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도 결국에는 실력이다. <블랙 팬서>가 경쟁작 <시간의 주름><툼레이더>가 의외로 힘을 쓰지 못하는 행운이 따르면서 33주차 주말 박스오피스에서 또 한 번 승자가 되었다. 5주 연속이다. 21세기 들어서 5주 연달아서 주말 박스오피스에서 1위를 차지한 작품은 단 한 편뿐이었다. 2009년 개봉 이후 10년째 월드와이드 누적 스코어 1위를 지키고 있는 제임스 카메론의 <아바타>가 그 주인공이다. ‘미국의 종교’로 불리는 <스타워즈> 시리즈도 해내지 못한 것을 <블랙 팬서>10년 만에 해낸 것이다. 운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블랙 팬서>가 북미 관객들을 사로잡는 고유한 매력이 있었기 때문에 마블과 21세기 영화사에 남는 발자국을 남길 수 있었던 것 아닐까?

3 3주차 주말 박스오피스 상위권에 세 편의 신작이 모습을 드러냈다. 라라 크로프트가 펼칠 모험의 시작을 알리는 리부트 <툼레이더>, 유명 CCM의 탄생 스토리가 담긴 <아이 캔 온리 이매진>, 마지막으로 게이 소년의 커밍아웃 위기를 유쾌하게 담아낸 <러브, 사이먼>이 박스오피스에 새로이 진입하면서 지난주 하위권 세 작품이 탑 10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중 <쥬만지: 새로운 세계>는 주말 160만 달러를 벌어들이면서 기어코 북미 누적 스코어 4억 달러를 달성해 유종의 미를 착실하게 거두는 중이다. 개봉 첫 주말부터 불안한 모습을 보였던 디즈니의 <시간의 주름>2주차에 주말 성적이 반 토막 나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디즈니는 <블랙 팬서>의 독주가 마냥 즐겁지는 않을 것이다. 개봉 주말 2위와 3위로 호기롭게 등장했던 <레드 스패로><데스 위시>는 첫 주말에 모든 힘을 써버린 것인지 거짓말처럼 순위와 성적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퍼시픽 림: 업라이징>23일 북미 개봉을 앞두고 있는데, 거대 괴수를 막기 위해 태어난 로봇 예거들이 블랙 팬서를 왕좌에서 끌어내릴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33주차 상위권/전체 박스오피스 성적: $122,162,755/$132,537,904]


2018년 3월 3주차 북미 주말 박스오피스
1
블랙 팬서
Black Panther
( -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97% / 관객 79%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88
상영관 수: 3,834 (-108)
주말 수익: $26,650,690 (-34.7%)
북미 누적 수익: $605,027,218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1,185,153,798
제작비: $200,000,000
상영기간: 5주 (31일)

수많은 작품들이 와칸다산 비브라늄 슈트를 뚫기 위해 고군분투했지만, 5주째 아무도 해내지 못했다. <블랙 팬서>가 주말 2665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5주 연속 주말 박스오피스에서 1위를 차지했다. 주말을 기점으로 <블랙 팬서>의 북미 누적 성적은 6억 달러, 월드와이드 누적 성적은 118500만 달러를 돌파한 상태다.

지난 주말 <블랙 팬서>MCU 사상 처음으로 4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 MCU 내에서 새로운 기록을 경신했다. 이번 주말에 세웠던 5주 연속 1위 기록은 MCU를 넘어 21세기 미국 영화사에 남을 기록이다. 2000년 넘어오면서부터 북미 주말 박스오피스에서 5주 연속 왕좌에 앉았던 작품은 단 한 편 밖에 없었는데, 역대 월드와이드 누적 스코어 1위에 빛나는 <아바타>가 그 주인공이다. <블랙 팬서>10년 만에 나타나 <아바타>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것이다.

