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팜도그상 수상작 <화이트갓>의 주역들

칸 영화제에선 배우뿐만 아니라 배우와 함께 열연한 강아지들에게도 상을 수여합니다. 강아지계의 황금종려상이랄까요? 팜도그상(Palm Dog Award)이라 불리는 이 상은 실제 ‘황금종려상’을 뜻하는 단어 ‘Palme d’Or’에서 유래된 상입니다. 매해 가장 강렬한 존재감을 선보인 강아지들이 ‘PALM DOG’라 적힌 가죽 목걸이와 함께 그 영광을 차지하죠.
     
때론 배우보다 더 짙은 한방을 날리는 영화 속 강아지들! 오늘은 ‘팜도그상’ 수상 강아지들과 함께 평단과 대중의 인정을 고루 받은 연기 신 강아지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마스크 The Mask, 1994
마일로

팜도그상은 2001년부터 수여되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전에 팜도그상이 있었다면, 단연 <마스크> 속 ‘마일로’에게도 그 영광이 돌아갔겠죠. 스탠리(짐 캐리)가 위협에 빠질 때마다 조력자 노릇을 톡톡히 해내던 마일로! 얌전하고 말 잘 듣고 지능 높은 천사견 마일로의 모습에 반해 잭 러셀 테리어를 분양받는 사람이 늘어났을 정도로 당시 큰 인기를 자랑했습니다. 의도치 않게 마스크를 쓰고 나선 온갖 미친 활약 선보이던 반전 매력 능력 견! 표정 연기 또한 일품이었죠.

마스크

감독 척 러셀

출연 짐 캐리

개봉 1994 미국

상세보기

101 달마시안 101 Dalmatians, 1996

디즈니 애니메이션 <101마리 달마시안> 실사작인 <101 달마시안>. 크루엘라 드 빌을 연기한 글렌 클로즈의 연기가 다 한 작품이었다지만, 그보다 더 놀라운 건 카메라 안에 담긴 수백 마리의 강아지들이었습니다. 애니메이션 못지않은 강아지들의 재기발랄 활약이 눈길을 끄는 작품이었죠. 제작진은 약 250여 마리의 달마시안 캐스팅과 그들을 훈련하는 일에 가장 큰 공을 쏟아야 했습니다. 배우들은 강아지들이 자연스럽게 뺨을 핥게 하기 위해 피부에 스테이크 소스를 바르는 등의 노력을 했다고 하네요.

101 달마시안

감독 스티븐 헤렉

출연 글렌 클로즈, 제프 다니엘스

개봉 1996 미국

상세보기

마리 앙투아네트 Marie Antoinette, 2006
몹스
2006년 팜도그상 수상

짧은 분량, 강렬한 존재감! 소피아 코폴라 감독의 감각적인 연출로 주목을 받았던 <마리 앙투아네트>. 영화 초반부, 오스트리아 공주 신분의 마리 앙투아네트(커스틴 던스트)와 늘 동행하던 퍼그 ‘몹스’가 2006년 팜도그상을 수상했습니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오스트리아 물건을 프랑스로 반입해서는 안 된다”는 법에 따라, 입고 있던 옷가지는 물론 애완견 몹스까지 오스트리아로 돌려보냅니다. 몹스와의 이별을 안타까워하는 앙투아네트의 모습이 인상 깊죠. 역사적 증견(!)이라는 막중한 역할을 소화한 것만으로도 상을 받을 이유는 충분합니다.

마리 앙투아네트

감독 소피아 코폴라

출연 커스틴 던스트, 제이슨 슈왈츠먼, 립 톤

개봉 2006 미국, 일본, 프랑스

상세보기

마음이...,2004
마음이

<마음이...>에서 누구보다 큰 존재감을 자랑하는 건 주연 ‘마음이’를 연기한 강아지 ‘달이’입니다. 관객들을 웃고 울린 <마음이...>의 인기에 힘입어 달이를 주연으로 한 <마음이 2>가 제작되기도 했고요, 2011년엔 <블라인드> 속 수아(김하늘)의 안내견 슬기로 캐스팅되며 믿음직한 모습을 선보이기도 했죠. 동물 영화에 인색한 충무로의 인정을 받으며 핫한 연기견으로 떠올랐던 리트리버 달이! 안타깝게도 2016년, 16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마음이...

감독 박은형, 오달균

출연 유승호, 달이, 김향기

개봉 2006 대한민국

상세보기

Up, 2009
더그
2009년 팜도그상 수상

팜도그상은 애니메이션, 실사를 가리지 않습니다. 풍선을 타고 남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업>의 칼과 러셀. 그들의 여정에 동행한 리트리버 ‘더그’가 2009년 팜도그상을 수상했습니다. 더그는 생각을 언어로 변환하는 장치를 목줄에 달고 러닝 타임 내내 끊임없이 재잘대던 강아지였습니다. 칼과 러셀을 보자마자 “아이 러브 유”를 외치고, 가끔씩 뜬금없는 개그를 시도하며 관객들을 매료시키던 더그. 사랑할 수밖에 없는 강아지였죠.

