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는 파운드 푸티지가 생명력이 다했다고 말할지도 모르겠지만, 최근 <곤지암>(2017)에 이르기까지 파운드 푸티지는 끝없이 생산되고 있다. 물론 저예산으로 만들기 쉽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지만, 파운드 푸티지가 불안과 공포를 창출하는 데 탁월하다는 이유도 무시할 수 없다. ‘푸티지’라는 말은 아직 편집되지 않은 영상을 의미하며, 파운드 푸티지는 이런 영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많은 영화에서 설정숏과 시점숏을, 롱숏과 미디엄, 클로즈업숏을 혼합해서 편집하는데, 이런 편집을 통해서 관객은 상황을 모두 파악했다고 느낀다. 그러나 시점숏으로만 진행되거나 CCTV로만 사건을 보여주는 경우에는 보이지 않는 부분, 화면의 사각지대가 생긴다. 많은 파운드 푸티지들이 보이지 않는 부분, 외화면을 활용하며 관객에게 공포의 실체를 정면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 공포를 가중한다. 보이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무엇은 언제나 인간을 불안과 공포에 떨게 하는 좋은 요소다.
그러나 파운드 푸티지가 단지 공포 장르에만 머무는 것은 아니다. 파운드 푸티지 안에서도 여러 가지 변용들이 있었다. <블레어 윗치>(1999)보다 10년 일찍 만들어진 <84 찰리 모픽>(1989)은 베트남전쟁을 사실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모큐멘터리 기법을 활용했다. <클로버필드>(2008)는 재난, 괴수 영화에 파운드 푸티지를 적용한 사례이며, <크로니클>(2012)은 액션영화지만 청소년의 불안과 공포를 표현한 드라마이기도 하다. 한편 위 영화들이 핸드헬드를 썼다면 <파라노말 액티비티>(2009)는 CCTV처럼 고정된 카메라를 활용해서 파운드 푸티지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인물이 들고 다니는 설정의 핸드헬드는 인물의 시점에서 촬영되는 점, 그리고 인물의 심리와 신체 상태가 카메라의 흔들림을 통해 표현된다는 점에서 주관성이 두드러지는 촬영기법이다. 이와는 반대로 CCTV는 인물들의 상황에 관심이 없는 무심하고 차가운 기계일 뿐이다. 이 차가운 카메라의 시선은 섬뜩한 공포를 유발하는 데도 효과적이지만, 관객과 영화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게 하며 관객을 사유하게 하는 동력이 되기도 한다. 봉준호의 단편 <인플루엔자>(2004)가 그런 작품이다. 이 영화는 객관적인 카메라의 시선을 통해 폭력의 근원을 사회학적으로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