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아누 리브스의 <BRZRKR>

영화 <콘스탄틴>에서 DC 캐릭터를 연기했던 키아누 리브스가 자신을 닮은 주인공이 나오는 코믹스 <BRZRKR>(버커서)를 집필하고, <고스트 라이더>의 니콜라스 케이지는 아들과 함께 <부두 차일드>라는 오컬트 미스터리물을 창작했다. 유명 셀럽들이 코믹스의 스토리를 쓰는 경우가 의외로 많은데, 다재다능하다는 말은 이럴 때 쓰라고 있나 보다. 이 외에도 코믹스 작가로 활동 중인 셀럽들은 누가 있을까?


제라드 웨이

제라드 웨이와 그의 <둠 패트롤> 캐릭터들

세계적인 록밴드 마이 케미컬 로맨스의 보컬 제라드 웨이는 코믹스 작가로도 성공한 인물이다. 만화가 지망생이었던 그의 재기 발랄한 상상력은 넷플릭스를 통해 영상화된 <엄브렐러 아카데미>나 DC에서 발간된 <둠 패트롤> 시리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원작자의 세계관을 잘 유지하면서, 기존의 히어로물과는 결이 다른 스토리를 쓴다. 본인의 말에 따르면 음악을 하면서 얻은 영감과 경험이 코믹스 작가로도 성공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자신과 같은 밴드에서 활동 중인 동생인 마이키 역시 코믹스 작가로 데뷔했다.


J.J. 에이브럼스와 아들 헨리

J.J. 에이브럼스

J.J. 에이브럼스는 2019년에 아들 헨리와 함께 새로운 <스파이더맨> 코믹스 시리즈를 집필했다. 피터 파커와 메리 제인의 아들인 벤 파커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다. 마블은 그를 섭외하려고 오래 공을 들였다고 하지만, 코믹스의 반응은 생각보다 신통치 못했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중점으로 다루었지만, 기존의 스파이더맨과 색깔이 너무 달랐다. 어쩌면 J.J. 에이브럼스가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와 비슷한 시기에 작업을 병행하면서 발생한 문제일 수도. 어쨌든 J.J. 에이브럼스의 명성과 화제성에 비하면 그의 코믹스 작가 데뷔는 성공적이라고 할 수 없을 듯하다.


케빈 스미스

<점원들>, <제이 앤 사일런트 밥> 등으로 자신만의 세계관을 구축한 감독 케빈 스미스는 코믹스 마니아로 유명하다. 딸 이름을 할리 퀸 스미스로 지었을 정도다. 그래서인지 코믹스에서도 좋은 작품들을 내놓았다. <배트맨: 와이드닝 가이어>나 <배트맨: 캐코포니> 같은 그가 직접 쓴 코믹스는 상당한 호평을 이끌어냈다. 1960년대 배트맨 TV 드라마와 그린 호넷 드라마의 인물들이 함께한 <66년도 배트맨이 그린 호넷을 만나다>라는 독특한 작품을 내기도 했다.


에밀리아 클라크와 로사리오 도슨

에밀리아 클라크(왼쪽), 로사리오 도슨

마블 드라마 <시크릿 인베이전>에 캐스팅된 것으로 알려진 에밀리아 클라크도 초능력 미혼모의 싸움을 그린 <MOM: 마더 오브 매드니스>라는 코믹 시리즈를 공동 집필했다. 에밀리아는 배경설정부터 의상디자인까지 많은 부분에 직접 참여했다고 한다. ‘엄마들이야말로 슈퍼히어로다’라는 표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진짜 엄마가 슈퍼히어로인 시리즈를 이미지 코믹스에서 출간했다.

<데어데블> <제시카 존슨> <루크 케이지> 등 넷플릭스의 마블 시리즈를 연결하는 클레어 템플 역을 맡은 로사리오 도슨 역시 코믹스 작가로 데뷔했다. 로사리오는 몇 년 전에 데이비드 애치슨과 함께 오컬트 범죄를 수사하는 코믹스를 썼는데, 비록 무산되긴 했지만 한때 영화화가 논의될 정도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패튼 오스왈트를 비롯한 코미디언들의 코믹스 작가로의 활약

<에이전트 오브 쉴드> 드라마의 쌍둥이 요원

코미디언들의 활약도 눈에 띈다. 마블 드라마 <에이전트 오브 쉴드>에서 무한증식 쌍둥이요원 쾨닉 패밀리 역을 맡은 패튼 오스왈트는 코미디언 겸 시나리오 작가로도 유명하다. DC에서 <JLA: 월컴 투 더 워킹 위크>라는 ‘저스티스 리그’의 단행본을 집필했고, 최근 애니메이션 <마블 모독>의 목소리 출연을 하게 된 인연으로 스핀오프 코믹스인 <모독: 헤드 게임즈>를 만들었다.

세스 마이어스와 빌 헤이더, 두 코미디언은 할로윈을 배경으로 한 <스파이더맨: 짧은 할로윈>을 함께 써서 찬사를 받았다. 폴 시어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가 다른 히어로들과 만나는 <가디언즈 팀 업> 시리즈를 집필한 데 이어, <어스토니싱 앤트맨> 시리즈에는 악역으로 직접 만화 속에 등장하기도 했다. 드라마 <빅뱅이론>에 출연한 브라이언 포셴은 데드풀이 미국의 역대 대통령 유령들과 만나는 스토리를 작가 제리 더갠과 공동으로 작업했다.


영화 각본가들이 쓴 코믹스

J. 마이클 스트랙진스키와 그가 쓴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각본가 겸 감독으로 유명한 데이빗 S. 고이어는 <다크나이트>, <블레이드>, <맨 오브 스틸>,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엑스맨> 시리즈 등에 참여해 슈퍼히어로와 남다른 인연을 자랑한다. 이 같은 장기를 살려 그는 DC 코믹스에서 <스타맨>과 <JSA(Justice Society of America)> 시리즈를 작업해 그의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체인질링>과 <토르: 천둥의 신> <월드 워 Z>의 각본가인 J. 마이클 스트랙진스키는 코믹스 세계에서 명망이 높다.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장기간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시리즈를 집필하면서 스파이더맨의 기원을 재정립했고, <토르>, <슈퍼맨: 어스 원>, <원더우먼> 시리즈 등의 코믹스에 참여했다.


블랙 아이드 피스의 래퍼 타부와 마크 해밀

전 세계 팝차트를 휩쓸었던 힙합그룹 블랙 아이드 피스의 래퍼 타부는 2020년에 영화편집자인 벤자민 재켄도프와 함께 마블 코믹스의 <웨어울프 바이 더 나이트>를 발표했다. <어벤져스>와 <저스티스 리그>의 연출을 맡았던 조스 웨던은 자신의 영화와 TV 시리즈를 제작하는 동안 많은 코믹스를 집필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그가 작업한 마블의 <어스토니싱 엑스맨> 시리즈와 <런어웨이즈> 시리즈는 영화, TV 드라마만큼 자신의 대표작이 되었다.

‘루크 스카이워커’ 마크 해밀은 DC 애니메이션의 조커 목소리, 드라마 <플래시>의 빌런 트릭스터를 맡았던 만큼 코믹 컬처와 매우 가까운 사람이다. 그 역시 코믹스 작가로 데뷔해 자경단원의 활약을 그린 <블랙 펄> 시리즈를 집필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프로레슬러 얼티밋 워리어, 세계적인 셰프 앤소니 부르댕, 배우 라시다 존스 등도 각각 독특하고 매력 있는 설정의 코믹스들을 집필하며 인정받았다.


에그테일 에디터 · 코믹스 칼럼니스트 김닛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