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혜 영화 저널리스트
소수자를 다루는 방식에 대하여
★★☆
중반까지 호흡도 나쁘지 않고, 캐릭터를 살리는 강하늘, 박서준 두 배우들의 매력도 상당하다. 인물들의 개인기를 이용한 잔재미는 코미디로써 타율도 높은 편. 하지만 남성의 성장 서사를 위해 여성은 제물로 바쳐지고, 이방인은 악인이 되어야만 하는 상황은 웃음을 이내 증발시킨다. 경찰대라는 안전한 울타리 안에서 주인공들이 스스로를 단련하는 동안 길 위의 소녀들은 착취당하고 목숨을 위협받는다. 정말로 여성의 불필요한 희생 말고는 남성을 각성시킬 수 있는 동기가 없는 것인지 <청년경찰>에게 묻고 싶다.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미숙하고 제약 많은 청춘이 달린다
★★★
‘헬조선’ 프레임으로부터 달아날 순 없지만 그래도 여기저기 부딪히고 깨지면서도 달리고 반격하는 청춘의 서사라 반갑다. 빠른 호흡으로 매끄럽게 흐르는 각본, 두 주연 배우의 순발력과 합이 영화 전체에 발랄한 리듬을 두른다. 호흡과 유머 면에서는 부족한 게 없다. 다만 극 중 사건의 참담함을 목격한 이후에는 두 주인공의 활약을 보며 이전처럼 마냥 기분 좋게 웃을 수만은 없다는 심정적 딜레마가 발생한다. 특정 집단과 그들의 생활 공간을 범죄의 온상으로 상정한 시각 또한 아쉬운데, 이는 최근 한국 영화들이 종종 빠지는 오류이기도 하다.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장점도 단점도 뚜렷하다
★★★
‘청춘’이라는 단어가 풍기는 여러 이미지 중, 긍정적인 부분을 발췌해 신나는 리듬을 부여한 영화다. 미숙해서 깨지고 어설퍼서 혼나지만, 그럼에도 툭 털고 일어나 질주하는 에너지가 극 전반에 활기를 두른다. 상반된 성격의 캐릭터가 부딪히며 자아내는 유머타율도 높은 편. 버디무비 특유의 클리셰들을 아기자기한 에피소드와 강한 낙관으로 치고 나가는 힘이 특히나 인상적이다. 박서준-강하늘의 ‘매력’과 ‘호흡’과 ‘연기’ 3박자가 잘 맞물려 있으니, 2편이 나온다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것 같다. 다만 열정이라는 이름 아래 기능적으로 소비된 여성과 조선족에 대한 편견적 시선이 이 영화가 지닌 많은 장점들을 희석시키고 있어 아쉽다. 아마도, 김주환 감독의 성장통.
이화정 <씨네21> 기자
약자를 향한 시선과 태도
★★☆
코믹한 버디무비 설정. 그걸 구현한 박서준, 강하늘의 합은 이 영화의 장점이다. 하지만 청년들의 패기와 열정을 보여주기 위해, 이 영화에서 '희생되는' 많은 약자들을 지켜봐야 하는 건 곤혹스럽다. 바로, 웃음으로 무마되지 않는 지점들이다. 전반부의 장점들을 살리기 위해선, 편견에 치우치지 않은 성숙한 시선과 태도의 접근이 필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