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괴>는 극장가 대목인 추석 시즌을 노린 영화들 가운데 가장 먼저 관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조선시대 중종 22년, 괴이한 짐승이 출몰했다는 <조선왕조실록> 기록을 바탕으로 한 크리처 액션 사극이다. 유사한 소재와 제목 때문에 조선판 <괴물>로 불리고 있다. 그간 사극 흥행 성적이 좋았던 김명민의 출연, 아이돌 출신 배우 혜리의 첫 스크린 주연작이라는 점도 관심을 모은다. 9월 12일 개봉에 앞서 3일 롯데시네마 건대 입구에서 열린 언론 시사회 반응을 모았다.

물괴

감독 허종호

출연 김명민, 김인권, 혜리, 최우식

개봉 2018 대한민국

상세보기

조선 한복판에서 포효하는 물괴,
크리처 비주얼 어땠나

괴이한 짐승이 조선시대 한복판에 나타난다는 설정은 <물괴>의 가장 흥미로운 포인트다. 예고편이 공개된 이후 여러 반응이 나왔다. 조선판 <괴물>이 될 것이냐, 흥행에 참패한 <7광구>가 될 것이냐가 대부분의 반응. 다행스럽게도 영화 속 크리처의 모습은 제법 좋은 평을 받았다. 제작진은 6개월 동안 20여 가지 디자인 시안을 만들었으며 각종 동물의 외형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한다. 외국 크리처와 달리 사극에 어울리게 만드는 데 가장 큰 중점을 뒀다고.

기이한 형체의 물괴는 조선시대에 있었을 거라고는 도저히 상상도 못할 압도적 크기와 무시무시한 이빨로 분위기를 공포스럽게 만든다. 물괴는 사람들을 물어뜯는 것은 물론, 민첩한 몸놀림으로 손도 쓸 새 없이 공격하는 포악함을 보인다. 수많은 화살과 검도 무용지물로 만드는 ‘넘사벽’ 괴물인데다가 사람들에게 역병을 옮긴다는 설정은 관객들을 더욱 겁먹게 만들며 한국형 크리처 액션물을 더 매력적으로 만든다.

- 뉴스엔 박아름 기자
큰 결점 없이 무난하게 나왔어요. 괴물은 피부병 걸린 해태와 같은 모습인데 그 정도면 배경과 어울리는 디자인. 사악한 사대부, 유약한 왕, 희생당하는 민초의 공식은 조선시대 배경에서 너무 당연한 것 같은데, 그래도 좀 변주를 줄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했던 것입니다.

- 듀나 영화 칼럼니스트 (트위터 @djuna01)
<물괴>를 봤습니다. 조선 궁궐에 나타난 괴물과 사투를 벌이는 이들을 그리는 크리처 사극인데요, 크리처의 디자인이나 살생은 비주얼적으로 강렬하지만 영화 전체적으로는 무난 무난합니다. 크리처가 등장하는 액션 사극이라면 예상할 만한, 딱 그만큼이었던 것 같습니다.

- 테일러콘텐츠 (트위터 @tailorcontents)
<물괴>는 역사에서 얻은 모티브, 물괴의 탄생과 은유하는 것 등 설정은 좋다. 액션과 CG도 준수하다. 그러나 이런 요소를 바탕으로 <괴물>의 정치성과 <늑대의 후예들>의 미스터리를 참고하여 서사로 엮는 과정은 날림공사에 가깝다. 이야기의 톤도 뒤죽박죽이다. 마치 여러 한국 영화를 뒤섞은 느낌이다.

- 이학후 영화 칼럼니스트 (트위터 @hakus97)

물괴에 맞선 4인방의 매력은?