또한 <어벤져스>와의 북미 흥행 성적 차이가 1800만 달러로 좁혀지면서 <블랙 팬서>는 다음 주말 박스오피스 전까지 역대 MCU, 코믹스 원작 북미 흥행 랭킹 1위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거기에 <미니언즈>,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등을 따돌리고 역대 월드와이드 흥행 14위에 오르면서 멈추지 않는 폭주기관차 마냥 달리고 있다. <퍼시픽 림: 업라이징>이나 <레디 플레이어 원> <블랙 팬서>를 막지 못한다면,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가 개봉하기 전까지 <블랙 팬서>가 박스오피스를 호령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블랙 팬서

감독 라이언 쿠글러

출연 채드윅 보스만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2
툼레이더
Tomb Raider
( New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49% / 관객 70%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46
상영관 수: 3,854
주말 수익: $23,633,317
북미 누적 수익: $23,633,317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128,833,317
제작비: $94,000,000
상영기간: 1주 (3일)

뉴페이스 알리시아 비칸데르와 함께 15년 만에 돌아온 <툼레이더> 2위로 개봉 주말을 마무리했다. 리부트 <툼레이더>는 이전 시리즈의 프리퀄 작품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영화는 원작인 2013년도 게임 <툼레이더>를 따라 처음 모험을 떠나게 된 라라 크로프트의 이야기를 다룬다.
 
주말 흥행 성적은 당초 현지 예상과 비슷한 2360만 달러, 한국을 비롯한 약 60여 개국에서 약 1억 달러를 벌어들이며 월드와이드 누적 성적 12880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만족스럽지 못한 성적이다. 안젤리나 졸리가 라라 크로프트로 활약했던 2001<툼레이더>는 오프닝 성적 4770만 달러를 기록하며 게임 원작 영화 중 가장 많은 금액을 벌어들였다. 비칸데르의 <툼레이더>는 오리지널의 절반 수준을 벌어들여 해당 순위표에서 8위에 불과하다.
 
<툼레이더> 게임 시리즈와 오리지널 영화 시리즈를 즐겼던 팬들이라면 라라 크로프트의 화끈한 액션과 생사가 오가는 퍼즐을 극적으로 풀어내는 긴장감을 원했겠지만, 이번 작품은 액션과 퍼즐, 모험 대신 인간 라라 크로프트의 성장에 중점을 두면서 팬들의 예상과 기대에 어긋났다는 평을 받고 있다. 물론 캐릭터의 성장을 오롯이 담았기 때문에 리부트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서는 나쁘지 않다는 평도 있지만, 프랜차이즈화가 되기 위해선 우선 이번 작품이 흥행에 성공해야 할 것이다.

툼레이더

감독 로아 우다우그

출연 알리시아 비칸데르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3
아이 캔 온리 이매진
I Can Only Imagine
( New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62% / 관객 96%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27
상영관 수: 1,629
주말 수익: $17,104,797
북미 누적 수익: $17,104,797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17,104,797
제작비: $7,000,000
상영기간: 1주 (3일)

2<툼레이더>의 성적이 현지 예상과 일치했다면, 이번 작품은 예상 밖의 성공을 거둔 경우다. CCM 밴드 머시미(MercyMe)의 유명 찬송가 ‘아이 캔 온리 이매진’(I Can Only Imagine)의 탄생 과정을 그린 <아이 캔 온리 이매진>이 총 171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3주차 주말 박스오피스에서 3위 자리를 차지했다. 이는 기독교 테마 영화들 중 4번째로 높은 오프닝 성적이다. 이 부문의 1위는 2004년 개봉해 8300만 달러의 오프닝 성적을 거두었던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아이 캔 온리 이매진><블랙 팬서> <툼레이더>보다 주말 동안 벌어들인 총수익은 적지만, 상영관 당 평균 수익으로 계산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두 작품이 3800개 이상의 상영관에서 평균 6500달러를 벌었다면 <아이 캔 온리 이매진>은 고작 1600개 상영관에서 평균 1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이는 쾌거를 이루었다. 영화 제목 따라 상상 밖에 하지 못했던일이 일어난 것이다.

