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가족>

만비키 가족

이 영화가 그리는 가족의 형태는 기이하다. <어느 가족>의 원제는 <만비키 가족>. 일본어 ‘万引き’(만비키)는 물건을 훔치는 행동 또는 그 사람을 뜻하는데, 원래 의미를 살려본다면 좀도둑 가족정도가 되겠다. <어느 가족>은 첫 시퀀스부터 도발적이다. 아버지와 아이가 짝을 이뤄 손발이 척척 맞는 절도 행각을 벌인다. 한두 번 해 본 솜씨가 아니다.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도둑질이라는 것은 쇼핑쯤으로 여겨질 만큼 일상적이다. ‘더 비싼 걸 주워오라며 타박하거나, ‘저번에 그 샴푸 냄새 이상해라는 둥 관객에겐 낯선 대화들이 이들에겐 더없이 일상적이다. 그런데 아이부터 할머니까지 단란하게 이룬 이 가정은 안과 밖에서 전혀 다르게 보인다.

<어느 가족>

이들에게도 나름대로 벌이 수단은 있다. 할머니(기키 기린)는 두둑한 연금을 받고, 아빠 오사무(릴리 프랭키)는 일용직 노동을 한다. 엄마 노부요(안도 사쿠라)는 세탁소에서, 처제 사야카(마쓰오카 마유)는 유사 성행위 업소에서 알바를 한다. 가족 구성원의 호칭은 일반적인 관점에서 붙여 봤지만 실상 이 가족의 호칭은 저렇지 않다.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이 아니기 때문이다. 어느 날 이 가족에게 막내 여동생이 생기는데, 이 사건이 가져오는 여파는 상상 이상이다. 오늘도 어김없이 한탕을 마치고 돌아온 부자가 이웃집에 외롭게 떨고 있는 아이를 데려온다. 곧 집에 데려다 주려 나섰지만 폭력과 고성이 오가는 그 집 앞에서 발길을 돌린다. 그렇게 만비키 가족에 입성한 아이 유리(사사키 미유)는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보다 이곳에서 차츰차츰 안정을 찾아간다.


<어느 가족>

가족이라는 화두

가족은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오랜 화두였다. 그는 떼려야 떼기 힘든 관계인 가족 관계 속에서 필연적으로 자리한 균열을 바라보는 걸 즐겼다. 그러나 이 균열은 붕괴를 암시한다기보다는 그 반대편에 힘을 실어주는 균열이었다. 더구나 히로카즈의 인장으로 새긴 디테일은 언제나 과하거나 모자람 없이 자연스럽다. 실제로 아역 배우들에게 대본을 주지 않고 상황이나 대사를 말로 일러준다는 히로카즈의 언급에서 자연스러움을 쌓아가는 그의 섬세한 세공술이 읽힌다. 타고난 질문자이기도 한 그는 일반적인 가족의 경계를 허물고 질문한다. 밖에서 보면 부자연스럽고 이상한 것, 나아가 부적절하며 단죄해야 마땅한 것들. 그러나 내부를 헤집고 들어가 안쪽에서 바라본 세계는 그런대로 납득할만한 것이기도 하다는 걸 보여준다.

<세 번째 살인>

히로카즈의 전작은 뜬금없게도 법정 스릴러물이었다. 늘 잔잔한 감동과 먹먹함 사이에 관객을 놓아두던 그가 <세 번째 살인>(2017)이라는 서스펜스 드라마를 내놓았을 때, 사람들은 의아해했다. 히로카즈의 스릴러라고? 그러나 베일을 벗은 영화 앞에 이들은 고개를 끄덕였다. <씨네21> 송경원 기자는 <세 번째 살인>에 대해 어떤 옷을 입어도 고레에다는 여전히 고레에다라는 평을 썼다. 플롯을 구상하던 감독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한층 명료해진다. “법정의 사람들은 진실을 밝히는 데 관심이 없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영화를 기획하던 중 어느 변호사와 이야기를 나눴는데, 법정은 당사자의 이해를 조정할 뿐이라는 얘기를 들었다.”


