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4년 7월, 류이치 사카모토는 자신이 인두암 투병 중이라는 걸 밝히며 모든 활동을 멈추고 휴지기에 들어갔다. 언제 돌아올지 모르는, 기약 없는 휴식처럼 보였다. 그러나 복귀까지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1년 뒤인 2015년 8월, 야마다 요지 감독의 <어머니와 살면>을 시작으로 다시 일선에 서더니,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감독의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와 8년 만의 스튜디오 앨범 ‘Async’ 그리고, 이상일 감독의 <분노>와 황동혁 감독의 <남한산성> 등 여러 작업들을 계속해서 발표했다. 건강을 추스르자마자 3년이 채 안 되는 시간 동안 투병 전보다 더 부지런한 결과물들을 내놓은 셈이다.
물론 사회적 목소리를 내는 일도 멈추지 않았다. 투병을 하고 있던 2015년 여름엔 아베 정부가 추진 중인 안보 법안 반대 시위를 위해 일본을 찾았으며(그는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원전 반대와 환경, 평화 문제에도 신경을 써왔다. 류이치 사카모토는 1999년 발표한 전위적인 오페라 <라이프>를 기점으로 보다 활발하고 직접적인 발언을 하기 시작했다. 음악가 이전에 한 명의 시민으로서 모두가 직업에 관계없이 발언할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는 시각을 고수했기에, 현재의 소리에 주목한 그의 음악에서도 이런 올곧은 정신과 선명한 의미들이 묻어났다. 때론 난해하고 실험적이지만,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선율이란 점에서 매혹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