아이 캔 온리 이매진

감독 앤드류 어윈, 존 어윈

출연 브로디 로즈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4.
시간의 주름
A Wrinkle in Time
( ↓ 2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40% / 관객 35%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53
상영관 수: 3,980
주말 수익: $16,256,879 (-50.9%)
북미 누적 수익: $60,751,533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71,712,133
제작비: $100,000,000
상영기간: 2주 (10일)

같은 집 식구 <블랙 팬서>가 한 달째 승승장구하고 있는 반면, <시간의 주름>은 개봉 2주차부터 가파른 하락세를 겪으며 4위로 주말 박스오피스를 마무리했다. 지난주의 절반에 불과한 1620만 달러를 주말 동안 벌어들인 <시간의 주름>의 북미 누적 수익은 6070만 달러,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은 7170만 달러다. 물론 다른 작품들이 보기에 <시간의 주름>의 현재 흥행성적이 나쁜 것은 결코 아니지만, 디즈니라는 브랜드의 이름값을 생각한다면 많이 아쉬운 성적임에는 분명하다. 여담으로 아바 두버네이 감독은 최근 DC와 워너브러더스가 준비 중인 <뉴 갓즈> 연출가 자리에 앉게 되었다.

시간의 주름

감독 에바 두버네이

출연 오프라 윈프리, 리즈 위더스푼, 스톰 레이드, 크리스 파인, 자흐 갈리피아나키스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5
러브, 사이먼
Love, Simon
( New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91% / 관객 93%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73
상영관 수: 2,402
주말 수익: $11,756,244
북미 누적 수익: $11,756,244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11,756,244
제작비: $17,000,000
상영기간: 1주 (3일)

비밀을 들킬 위기에 처한 게이 소년의 성장기를 유쾌하게 풀어낸 <러브, 사이먼>이 박스오피스에 5위로 데뷔했다. 베키 알버탈리의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하는 <러브, 사이먼>은 관객과 비평가들의 호평에도 불구하고 박스오피스 중위권에 머무르고 있는데, 이는 아마도 <아이 캔 온리 이매진>의 예상치 못한 선전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루머의 루머의 루머>에서 발군의 연기를 보여준 캐서린 랭포드가 극중 주인공의 가장 친한 여자 사람 친구로 등장한다.

러브, 사이먼

감독 그렉 버랜티

출연 닉 로빈슨, 알렉산드라 쉽, 로건 밀러, 캐서린 랭포드, 조쉬 더하멜, 제니퍼 가너, 콜튼 하인즈, 마일즈 헤이저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6
게임 나잇
Game Night
( ↓ 1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82% / 관객 84%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66
상영관 수: 2,686 (-375)
주말 수익: $5,602,230 (-28.8%)
북미 누적 수익: $54,206,414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85,006,414
제작비: $37,000,000
상영기간: 4주 (24일)

개봉 4주차를 맞이한 R등급 코미디 <게임 나잇>이 이번 주에도 안정적인 성적을 보이며 박스오피스 6위를 차지했다. 크게 흥하거나 제대로 망하는 영화들 사이에서 <게임 나잇>은 지난주보다 28.8% 줄어든 성적인 560만 달러를 벌어들여 북미 누적 5400만 달러, 월드와이드 누적 스코어 8500만 달러를 달성했다. 적당히 굵고 길게 흥행을 이어가는 이 영화가 과연 2018년 북미 박스오피스의 <위대한 쇼맨>이 될 수 있을지 기대가 된다. <위대한 쇼맨>은 무려 12주간 박스오피스 상위권을 지켜낸 바 있다.

