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네코 슈스케 감독

가네코 슈스케 감독은 이른바 성공한 덕후다. 괴수영화의 오랜 팬이었던 그는 1990년대 일본 괴수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헤이세이 ‘가메라 3부작’을 연출했다. 올해 처음으로 부천을 방문했다는 사실이 의외로 느껴질 만큼 BIFAN에 딱 어울리는 가네코 슈스케 감독은 늦은 만큼 올해 BIFAN에서 가장 바쁜 일정을 소화 중이다. 부천 초이스 심사위원으로 초청되었을 뿐 아니라 괴수 특별전에서 ‘가메라 3부작’을 상영하고 최근작 <빽 투더 아이돌>(2017)도 한국 관객들에게 처음으로 선보인다. “영화가 꿈이라면 BIFAN의 영화들은 즐거운 악몽”이라는 가네코 슈스케 감독을 만나 장르영화를 즐기는 특별한 방법에 대해 물었다.

- 가메라 피규어를 구하지 못해 롤랜드 에머리히 감독의 <고질라>(1998)를 대신 들고 왔다. 표지 촬영 감사드린다. 최근 할리우드에서 괴수영화가 다시 힘을 받고 있다. 감독님의 헤이세이 가메라 3부작의 영향이 상당하다고 생각한다.

CG의 비약적인 발전 덕분에 괴수영화가 쏟아져 나오는, 대폭발 시대다. 인플레이션이라고 할까.(웃음) 롤랜드 에머리히의 <고질라>를 보고 미국인들이 고질라를 상당히 오해하고 있다고 느꼈다. 그때만 해도 엄청 크고 빠른 도마뱀 정도였는데 최근엔 영어로 ‘카이주’라고 번역할 만큼 괴수가 일반화되고 있다. 드디어 괴수물의 영혼을 조금씩 이해하고 있는 것 같다.

- 헤이세이 가메라 3부작은 단순히 괴수들 간의 대결에서 벗어나 인간의 시점에서 괴수를 그렸다는 점이 혁신적이었다.

가렛 에드워즈의 <고질라>(2014)의 경우 내가 연출한 <가메라-대괴수 공중결전>(1995), <가메라2-레기온 내습>(1996)의 스토리 전개와 유사하다고 느꼈다. 그래서 좋아한다.(웃음) 나도 어릴 적 괴수영화를 보고 자랐고 그 영향이 지금 영화들로 이어졌다. 사람들은 괴수가 싸우는 걸 빨리 보고 싶어 하지만 괴수가 등장하고 싸우는 것엔 합당한 이유가 필요하다. 최근 할리우드의 괴수영화들을 보면 장르의 소비처럼 보이기도 한다. 더 많이, 더 자극적으로, 더 요란한 축제의 현장이 이어지고 있다. 아무래도 물량을 쏟아붓는 게 상업적으로는 더 유리하다는 판단이겠지만 내가 애정 하는 방향은 아니다.

- ‘일본 괴수영화사전’을 만들었을 정도로 열혈 팬이시다. 당신이 연출한 헤이세이 가메라 3부작이 쇼와 시대 가메라 시리즈와 가장 크게 구별되는 특색은 무엇인가.

쇼와 버전의 가메라는 아이들을 위한 작품이었다. 나도 아이일 때 푹 빠져서 봤다. 성인이 된 후 가메라를 연출할 기회가 주어졌을 땐 ‘가메라를 보고 자란 사람들’을 위한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 당시 보면서 들었던 질문들에 대한 나름의 답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어른들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SF의 일부로써 특촬물의 기술적 완성도를 올리고 싶었다.

- 일본 괴수영화의 양대 산맥인 고지라와 가메라를 둘 다 찍은 유일한 감독이다. 비교하자면 <스타워즈>와 <스타트렉>을 동시에 연출한 셈인데.

가메라와 고지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가메라는 처음에는 당하다가 되갚아준다. 반면 고지라는 처음부터 강력하고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파괴의 신이다. 가메라는 히어로의 정석을 따라간다면 고지라는 안티히어로에 가깝다.

- 오타쿠 출신 영화감독 1세대로 불린다. 사랑하는 대상을 직접 만든다는 건 행복한 일이지만 고충도 있을 텐데.

<고지라 모스라 킹기도라 대괴수총공격>(2001)을 만든 후 이젠 내가 괴수영화의 팬이 될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팬이었을 때의 기분은 여전히 기억한다. 하지만 어떻게 하면 좀 더 괴수를 리얼하게 보여줄 수 있을까에 몰두하고, 무엇을 보여줄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는 내 자신을 발견한 뒤론 팬으로서 온전히 즐길 수가 없다. 데뷔작 <우노 고이치로의 젖은 정사>(1984)부터 원작을 두고 재해석하는 방식으로 연출해왔다. 지금까지는 그게 익숙하고 자연스러웠는데, 이젠 나의 인생을 반영한 영화를 시작할 시기가 온 것 같다.


글 송경원·사진 오계옥

씨네21 www.cine21.com

<씨네21>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공식 데일리 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