물괴를 잡기 위해 활약하는 네 명의 수색대. 과거 뛰어난 내금위장 윤겸(김명민), 그를 잘 따르던 부하 성한(김인권), 의술·무술에 능한 윤겸의 당찬 딸 명(혜리), 중종의 명을 받아 윤겸을 데리러 온 허선전관(최우식)은 각자 서로 다른 능력과 성격으로 물괴를 잡는 데 어떤 역할을 한다. 네 명의 캐릭터에 차별성을 두는 데 중점을 둔 한편, 공통된 적 물괴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을 연기할 때는 마치 한 사람이 느끼는 감정처럼 연기했다고 한다. 배우들의 얼굴에서 과거 그들이 맡았던 배역들이 떠오른다는 점이 아쉬울 수 있으나 그만큼 제 옷을 입은 것 같은 캐릭터를 맡아 안정적인 연기 호흡을 보여주었다.

배우들의 안정적인 호흡은 영화 곳곳에서 빛난다. 초반에는 물괴의 존재를 두고 수색대원과 영의정 심운(이경영) 세력의 대립, 중후반에는 수색대와 물괴의 사투를 중심으로 쉴 틈 없는 전개가 펼쳐지는 가운데 배우들의 ‘케미’로 완성된 코믹한 장면들이 극을 무겁지 않게 채운다. 특히 윤겸 역의 김명민과 그의 오른팔 성한 역을 맡은 김인권의 차진 호흡이 눈길을 끈다.

- 티브이데일리 공미나 기자
공동의 적을 상대로 함께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네 배우의 호흡은 영화의 곳곳에서 빛을 발한다. 괴 생명체의 등장이라는 판타지적 소재 속에서도 배우들이 그려내는 선명한 감정의 선은 그 어느 것보다도 사실적으로 묘사돼 보는 이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 OBS 뉴스 김지원 기자
물괴 수색대 대장 역의 김명민은 이번 작품에서도 신뢰도 높은 연기를, 걸스데이 혜리(이혜리)는 안정적인 연기로 무난한 스크린 데뷔식을 치렀다. 김인권은 영화 곳곳에 타율 높은 유머를 선사한다. 최우식의 치명적인(?) 꽃미남 연기는 의외의 웃음을 안긴다.

- TV리포트 김수정 기자

사극 액션으로서의 재미는?

영화에는 크리처를 둘러싼 액션신뿐만 아니라 반란을 일으키는 세력들과의 액션신도 등장한다. 농민들과 수색대를 꾸려 물괴를 추적하던 4인방이 진용(박성웅)의 계략으로 그의 병사들과 펼치는 롱테이크 액션신도 그중 하나. 그동안 영화에서 액션 연기를 선보였던 김명민은 화려하지만 절제된 무술 동작을 선보인다. 최우식은 전작 <마녀>의 액션신과 다른 느낌의 액션 연기를 선보였다. 그러나 예상보다 적은 물괴의 분량에 대한 아쉬움과 함께 거대 괴수를 무찌르는 액션 쾌감이 다소 약했다는 반응도 있었다.

극 내내 허종호 감독은 일부러 앵글을 비틀기도, 물괴를 보는 배우들의 표정을 클로즈업해 화면 가득히 담아내기도 한다. 사극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붉은 기의 색감 등 극의 긴장감을 한치도 느슨하게 흘려보내지 않는다. 더불어 와이어 캠, 와이드 렌즈 등 생생함을 극대화한 연출이 공포의 최대치를 경험하게 한다.

- 파이낸셜 뉴스 우다빈 기자
무조건 때리고 부수는 거대 크리처 액션의 쾌감을 느낄 겨를이 없다. 왕실 신하들의 지난한 정쟁과 설명적 플래시백을 이어붙인 권선징악 서사가 참신한 시각효과를 뒷받침하지 못하는 모양새. 김명민, 김인권, 이혜리, 최우식 조합으로 기대감 높았던 물괴 수색대의 액션 신도 적어 아쉬움을 남긴다.

- 맥스무비 채소라 기자
김명민은 <조선명탐정>의 캐릭터와 비슷하게 등장해 ‘캡틴 조선’으로 영화를 마무리한다. 코믹부터 진지, 농기구를 이용한 독특한 액션까지 기대 이상의 몫을 해낸다. <물괴>는 곧 김명민이라고 이야기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특히 그는 김인권과의 케미스트리를 코믹부터 액션까지 모두 활용해 관객의 몰입도를 높인다.

- 일간스포츠 박정선 기자

씨네플레이 조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