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의 경향 중 두드러지는 한 가지는 지난해의 흐름이 여전히 강력하게 이어진다는 점이다. 바로 여성 감독들의 약진이다. 뉴커런츠와 비전 부문 13편 중에서 공동감독을 포함하여 8편의 작품이 여성 감독 들의 연출작이다. 다만 영화제의 작품들을 통해 중요하게 의식되어야 할 것이 ‘경향’만은 아니다. 때로는 의도가 중요하다. 각 부문의 ‘제목’ 그대로 실행해 보자는 것이 올해 한국영화 프로그래밍의 의도 중 하나다. 그러니까 말 그대로 비전 부문에서는 영화의 비전을, 뉴 커런츠 부문에서는 새로움을, 파노라마 부문에서는 다양함을 관객에게 제시하는 것이다.
선정된 작품들을 부문별로 골고루 소개하는 방식도 있겠지만 지금은 그 반대를 택했다. 비전과 뉴커런츠 부문, 혹은 아이콘 부문의 <기생충>, 오픈시네마 부문의 <초미의 관심사>, 폐막작 <윤희에게>에 대해서는 이 자리에서 별도로 말하지 않으려 한다. 지금은 파노라마 부문에 대해서만 집중하여 말하려 한다. 그리고 파노라마 부문은 다시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주류 한국영화 개봉작 중 엄선된 6편. 이것이 첫 번째다. 개봉작을 대상으로 한 부산국제영화제의 베스트 목록에 가깝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말하 자면, <엑시트>, <극한직업>은 단순히 흥행이 잘 된 영화인 것이 아니라 대중적 기획력과 연출력이 빚어낸 창의적 사례로 꼽힐 만하다. <강변호텔>은 홍상수 감독의 영화여서 부산에 온 것이 아니라 여전히 홍상수의 영화가 가장 뛰어난 영화여서 부산에 왔다. <유열의 음악앨범>은 올해 한국영화 안에서 만난 가장 아름다운 연애사다. 감독 정지우 감독의 연출력 특히 그의 독창적인 연기 연출 력에 대해서는 더 많은 조명이 필요하다. <유열의 음악앨범>에서 흥미롭지 않은 연기를 하는 배우란, 주 조연을 모두 통틀어 아무도 없다. <미성년>에서 감독 김윤석은 좋은 감독이 지녀야 할 안목과 실력을 그가 지니고 있음을 입증해냈다. 그는 이제 기다려지는 신인 감독에 이름을 올렸다. 그리고 이종언 감독의 <생일>은 한국의 상업영화가 할 수 있는 어떤 최선의 모델인 것처럼 보인다. 이 영화는 온화하고 신중하고 섬세하며, 너무 슬프다.
두 번째는 명망 있는 기성 감독들의 신작이다. 박정범 감독의 <이 세상에 없는> 은, 그렇지 않아도 가혹하기로 유명한 박정범 영화 세계의 인물과 환경들 중에 서도 가장 가혹한 사례로 등극할지 모르겠다. 모종의 긴급함, 두려움, 간절함이 영화 내내 숨 막힐 정도로 배어 있어서 영화 자체가 하나의 ‘기도’인 것처럼 느껴진다. 이동은 감독의 <니나 내나>는 습득과 축적의 뛰어난 결과물인 것 같다. 전작들의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은 고취하면서 한 가족의 감동적인 애가를 완성 해냈다. <프린세스 아야>는 한국애니메이션의 장인 이성강 연출, <부산행>의 제작진 제작, 동화와 환상으로 잘 구성된 이야기, 아이돌 스타 백아연과 갓세븐 진영의 목소리 출연, CGV 스크린 X팀이 완성한 세계 최초 풀 버전 스크린 X 애니메이션이라는 신기술의 영화라는 사실만 나열해도 벌써 기대작이 된다. 신수원 감독의 <젊은이의 양지>와 전계수 감독의 <버티고>는 어느 면에서 볼 때 신중하고도 장르적인 사회학적 호러 드라마(<젊은이의 양지>)이거나 멜로드라마 다(<버티고>). 두 영화는 각각 선택한 장르적 집중력과 밀도를 서서히 높여가면 서, 마침내 이 사회의 사회적 의미망의 핵심부를 우아하게 찔러 들어온다. 고봉수, 고민수 감독의 <우리마을>은 그렇다면 그 반대다. 여기에는 정치도, 사회도, 아무것도 없다. 많이 들어본 이야기, 우스꽝스러운 인물들, 촌스러운 대사와 카메라 앵글이 있지만, <델타 보이즈>와 <튼튼이의 모험>에서 고봉수 감독이 선보인 고집 센 날림과 날것의 미학은 한층 더 도약해 있다. <우리마을>에서 평범한 건 딱 한 가지, 제목뿐이다. 세 번째는 현재 주류 대중 영화와 비교해도 뒤처지지 않을 만큼의 대중적 친화력과 만듦새를 지닌 폭넓은 차원의 대중 영화들이다. 이 영화들이 공고한 주류 영화계 바깥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이 혹은 신인들의 영화라는 것이 흠이 되진 않을 것이다. 박제범 감독의 <집 이야기>에서는 뛰어난 배우 이유영과 강신일의 담담하고 온화한 연기 조화가 마음을 사로잡는다. 고훈 감독의 <종이꽃>의 매력은 무엇보다도 안성기라는 배우의 ‘실물’에 있다. 이야기는 흔하고 평범하지만 안성기라는 배우가 망자의 관 앞에 서서 연기를 할 때, 한평생 망자들을 예의 있게 대해온 늙고 고집 센 장의 사의 염이 시작되는 그때, 그의 표정과 손짓은 우리를 깊은 감흥으로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