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90년대를 풍미한 할리우드 호러퀸 바바라 크램튼이 BIFAN을 찾았다. 스튜어트 고든의 <리애니메이터>(1985), <지옥 인간>(1986), <사탄의 테러>(1995) 등에 출연하면서 스크림 퀸으로 이름을 떨친 바바라 크램튼은 클래식 호러영화의 주인공답게 호러라는 장르를 여전히 사랑하고 있었다. 올해 BIFAN은 ‘부천 초이스: 장편’ 심사위원으로 바바라 크램튼을 초청했다. 30여년 전 그때 그 모습 그대로, 금발의 단발머리를 하고 부천을 찾은 바바라 크램튼은 열정적으로 한국영화와 장르영화에 대한 애정을 피력했다.
‘부천 초이스: 장편’ 심사위원으로 BIFAN을 찾았다.
BIFAN을 스토킹하고 있었다. (웃음) 그만큼 한국영화에 관심이 많다. 언젠가 BIFAN에 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열린 판타스틱페스트에서 남종석 프로그래머를 만났다. BIFAN에 가서 영화를 보고 싶다 했더니 심사위원으로 초대해 주었다. 꿈이 이루어졌다.
한국영화에 대한 애정이 깊어 보인다. 개막식 날 심사위원 대표로 무대에 섰을 때도 한국 장르영화들이 보여주는 깊은 감정과 울음(the crying)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연기할 때를 생각해보면, 감정을 완전히 보여주는 대신 억누르는 경우가 많았다. 미국에서 영화를 찍을 땐 대체로 그랬다. 최근의 출연작 <나를 찾아봐>(2015)에서 사고로 아들을 잃은 엄마를 연기했는데 그때도 감독 이 울음을 참으라고 했다. 더 울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했더니 감독이 ‘노노노’ 그러더라. (웃음) 반면 한국영화는 슬픔과 분노 등의 감정을 충실하 게 표현하는 것 같다. 그리고 영화에 꼭 우는 장면이 있다. 그런 감정 신 이 영화에 더 몰입하게 한다. 감정을 깊게 건드린다. <괴물>(2006)의 장례식장 장면이라든가, <부산행>(2016)의 마지막 장면에서 아버지(공유) 가 오열하는 장면들이 인상적이었다. 그러한 모습이 내게는 인간 본연의 모습처럼 보인다.
심사위원으로선 어떤 기준으로 영화를 심사할 계획인가.
어떤 주제, 어떤 이야기를 하든지 감독 자신의 비전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비전이 분명해야 전하고 싶은 진실 또한 잘 드러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가 필요한데, 이야기를 잘 끌고 갈 수 있는 좋은 배우도 그 요소중 하나다. 개인적으로는 내러티브가 강한 영화, 처음부터 끝까지 이야기가 다이내믹한 영화를 좋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