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새해를 며칠 앞둔 진짜 ‘연말’이 되었다. 이전과 완전히 다른 한 해를 보내고 나니, 지금은 모든 게 특별하게 느껴진다. 내년은 올해보다 모든 면에서 더 나아지길, 모두들 힘들고 우울한 시기를 떨칠 용기를 얻으시길 바란다. 이번 주 할리우드 말말말은 지난해에 이어 또 ‘욕먹는’ 시상식이 될 골든글로브상의 이해할 수 없는 결정과 어쩌다 보니 마블 영화를 베낀 미국 우주군의 이야기를 살펴본다. 배우 시무 리우가 몇 년 전 올린 SNS 게시물을 지운 이유, 이스라엘계 배우 갤 가돗이 이집트 여왕 역을 맡기로 결정한 이유를 들어본다. 이번 주 글도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클레오파트라'를 연기할 마케도니아계 배우를 찾았지만, 없었다
- 갤 가돗
갤 가돗은 <원더 우먼 1984> 이후에도 여러 작품으로 팬들을 찾아올 계획이다. 그중엔 패티 젠킨스 감독과 다시 작업할 ‘클레오파트라’ 영화가 있는데, 지난 10월 프로젝트 발표 때 이집트 여왕 역에 이스라엘 배우를 기용하는 것으로 비판받았다. 가돗은 최근 인터뷰에서 제작에도 참여한 영화에서 클레오파트라 역을 맡은 이유를 설명했다.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려 한다면, 원래 클레오파트라는 마케도니아(그리스 지역)계다.”라고 운을 뗀 뒤 “클레오파트라를 연기할 마케도니아계 배우를 찾았지만,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자신은 클레오파트라라는 인물에 애정이 크며, “클레오파트라의 업적을 기리고 상징적 인물을 기리는 데 헌신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영화는 수많은 버전 중 하나일 뿐이며, 다른 영화가 제작되는 걸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네 나라로 돌아가라는 말이지, 그런데 거긴 미국이잖아
- 다니엘 대 김
골든글로브상 시상식 후보 선정이 한창인 가운데, ‘미국 영화’ <미나리>의 후보 자격 문제로 할리우드가 들썩인다. 시상식 주최인 할리우드외신기자협회(HFPA)는 <미나리> 대사의 50% 이상이 한국어라는 이유로 드라마 작품상 후보는 탈락, 외국어영화상 후보 자격이 있다고 결정했다. 이를 두고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미국인이 연출, 주연을 맡고 미국 회사가 제작한 영화가 ‘외국어영화’로 분류된 건 인종차별적 결정이라 주장한다. 다니엘 대 김은 “네 나라로 돌아가라는 말과 같은데, 사실 그 나라는 미국”이라고 비판했다. 해리 슘 주니어는 작품상 후보에 올랐던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의 경우 영어 대사가 30% 뿐이라며 HFPA의 이중 잣대를 비판했다. HFPA는 <미나리>의 작품상 자격 여부를 재심했으나 기존 결정을 재확인했다. 이쯤 되면 드라마 작가 쯔 춘의 한 마디가 예사로 보이지 않는다. “우리가 2년 연속 수상하는 게 싫은 거 같은데.”

The Hollywood Foreign Press Association’s category guidelines ignited an outcry Tuesday when it was announced that “Minari” would be classified as a foreign language film for Gold…
variety.com
아시아계의 긍정적 모습을 보여줄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다
- 시무 리우
마블 영화 <샹치 앤 더 레전드 오브 더 텐 링스> 주연 시무 리우가 차기작으로 마크 월버그 주연 영화 <아서 더 킹>을 결정했다. 그런데 리우는 몇 년 전 트위터에서 월버그를 공개 비판한 적이 있다. 월버그가 1988년 베트남계 시민 두 사람을 폭행해 기소당한 사건을 언급하며 그를 인종차별주의자라 비난했던 것이다. 리우는 몇 년 전 올린 트윗을 삭제하고, 그 이유를 인스타그램에 설명했다. “프로페셔널의 태도로, 또한 더 진보적인 대화가 가능할 것이란 믿음 아래 몇 년 전 올린 글을 삭제했다.”라고 밝히고 “그 당시엔 정말 진심으로 화가 났다. 그렇다고 성장의 가능성이나, 뭔가를 배우고 좋은 일을 할 기회가 없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리우는 아시아계 남성의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줄 기회를 발견했고, 이를 놓치고 싶지 않았기에 <아서 더 킹> 출연을 결정했으며, 전향적인 결정이 대화와 행동을 이끌어낼 것이라 믿는다고 글을 마무리했다.
이거 고소 가능할까요? -
제임스 건
올 상반기 공개된 넷플릭스 드라마 <스페이스 포스>의 영감이 된 미국 제5의 연방군, 우주군에 대한 재미있는 사실이 공개됐다. 지난 19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창설 1주년 기념식에서 우주군의 명칭을 ‘가디언(guardian)’이라 발표한 것이다. 미국 우주군 공식 트위터에 따르면, 1년 간 여러 의견을 받고 전문가와 대중 대상 조사를 진행한 결과 결정됐다고 한다. 예상대로 소셜 미디어 반응은 긍정적이진 않다. 한 트위터 유저는 “1년을 들여서 만든 게 스타트렉 로고에 마블 이름이냐?”라며 비꼬았다. “그럼 마스코트는 그루트인가?”, “너구리도 우주군에 입대 가능한가?”라는 질문도 나왔다고 한다. 자신의 영화가 갑자기 우주군 명칭이 된 걸 목격한 제임스 건 감독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그는 보도 링크를 인용하며 “이 머저리 고소 가능할까요?”라며 펜스를 조롱했다.

On Friday, Vice President Mike Pence celebrated the one year anniversary of Donald Trump’s new branch of the U.S. Armed Forces, the Space Force. Pence did so by announcing that — as tho…
deadline.com
에그테일 에디터 혜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