감독 피트 닥터, 밥 피터슨

출연 에드워드 애스너, 조던 나가이, 크리스토퍼 플러머, 밥 피터슨

개봉 2009 미국

상세보기

아티스트 The Artist, 2011
어기
2011년 팜도그상 수상

무성영화였던 <아티스트>에서 유일하게 제 목소리를 내던 존재. 극에 활력을 더하며 러닝타임 내내 가지각색 활약을 선보인 <아티스트>의 ‘어기’가 2011년 팜도그상의 영광을 안았습니다. 어기는 ‘팜도그상’의 위력을 뛰어넘어 영화사에 한 획을 그은 동물 배우죠. 2012년 아카데미 시상식에 공식 초청된 건 물론, 할리우드 그라우만즈 차이니즈 극장 광장에 발자국을 새긴 최초의 강아지가 되었습니다. 당시 열혈 팬들은 어기를 아카데미 조연상 후보에 올려야 한다는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죠. 활발한 연기 활동을 펼치던 어기! 안타깝게도 2015년 세상을 떠났습니다.

아티스트

감독 미셀 하자나비시우스

출연 존 굿맨, 장 뒤자르댕, 베레니스 베조, 제임스 크롬웰

개봉 2011 미국, 프랑스

상세보기

화이트 갓 White God, 2014
2014년 팜도그상 수상

릴리(조피아 프소타)의 사랑을 받던 개 하겐은 큰 세금이 매겨진다는 이유로 릴리의 아빠에게 버림받습니다. 졸지에 주인과 생이별하고 유기견이 된 하겐. 주위 여러 인간들에게 핍박받기 시작하죠. 하겐은 인간을 적으로 간주하고 무리를 이뤄 역습을 시작합니다. 유기견의 현실 위로 착취당하는 소외계층을 빗댄 <화이트 갓>은 칸 영화제의 ‘팜도그상’뿐만 아니라 ‘주목할 만한 시선 대상’을 수상하며 그해 가장 핫한 화제작이 되었습니다. 동물 보호소 출신의 유기견 250여 마리와 함께 촬영된 작품. CG 효과가 없다는 점이 놀랍습니다. 개들의 우두머리 ‘하겐’은 쌍둥이 동물 배우 루크와 보디가 번갈아가며 함께 연기했습니다.

화이트 갓

감독 코르넬 문드럭초

출연 조피아 프소타, 산도르 즈소테르, 릴리 모노리

개봉 2014 헝가리, 독일, 스웨덴

상세보기

터널, 2016
탱이

2016년 국내 영화계 최고의 신스틸러. <터널>의 탱이는 정수(하정우)와 함께 붕괴된 터널에 갇힌 강아지였습니다. 정수의 유일한 식량이었던 케이크를 하룻밤 만에 다 먹어(...) 민폐 캐릭터로 정착하는 듯했으나! 후엔 함께 동고동락, 동지로 의지하게 되며 하정우와 찰떡 케미를 선보였죠. 탱이는 ‘곰탱이’, ‘밤탱이’란 이름을 지닌 두 마리의 퍼그가 번갈아가며 연기했습니다. 김성훈 감독은 “(원하는 동선으로 움직여주지 않아) 탱이가 나오는 장면은 한 번에 찍은 게 거의 없다”는 후일담을 밝히기도 했죠. 이러나저러나 불쌍해 보이는 표정 연기는 갑 오브 갑! <터널>의 ‘웃픈’ 분위기에 시너지를 더해주는 캐스팅이었습니다.

터널

감독 김성훈

출연 하정우, 배두나, 오달수

개봉 2016 대한민국

상세보기

패터슨 Paterson, 2016
넬리
2016년 팜도그상 수상

보고 나면 잊을 수 없는 시큰둥한 표정. 등장만으로 모든 관객을 매료시킨 패터슨 부부의 반려견, ‘마빈’은 잉글리시 불독 넬리가 연기했습니다. 정식으로 연기 훈련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단번에 짐 자무쉬 감독의 마음을 빼앗은 능력 견이죠. 패터슨의 집에서 묘하게 느껴지는 여백을 채우던 마빈의 존재감. 안타깝게도 넬리는 영화 촬영 두 달 뒤 암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칸 영화제는 그를 기리는 마음을 담아 2016년 넬리에게 팜도그상을 안겼습니다.

패터슨

감독 짐 자무쉬

출연 아담 드라이버, 골쉬프테 파라하니

개봉 2016 프랑스, 독일, 미국

상세보기

코코 Coco, 2017
단테

모두가 반대하는 뮤지션을 꿈을 품고 외로워하는 소년 미구엘. 그의 유일한 친구는 동네를 배회하는 강아지 ‘단테’입니다. 단테는 털이 없는 것이 특징인 멕시코 토종 견종 숄로를 모델로 삼은 캐릭터죠. 에너지 넘치는 호기심 천재. 뼈다귀 하나에 온갖 충만함 다 느끼던 단테는 존재만으로도 사랑스러움 그 자체였습니다. 잊을 만하면 나타나 대활약을 펼치던 그! 한번 보면 잊을 수 없는 픽사의 뉴 신스틸러로 자리 잡았습니다.

코코

감독 리 언크리치

출연 안소니 곤잘레스 ,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 벤자민 브랫

개봉 2017 미국

상세보기

씨네플레이 에디터 유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