 에이프릴(케이트 윈슬렛)과 대비되는 뒤쪽의 아웃포커스된 존 기빙스(마이클 섀넌)의 격앙된 모습의 대비가 강렬하다. 로저 디킨스는 이 한 장면으로 감정적인 위기에 봉착한 에이프릴의 심리를 표현해냈다.

레볼루셔너리 로드

감독 샘 멘데스

출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케이트 윈슬렛

개봉 2008 미국, 영국

상세보기

<시리어스 맨>
(2009)
<시리어스 맨>

거대한 칠판이 시선을 압도한다. <시리어스 맨>의 이 장면은 로저 디킨스의 촬영을 말할 때 자주 언급된다. 로저 디킨스는 카메라를 의도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게 배치했다. 칠판 앞에 선 래리 고프닉(마이클 스털버그)을 왜소하게 보이게 하고 거대한 칠판을 화면 가득 담았다.

시리어스 맨

감독 에단 코엔, 조엘 코엔

출연 마이클 스털버그, 리차드 카인드

개봉 2009 미국, 영국, 프랑스

상세보기

<더 브레이브>
(2010)
<더 브레이브>

<더 브레이브>는 로저 디킨스가 참여한 영화 가운데 전통 서부극에 가장 가까운 영화다. 서부극의 거장 존 포드는 ‘어떻게 하면 훌륭한 감독이 될 수 있냐’고 묻는 소년 스티븐 스필버그에게 이렇게 답했다. “네가 지평선을 프레임의 밑바닥이나 꼭대기에 걸치는 편이 프레임의 중간에 걸치는 것보다 낫다는 것을 깨닫는 날이 온다면, 언젠가 좋은 영화감독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르지. 이제 썩 꺼져주게.” 로저 디킨스는 위 사진의 장면에서 지평선을 가운데에 가깝게 걸친 것 같지만, 존 포드도 이 풍경의 아름다움을 부정하기는 힘들지 않을까.

더 브레이브

감독 에단 코엔, 조엘 코엔

출연 맷 데이먼, 제프 브리지스, 조슈 브롤린, 배리 페퍼, 헤일리 스테인펠드

개봉 2010 미국

상세보기

<007 스카이폴>
(2012)
<007 스카이폴>

액션블록버스터에서도 로저 디킨스의 카메라는 아름답기만 하다. 샘 멘데스 감독의 <007 스카이폴>의 상하이 격투 장면은 단순한 액션 장면이 아니었다. ‘인디와이어’는 "네온 불빛의 액션 발레를 보는 것 같다"고 표현했다.

007 스카이폴

감독 샘 멘데스

출연 랄프 파인즈, 다니엘 크레이그, 하비에르 바르뎀, 주디 덴치

개봉 2012 영국, 미국

상세보기

<프리즈너스>
(2013)
<프리즈너스>

<프리즈너스>는 드니 빌뇌브 감독과 로저 디킨스가 처음 만난 작품이다. 드니 빌뇌브 감독은 “어둠은 이 영화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다. 우울하고 흐린 날씨에 밤 장면이 많았는데, 로저 디킨스 촬영감독과 한 작업 덕분에 아주 시적으로 멋지게 표현됐다”고 말했다.

프리즈너스

감독 드니 빌뇌브

출연 휴 잭맨, 제이크 질렌할

개봉 2013 미국

상세보기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 (2015)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는 드니 빌뇌브와 로저 디킨스가 만난 두 번째 영화다. 이 두 사람의 조합은 어쩌면 코엔 형제와 로저 디킨스의 조합보다 더 뛰어난 결과물을 내놓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의 한 장면이라고 말하지 않고, 위 장면을 유명 사진작가의 사진이라고 해도 믿을 것 같다. 한국을 대표하는 홍경표, 정정훈 촬영감독이 2016년 각각 <곡성>과 <아가씨> 작업을 마친 뒤 나눈 <씨네21> 대담에서 두 사람 모두 '최근에 본 촬영이 뛰어난 영화'로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를 꼽기도 했다.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

감독 드니 빌뇌브

출연 에밀리 블런트, 조슈 브롤린, 베니시오 델 토로

개봉 2015 미국

상세보기

<블레이드 러너 2049>
(2017)

<블레이드 러너 2049>는 로저 디킨스의 최고작으로 손색이 없는 영화다. 워너브러더스는 영리하게 로저 디킨스가 만들어낸 위 이미지를 마케팅에 사용했다. 이 장면은 2009년 시드니를 강타한 황사 사진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블레이드 러너 2049

감독 드니 빌뇌브

출연 라이언 고슬링, 해리슨 포드

개봉 2017 영국, 캐나다, 미국

상세보기

씨네플레이 에디터 신두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