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커머> 포스터

※ 극장에 걸리지 않았지만 이대로 놓치기 아쉬운 영화들을 한 주에 한 편씩 소개합니다.

<오버커머>는 1월 9일(목) 올레 TV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


모두가 잘하는 걸, 좋아하는 걸 마음껏 할 수 있는 세상이라면 참 좋을 텐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누군가는 성취를 거머쥐려는 찰나 외부 환경 때문에 놓치고, 누군가는 좋아하는 걸 하고 싶은데 어떤 장애물에 부딪힌다. 영화 <오버커머>의 두 주인공 존(알렉스 켄드릭)과 해나(아린 라이트-톰슨)도 마찬가지다. 두 사람은 각자의 고난을 어떻게 극복(Overcome)했을까.


존 해리슨(알렉스 켄드릭)

존 해리슨은 고등학교 농구부 코치다. 그의 팀은 챔피언십 대회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내년엔 반드시 우승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 차오른다. 하지만 지역에서 가장 큰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에이스들이 뿔뿔이 흩어지게 되고, 존도 농구팀을 운영할 수 없음을 깨닫는다.

그때 교장 올리비아(프리실라 C. 샤이어)는 그에게 크로스컨트리 팀의 코치를 맡긴다. 하지만 크로스컨트리의 부원은 단 한 명, 해나 스콧. 해나는 빼어난 달리기 실력을 갖췄지만, 선천적인 천식과 가정 문제로 애정결핍을 겪는 학생. 존과 해나가 나름대로 크로스컨트리 ‘팀’의 실력을 향상시켜가는 가운데, 존은 병원 자원봉사 도중 토마스 힐(카메론 아넷)을 만난다.

해나 스콧(아린 라이트-톰슨)

<오버커머>는 기본적으로 스포츠 영화의 틀을 따르고 있다. 궁지에 몰린 코치와 결점을 가진 선수. 그 둘이 만나서 경기력으로 세상을 놀라게 하는 구조는 익히 봤을 스포츠 영화와 다를 바가 없다. 그렇다면 <오버커머>가 기존 영화와 다른 점은 뭘까. 세상에 대한 관심이다.

스포츠 영화가 특유의 깔끔한 맛을 내는 건 그만큼 묘사해야 할 인물에만 집중하기 때문이다. 주인공과 라이벌, 혹은 선수와 코치, 이 정도의 관계에 묘사하고 그 결말을 ‘승부’에 집중하니 완결성은 탁월하다. 하지만 관계를 제대로 묘사하지 못하면 전개는 정형화되고 인물은 단편화된다. 스포츠 영화 장르가 재미를 보장하되 개별 작품의 특별함을 찾기 어려워진 것도 이런 이유다.

반면 <오버커머>는 존과 해나를 중심으로 다양한 인물을 그려낸다. 그들이 서로에게 주고받는 영향을 좇아가면서 한 사람 한 사람의 선택과 언어가 어떤 결과를 내는지를 재차 짚어낸다. 영화의 발단부터 지역 사회의 와해를 짚어내고, 존과 가족들, 존과 토마스, 해나와 교장 등 이들 각자의 교류를 통해 서로의 역경을 이해하려는 과정을 묘사한다.


마스 힐(카메론 아넷)

해나와 존이 처음 크로스컨트리를 연습하는 날, 존의 아들 윌도 크로스컨트리에 도전한다. 그는 골인 직후 숨을 헐떡이며 “이 스포츠의 문제는 공을 안 쓴다는 거예요”라고 말한다. 농구부 코치의 아들다운 대사라 코믹하면서도, 사실 그의 말이 꽤 정확하긴 하다. <오버커머>는 왜 덩크 슛도, 골도 없는 크로스컨트리를 주요 소재로 삼은 걸까.

크로스컨트리는 단순한 스포츠다. 코스를 달려서 골인하면 된다. 순위는 있지만, 점수는 없다. 그렇다면 이 운동에서 의지할 수 있는 건 나뿐이다. 크로스컨트리에서 이기는 방법은 누군가의 말처럼 등뼈에 의지해 달리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얘기, 어디선가 들어본 적 있지 않은가. 그렇다, (주로 마라톤에 자주 비유되는) 인생이다.

<오버커머>가 농구 같은 팀 스포츠에서 크로스컨트리로 눈길을 돌린 이유. 누군가의 경쟁에서 오는 승리가 아니라, 스스로 모든 과정을 감내하면서 오는 성취를 다루고 싶기 때문이다. 영화 속 인물들이 내면적인 고요함을 통해 외부 환경의 영향을 헤쳐나가는 방식과 자신만을 믿고 달려야 하는 크로스컨트리가 겹쳐 보이는 건 당연하다.

물론 이렇게만 말하면 크로스컨트리나 <오버커머>가 매정한 영화처럼 느껴질 수 있다. 혼자서 모든 걸 해내야 하는 것처럼 느껴지니까. 하지만 마라톤이 그렇듯 크로스컨트리에도 수많은 관중들이 있고 그들은 각자 누군가를 응원한다. <오버커머>도 그런 풍경을 포착한다. 달리는 건 혼자여도, 골인하기까진 많은 이들의 사랑과 응원이 있다. <오버커머>는 외롭고 고된 과정조차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고 관객들을 따스하게 응원해준다.


씨네플레이 성찬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