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90년대를 풍미한 할리우드 호러퀸 바바라 크램튼이 BIFAN을 찾았다. 스튜어트 고든의 <리애니메이터>(1985), <지옥 인간>(1986), <사탄의 테러>(1995) 등에 출연하면서 스크림 퀸으로 이름을 떨친 바바라 크램튼은 클래식 호러영화의 주인공답게 호러라는 장르를 여전히 사랑하고 있었다. 올해 BIFAN은 ‘부천 초이스: 장편’ 심사위원으로 바바라 크램튼을 초청했다. 30여년 전 그때 그 모습 그대로, 금발의 단발머리를 하고 부천을 찾은 바바라 크램튼은 열정적으로 한국영화와 장르영화에 대한 애정을 피력했다.

‘부천 초이스: 장편’ 심사위원으로 BIFAN을 찾았다.
BIFAN을 스토킹하고 있었다. (웃음) 그만큼 한국영화에 관심이 많다. 언젠가 BIFAN에 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열린 판타스틱페스트에서 남종석 프로그래머를 만났다. BIFAN에 가서 영화를 보고 싶다 했더니 심사위원으로 초대해 주었다. 꿈이 이루어졌다.

한국영화에 대한 애정이 깊어 보인다. 개막식 날 심사위원 대표로 무대에 섰을 때도 한국 장르영화들이 보여주는 깊은 감정과 울음(the crying)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연기할 때를 생각해보면, 감정을 완전히 보여주는 대신 억누르는 경우가 많았다. 미국에서 영화를 찍을 땐 대체로 그랬다. 최근의 출연작 <나를 찾아봐>(2015)에서 사고로 아들을 잃은 엄마를 연기했는데 그때도 감독 이 울음을 참으라고 했다. 더 울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했더니 감독이 ‘노노노’ 그러더라. (웃음) 반면 한국영화는 슬픔과 분노 등의 감정을 충실하 게 표현하는 것 같다. 그리고 영화에 꼭 우는 장면이 있다. 그런 감정 신 이 영화에 더 몰입하게 한다. 감정을 깊게 건드린다. <괴물>(2006)의 장례식장 장면이라든가, <부산행>(2016)의 마지막 장면에서 아버지(공유) 가 오열하는 장면들이 인상적이었다. 그러한 모습이 내게는 인간 본연의 모습처럼 보인다.

심사위원으로선 어떤 기준으로 영화를 심사할 계획인가.
어떤 주제, 어떤 이야기를 하든지 감독 자신의 비전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비전이 분명해야 전하고 싶은 진실 또한 잘 드러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가 필요한데, 이야기를 잘 끌고 갈 수 있는 좋은 배우도 그 요소중 하나다. 개인적으로는 내러티브가 강한 영화, 처음부터 끝까지 이야기가 다이내믹한 영화를 좋아한다.

<리애니메이터> / <지옥 인간>

영화제 기간에 <지옥 인간>도 특별상영 된다. 스튜어트 고든 감독과 함께 작업한 <리애니메이터>, <지옥 인간>을 통해 ‘할리우드 호러퀸’이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지옥 인간>이 만들어진 지 35년이 흘렀는데도 사람들이 여전히 그때의 모습을 기억해줘서 고맙다. 호러영화로 주목을 받았지만, 사실 내가 호러영화를 선택한 것이 아니다. 호러영화가 나를 선택했다고 생각한다. 이후 꾸준히 장르영화에 출연하면서 느낀 건, 호러 장르 안에선 인간이 가진 거의 모든 감정이 구현될 수 있다는 거였다. 그래서 호러영화의 팬이 되었다. 실제로 <지옥 인간>은 배우로서 보여줄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을 시도한 작품이었다. 섹시한 팜므파탈이 되었다가, 불안한 감정에 휩싸인 인물이 되었다가, 세상을 구하는 히로인이 되었다가. (웃음) 쉽지 않은 도전을 했던 작품이고, 또한 나의 가능성을 보여준 작품이었다. <리애니메이터>와 <지옥 인간>이 모두 흥행에 성공하고 호러영화의 클래식이 되면서 나도, 스튜어트 고든 감독도 이후 자신의 위치를 더욱 확고히 할수 있었다.

창의적인 장르영화 감독들과의 작업에서 배운 것이 있다면.
지금까지 인디신에서 창의적인 신진 감독들과 많이 작업했다. 그런데 감독들의 언어는 다 다르다. 어떤 감독은 꼼꼼하게 하나하나 연기 지도를 하고, 어떤 감독은 배우가 준비한 대로 편하게 연기하게 놔둔다. 결과적으로 그들에게서 배운 건 융통성이다.


글 이주현·사진 오계옥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공식 데일리 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