<어느 가족>

진실에 접근하기

돌이켜보면 그의 영화가 남기던 먹먹함의 정체는 논리 정연한 말로 설명될 수 없는 일들에서 오는 것이었다. <어느 가족>을 본 다음 그의 과거 인터뷰를 마주하니 그의 머릿속이 어렴풋이 읽힌다. 그의 언급에서 보자면 <어느 가족>은 그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가족 드라마의 정점이기도 하면서, <세 번째 살인>의 연장선상에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과연 진실에 접근하기란 가능한 일인가. 하물며 우리가 쥐고 있는 진실도 결국 딱 그만큼의 진실은 아닌가.

<아무도 모른다>

<어느 가족>엔 그의 다른 전작들의 그림자도 엿보인다. 영화보다 더 영화 같던 실화를 토대로 끝없이 추락하는 소외감을 그린 <아무도 모른다>, 이복동생을 데려와 함께 살아가는 자매들의 이야기인 <바닷마을 다이어리>, 혈연을 전제하는 가족의 정의에 대해 되묻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 히로카즈의 최근작들이 그만의 따스한 시선이 감도는 영화들임을 부정할 순 없지만 한편으로는 자기 복제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난도 들어왔다. <어느 가족>에 이르러서는 그가 진솔하고도 담담하게 보여주던 시선들을 한 데 모은 집합체가 탄생한 것을 직감하게 한다.


<어느 가족>

안도 사쿠라의 얼굴

그의 여러 영화에 함께 해온 어머니의 표상 기키 기린, 평범한 중년의 얼굴 릴리 프랭키는 <어느 가족>에서 또 한 번 존재감을 빛내준다. 어느 하나 인상적이지 않은 캐릭터가 별로 없는 이 영화에서, 처음으로 히로카즈의 영화에 등장한 배우 안도 사쿠라는 굉장하다. 일본에서는 이미 걸출한 연기력을 가진 유명 배우이지만 국내 관객들에겐 아직 낯설다. 아마 2016년에 국내 개봉한 <백엔의 사랑>을 인상 깊게 본 관객이라면 그와의 재회가 반가울지도 모른다. <백엔의 사랑>에서 모든 것을 포기한 백수의 권투 도전기를 보여준 그의 존재감은 예사롭지 않았다. 안도 사쿠라는 <어느 가족>에서 어머니라 부를 수 없는 어머니 노부요가 되는데, 이렇게 애매한 자리에 위치한 인물의 간극마저 탁월하게 소화해낸다.

<어느 가족>

후반부 안도 사쿠라가 경찰의 추궁에 눈물을 흘리는 신은 <어느 가족>에 가장 진한 울림을 안길 장면이다. 평소 우는 얼굴을 잘 다루지 않는다는 히로카즈 감독도 “‘, 뭔가 특별한 게 찍혔구나라는 생각에 전율을 느꼈다고 촬영 현장에서의 기분을 전했다. 노부요는 이 기이한 가족의 심장과도 같은 캐릭터다. 만비키 가족은 혈연으로 맺어지지 않았기에 어떤 기대도 책임도 필요치 않다. 간명한 이해관계로 얽힌 이 가족이 생각처럼 쉽게 끊을 수 없는 유대감을 가지고 있는 까닭에는 노부요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바깥에서 바라보면 이 가족을 필요에 의해 맺은 비정하고도 괴이한 가족으로 설명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세상이 결정지은 가족의 의미는 이 가족 앞에서 투명해진다. 만비키 가족은 노부요의 말대로 누군가(부모 혹은 국가) 버린 사람을 주워서 만들어졌을 뿐이다.

어느 가족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출연 릴리 프랭키, 안도 사쿠라, 마츠오카 마유, 이케마츠 소스케, 키키 키린, 죠 카이리, 사사키 미유

개봉 2018 일본

상세보기

씨네플레이 인턴기자 심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