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짧게 김지운의 <인랑>에 대한 얘기로 글을 시작하려 한다. 나는 이 영화를 뒤늦게 IPTV로 봤는데 이 영화에 대한 기왕의 평점이 의아하게 여겨졌다. 김지운의 최고작은 아니겠지만 적어도 김지운의 지난 필모그래피를 전부 부정할 만큼 이 영화의 완성도가 처진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김지운의 이전 영화 중에 흥행과는 무관하게 그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 <달콤한 인생>(2004)에서 이병헌이 연기하는 주인공 선우는 나르시시스트로서의 단독자이고 자기가 이해하지 못하는 조직에 맞서 싸운다. 애니메이션이 원작인 <인랑> 역시 그런 점에서 김지운의 개인적 지향과 맞는 지점이 있을 터인데 주인공과 조직의 대결을, 납득할 만한 서사의 고정점이 없었던 <달콤한 인생>과 마찬가지로(이 영화에서 선우는 자신을 파괴하려고 한 조직의 보스에게 “내게 왜 그랬어요?”라고 묻는데 이는 관객이 서사에 갖는 의문과 동일하다), 실사영화 <인랑>은 애니메이션 원작과 달리 주인공 임중경(강동원)의 고뇌에 과도한 자기연민을 부여하며, 그가 여주인공 이윤희(한효주)를 살려주기 위해 희생을 무릅쓰는 것으로 결말을 맺는데, 전후맥락으로 보면 여기에 어떤 서사적 비약이나 구멍이 있다고 관객이 오해할 만하다. 원작에서 주인공은 문명의 보호를 자임하는 국가기관의 속성이 이해관계를 건 약육강식의 야수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고, 그 조직에 속한 자신의 본성을 조직의 그것과 일체시킨다. 이는 반체제 기관의 속성도 마찬가지여서 조직원인 여주인공은 그로부터 벗어나고 싶어 하나 실패한다. 원작은 이 실패의 결말에서 문명의 야만을 드러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