게임 나잇

감독 존 프란시스 데일리, 조나단 골드스틴

출연 레이첼 맥아담스, 제이슨 베이트먼, 제시 플레먼스, 카일 챈들러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7
피터 래빗
Peter Rabbit
( ↓ 1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58% / 관객 60%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52
상영관 수: 2,725 (-387)
주말 수익: $5,201,647 (-23.2%)
북미 누적 수익: $102,441,915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146,033,841
제작비: $50,000,000
상영기간: 6주 (38일)

2018년 초부터 소니 픽쳐스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해주고 있는 <피터 래빗>이 지난주보다 한 단계 떨어진 7위로 주말을 마무리했다. 주말 성적 520만 달러를 기록하며 기어코 북미 누적 스코어 1억 달러를 달성한 <피터 래빗>의 현재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은 14600만 달러다. 확정적인 소식은 아니지만 박스오피스 모조에 의하면 5월 중순에 국내서 개봉 예정이라고 하니, 이 영화가 궁금했다면 기대해도 좋을 것 같다.

피터 래빗

감독 윌 글럭

출연 데이지 리들리, 로즈 번, 엘리자베스 데비키, 제임스 코든, 마고 로비, 도널 글리슨, 샘 닐, 시아

개봉 2018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상세보기

8
노크: 낯선 자들의 방문 2
The Strangers: Prey at Night
( ↓ 5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38% / 관객 52%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49
상영관 수: 2,464
주말 수익: $4,701,089 (-54.8%)
북미 누적 수익: $18,503,141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18,503,141
제작비: $5,000,000
상영기간: 2주 (10일)

R등급 호러 <노크: 낯선 자들의 방문 2>가 개봉 2주차 큰 하락세를 겪으며 8위로 추락했다. 순위와 주말 수익이 크게 떨어졌지만 <노크: 낯선 자들의 방문 2>는 이미 제작비의 3배 이상을 벌어들인 상황이다. 현재 이 작품의 주말 성적은 지난주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470만 달러, 북미 누적 스코어는 1850만 달러다.

노크: 낯선 자들의 방문 2

감독 조하네스 로버츠

출연 크리스티나 헨드릭스, 베일리 매디슨, 마틴 헨더슨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9
레드 스패로
Red Sparrow
( ↓ 5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47% / 관객 57%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53
상영관 수: 2,583 (-481)
주말 수익: $4,531,187 (-46.7%)
북미 누적 수익: $39,664,829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106,613,618
제작비: $69,000,000
상영기간: 3주 (17일)

제니퍼 로렌스 주연 <레드 스패로>의 하락세 역시 롤러코스터 마냥 멈출 줄을 모른다. 주말 동안 450만 달러를 벌어들인 <레드 스패로>는 제니퍼 로렌스의 이름값에도 불구하고 개봉 3주 만에 9위로 내려앉고 말았다. 북미 누적 스코어는 약 4000만 달러, 월드와이드 누적 스코어는 1660만 달러다.

레드 스패로

감독 프란시스 로렌스

출연 제니퍼 로렌스, 조엘 에저튼, 마티아스 쇼에나에츠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10
데스 위시
Death Wish
( ↓ 3 )
로튼토마토 신선도 점수: 비평가 17% / 관객 82%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32
상영관 수: 2,676 (-206)
주말 수익: $3,368,565 (-40.8%)
북미 누적 수익: $29,950,250
월드와이드 누적 수익: $29,950,250
제작비: $30,000,000
상영기간: 3주 (17일)

브루스 윌리스의 하드코어 핏빛 복수가 담긴 <데스 위시> 역시 <레드 스패로>, <노크: 낯선 자들의 방문 2>와 별반 다르지 않은 우울한 주말을 보냈다. 플로리다의 고등학교에서 벌어진 총기난사 사건으로 인한 개봉 시기를 두고 말이 많았던 이 작품은 전주보다 40% 줄어든 336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33주차 박스오피스 탑 10의 마지막 자리를 차지했다.

데스 위시

감독 일라이 로스

출연 브루스 윌리스, 빈센트 도노프리오, 엘리자베스 슈, 딘 노리스

개봉 2018 미국

상세보기

띵양 / 에그테일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