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본색>

“새로 나온 거 뭐 없어요?” 동네마다 비디오 대여점이 있던 시절이 있었다. 1990년대 초반 이야기다. 그 당시 홍콩 누아르 영화의 인기는 상당했다. 네 글자 제목의 신작 홍콩영화라면 예약을 걸기도 했다. 물론 극장 앞에도 관객들이 줄을 길게 섰다.

주윤발은 역시 쌍권총이다. 총알이 얼마 남았는지는 상관 없다.

홍콩 누아르의 인기는 아마도 <영웅본색>(1986)에서 시작된 것 같다. 그 당시 우리들의 영웅은 주윤발이었다. 검은 선글라스와 입에 문 성냥개비, 바바리 코트, 쌍권총이 그를 대표하는 이미지였다. 아, 불타는 위조지폐로 담뱃불을 붙이는 모습도 빼먹으면 안 된다. 당시 청소년들은 그를 윤발이 형님, 따거(大哥)로 불렀다.

5월18일 주윤발의 생일을 맞아 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1955년생인 그는 이미 환갑이 지났다.

1941년 홍콩을 배경으로 한 <등대여명>(1984)으로 주윤발은 대만 금마장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가난한 어린 시절
주윤발은 홍콩 라마섬의 가난한 집에서 태어났다. 집안 사정으로 중학교 중퇴의 학력을 가지고 있다. 친구의 권유로 1972년 연극배우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80년에 출연한 <상해탄>이라는 드라마로 입지를 다졌다. 1988년에 가수로도 데뷔했다.

<영웅본색> 3부작 신문 광고.

오우삼 감독과 만나다
<영웅본색>을 준비하던 오우삼 감독은 신문에서 소년 소녀 가장에게 장학금을 전달한 주윤발의 기사를 우연히 접하고 그를 만나기로 했다. 주윤발을 만난 오우삼 감독은 그를 “따뜻한 마음씨와 의협과 기사도의 풍모가 느껴지는 사람”이라 평하면서 <영웅본색>에 캐스팅했다. 오우삼 감독의 눈은 정확했다. <영웅본색> 이후 주윤발은 홍콩을 넘어 아시아의 스타로 발돋움했다.

미국에서 촬영한 <가을날의 동화>.
임영동 감독의 <감옥풍운>.
<첩혈쌍웅>
<도신 - 정전자>
<종횡사해>

일단 출연 계약부터 합시다
<영웅본색> 이후 주윤발은 엄청나게 많은 영화에 출연했다. 1986년 11편, 1987년 11편, 1988년에는 무려 16편의 영화에 모습을 보였다. 아침, 점심, 저녁 다른 영화을 촬영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당시 홍콩영화계는 시나리오가 나오기 전 주윤발 캐스팅부터 했다.

밀키스 CF - 주윤발 1편 (1989)
<유머 1번지>에 출연한 주윤발.

사랑해요 밀키스
아직도 주윤발의 음료 광고 카피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한국에서 주윤발의 인기는 어마어마했다. <로드쇼> 등 영화잡지들은 주윤발을 비롯한 홍콩배우 아니면 할리우드 배우를 표지 모델로 내세웠다. 당시 잡지들은 컬러 지면과 흑백 지면으로 나누기도 했는데, 주윤발이라면 당연히 컬러 지면이었다. <유머 1번지> 같은 TV 프로그램에도 자주 출연했다.

<커럽터>
(왼쪽부터) <리플레이스먼트 킬러>, <애나 앤드 킹> <방탄승>

할리우드 진출, 성공과 실패
<영웅본색> 3부작, <첩혈쌍웅>, <도신 - 정전자>, <흑사회>, <종횡사해> 등 히트작에 출연한 주윤발은 1998년 할리우드로 발길을 돌렸다. <영웅본색>의 오우삼 감독의 부름을 받고 <리플레이먼스 킬러>에 출연했다. 결과는 좋지 않았다. 다음해 출연한 <커럽터>, <애나 앤드 킹>도 마찬가지였다. 2003년 개봉한 <방탄승> 역시 혹평을 들어야 했다.

<와호장룡>
<캐리비안의 해적: 세상의 끝에서>
<드래곤볼 에볼루션>

<와호장룡>(2000)은 달랐다. 이안 감독의 이 영화에서 주윤발은 무당파의 마지막 무사, 리무바이를 연기했다. 주윤발이 출연한 할리우드 영화 가운데 가장 유명한 건 <캐리비안의 해적: 세상의 끝에서>(2007)가 아닐까 싶다. 그는 싱가포르의 해적 영주 사오펭 선장을 연기했다. <드레곤볼 에볼루션>(2009)에서 주윤발은 무천도사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공자춘추전국시대>
<주윤발의 도성풍운>
<코드네임: 콜드워>

다시 홍콩으로
2000년대 중반까지 홍콩과 미국을 오가던 주윤발은 2010년 이후 미국행을 줄였다. 최근에는 거의 홍콩, 중국영화에 출연하고 있다.
2010년 <공자춘추전국시대>의 공자, 2012년 <조조: 황제의 반란>의 조조(주윤발은 삼국시대 오나라 군사 주유의 후손이라고 한다)를 연기했다. 시대극 이외에도 <주윤발의 도성풍운>이라는 도박 영화가 2014년 국내 개봉했다.  ‘도신의 귀환’이라는 카피를 내세웠다. 이 시리즈는 3편까지 이어졌다.
2014년 <몽키킹: 손오공의 탄생>에서는 옥황상제를 연기했다. 1980~90년대 홍콩 누아르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영화 <콜드워>의 속편 <코드네임: 콜드워>(2016)에서는 변호사 오스왈드 역을 맡았다.

지하철에서 목격되는 주윤발.

지하철 타는 따거
최근 ‘주윤발 지하철 사진’이 이슈가 된 적이 있다. 대락 2천여 억원의 재산이 있는 그가 지하철을 타는 검소한 생활을 한다는 내용이다. 심지어 아내에게 용돈을 받아서 생활하고 자가용도 없다고 한다. 주윤발은 재산의 99%를 사회에 기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2014년에는 홍콩에서 벌어진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주윤발과 함께 친시위대 발언을 한 유덕화, 양조위 등에게 중국 본토 활동 금지 이야기가 나왔다. 이에 ‘따거’ 주윤발은 “그럼 돈을 조금 덜 벌면 그만”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씨네플레이 에디터 신두영

재밌으셨나요? 아래 배너를 눌러 네이버 영화를 설정하면 영화 이야기, 시사회 이벤트 등이 가득한 손바닥 영화 매거진을 구독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