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이 현지시간 4월 25일 대단원의 막을 내렸습니다. 배우 윤여정 씨가 한국 최초로 여우조연상(Academy Award for Best Supporting Actress)을 수상함에 따라 작년 <기생충>에 이어 올해도 국내 팬들에게 아카데미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는데요. 오늘은 오스카에 후보로 오르거나 수상을 하게 되면 흥행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북미부터 살펴보면, 오스카로 인해 최고의 수익률을 올린 영화는 2014년 개봉된 <아메리칸 스나이퍼>로 작품상 후보에 오른 후 전체 수익에서 약 90.4%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이어서 <제로 다크 서티>(2012)로 90.2%의 수익을 올렸고 <멋진 드렛서>(1983)는 89.4%의 수익을 냈습니다. 작품상 후보에 올랐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오스카 후광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메리카 뷰티>같은 경우를 살펴보면, 이 영화는 1999년 9월 15일 개봉되어 오스카 발표 전까지 7천 5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흥행에 있어서는 할 만큼 다한 상태였습니다. 그랬던 이 영화가 오스카에서 작품상을 수상하자 다시 불이 붙습니다. 달랑 7개였던 극장이 1287개로 확장되고 박스오피스 순위도 54위에서 10위로 껑충 뛰어 오릅니다. 최종적으로 박스오피스는 1억 3천만 달러를 기록하였고 그중 43%는 오스카 수상 이후에 나온 결과였습니다. <기생충>은 오스카 수상 후 북미 박스오피스에서 12위에서 4위로 급상승합니다. 당시 버라이어티(Variety) 기사를 보면, ‘주말동안 550만 달러로 234% 증가하여 지난 10년 동안 오스카 작품상 수상작 중 가장 큰 상승세를 보여주었다. 또한 시상식 이후 7일 동안 880만 달러를 벌어들여 국내 집계의 20%를 차지했다. 이는 비 영어 영화로써는 엄청난 결과가 아닐 수 없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면 국내시장은 어떨까? 올해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한 <노매드랜드>는 국내서 4월 15일 개봉되어 현재 극장에서 상영 중인 영화입니다. 오스카 전인 25일까지 누적관객수는 2.8만 명으로 박스오피스 9위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오스카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월요일 6위로 올라섰지만 그리 오래 가지 못하고 수요일에 다시 9위로 내려앉고 맙니다. <미나리>도 5위에서 2위로 올라서면서 관객이 회복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이 역시 소소한 수준입니다. 작년 <기생충>을 살펴보면, 이 영화는 2019년 5월 7일 개봉되어 오스카 전에 이미 국내 관객수의 최대치라 할 수 있는 천만을 넘긴 후라 오스카 수상효과라고 할 것까지도 없었습니다. 4월 29일 <기생충> 흑백판이 개봉되기 전까지 20만 정도가 더 들었을 뿐입니다. 2019년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한 <그린북>은 국내서 1월 9일 개봉되었고 2월 24일 오스카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합니다. 그때까지 누적관객수는 30만 명이었고 수상 후 한 달 동안 10만이 더 들었을 뿐입니다. 2018년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때도 마찬가지로 수상 후 한 달 동안 18만 명에 그칩니다. 역대 최초로 호명 실수 해프닝이 있었던 2017년 오스카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문라이트>, 이 영화는 오스카 시상식 바로 앞전인 2월 22일 개봉되어 아카데미 효과를 그대로 가져갔지만 한 달 동안 13만의 관객을 동원 최종 누적관객수 18만에 그치고 맙니다. 결국 국내에서의 오스카 후광은 참으로 미미하다고 해도 될 듯합니다.
미국 인터넷 마케팅 연구 기업 컴스코어(Comscore)의 수석 미디어 분석가인 Paul Dergarabedian 는 ‘오스카 후보에 지명되면 영화 흥행 전망을 높일 수는 있지만 그것도 개봉 시기에 따라 달라진다. 왜냐하면 영화는 아직 안 보았지만 볼 의도가 있는 ’잠재적 관객‘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습니다. 국내 시장은 오스카가 끝나고 나면 바로 3월 비수기 시장으로 접어듭니다. (올해는 오스카가 4월에 진행되었지만 보통은 2월 말, 3월 초에 열립니다) 시장이 작아지면서 그만큼 잠재적 관객도 줄다 보니 오스카 후광효과가 두드러지기 힘든 것은 아닌가 합니다.
한편 최근 오스카의 후광을 위협하는 또 다른 존재로 스트리밍 서비스의 등장을 무시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오스카는 ABC 방송에서 독점중계를 하고 있는데 올해 시청자 수는 985만으로 작년 2360만 명 대비 약 58%로 역대 최저 수준이었습니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의 평균 시청자 수로 비교해보아도 20년간 평균 3796만 명을 유지하던 시청자 수가 작년과 올해 급 하락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그 주요원인으로 팬데믹과 스트리밍 서비스를 꼽고 있습니다. (출처: statista.com)
올해 오스카에 후보에 오른 작품 수를 보더라도 넷플릭스(넷플릭스는 2019년 미국영화협회 회원사로 가입하면서 아카데미 출품이 가능하게 되었다.-편집자) 오리지널이 7개, 디즈니가 5개, 워너 3개, 소니 2개로 전통 스튜디오들의 아성이 무너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뿐만 아니라 올해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한 <노매드랜드>같은 경우 2021년 2월 19일 북미서는 극장과 동시에 스트리밍 서비스인 ‘훌루’에서 서비스 되었습니다. 아카데미 수상 후 이 영화를 볼 수 있는 유일한 곳은 훌루입니다. 아카데미 후광효과를 훌루가 보고 있는 것이죠. 결국 오스카가 극장 흥행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줄어들 것이고 스트리밍 및 온라인의 영향은 더 커질 수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글 | 이하영
하하필름스 대표, 《영화 배급과 흥행》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