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석 영화 저널리스트
스펙터클보다는 감정
★★★☆
전작 <신과 함께 – 죄와 벌>이, 이야기나 캐릭터도 흥미로웠지만 액션과 스펙터클이 휘몰아치면서 관객을 사로잡았다면, 이번엔 그 배합 비율이 조금 바뀌었다. 물론 이 프랜차이즈 특유의 비주얼은 여전하지만, 액션보다는 캐릭터들 사이의 관계를 재구성하는 드라마가 더욱 강조된다. 부제인 ‘인과 연’이 암시하듯, 수많은 ‘인연’들로 연결되어 있던 캐릭터들의 사연이 드러나는 과정은 꼼꼼하게 잘 조율되어 적절한 속도감으로 관객을 이끈다.
심규한 <씨네플레이> 기자
신파를 걷어내니 이야기가 보인다
★★★
확실한 흥행 요소인 신파를 걷어내고 이야기의 완성도로 승부를 걸었다. 전편이 귀인 자홍의 과거와 사연을 다양한 지옥을 배경으로 전했다면, <신과함께-인과 연>은 자홍을 이끌던 삼차사에 얽힌 인연의 매듭을 풀어가는 이야기다. 각자의 스토리를 설명하는 장면들이 자칫 지루할 수 있지만, 요소요소에 적절하게 배치된 유머와 시공간을 가득 메우는 화려한 볼거리로 몰입감을 유지한다. 영화 전반에 펼쳐지는 놀라운 시각효과는 한국형 판타지 장르의 완벽한 안착을 증명했다. 뜬금없는 공룡의 등장이 다소 의아하지만, 할리우드 못지않은 기술력에 대한 김용화 감독의 재치있는 자랑일 수도 있겠다.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대중적 상업영화의 어떤 정점
★★★☆
한국영화 VFX 최전선에 선 기술력, 다양한 관객층을 두루 만족시킬 수 있는 서사를 엮어 이만한 스펙터클을 완성하는 건 여러모로 대단한 도전이다. 시작이야 원작의 힘이 컸지만 이제는 시리즈 자체에 힘이 붙었다. 인물 간 인과 연의 실타래가 풀리는 과정은 흥미롭고, 상상력은 전에 없던 시도들로 가득하다. 용서라는 화두는 자칫 강박적 결말로 이어질 법 한데 영화 스스로 이야기에 도취되지 않는 선에서 잘 마무리됐다. 재미와 서사적 감동, 기대치를 충족하는 볼거리라는 측면에서 대중적 상업영화가 갖출 수 있는 미덕을 거의 모두 챙긴 영화다.
이화정 <씨네21> 기자
스토리를 추월한 기술의 전시
★★★
전편의 서사는 속편에서 확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잘 계획된 시리즈물. 한국형 프랜차이즈의 시도, 발전된 기술력으로 이 시리즈는 한국영화의 역사를 새로 썼다. 이승과 저승을 오가는 전편의 구도와 달리, 속편은 이승, 저승, 천 년 전 삼차사의 비밀을 바쁘게 오간다. 스토리적인 면에서는 이 세 개의 트랙을 오가기 위해 맞춘 듯한 다소 억지스러운 지점도 엿보인다. 괄목할 만한 기술력을 높이 평가해야 하는 한편으로, 기술이 오히려 스토리에 융화되지 못하고 앞서나가 이야기의 몰입을 벗어나게 하기도 한다. 시리즈의 다음 편에 대한 기대가 큰 만큼 또 다른 3, 4편의 발전을 기대해 보게 된다.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신과함께’라는 브랜드를 향한 탄탄한 초석
★★★☆
드물게도 <신과함께-인과 연>은 1편을 훌쩍 넘어서는 완성도를 성취한 속편이다. 흥행에는 도움이 됐으나 작품 완성도엔 약점으로 지적되던 ‘신파 요소’를 대폭 삭감하고, 납작해서 아쉬웠던 삼차사 캐릭터에 입체감을 입힌 것이 주효하다. 영화는 1편의 떡밥을 회수하는 동시에 새로운 미끼들을 던지고 주워 담으며 ‘인연’이란 퍼즐을 조립해 나간다. 원작의 방대한 이야기를 짧은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소화하기 위해 선택한 각색 방향은 이승/저승, 과거/현재의 갈지자 교차편집이다. 이런 구조의 영화는 시공간을 오가는 과정이 치밀하지 못하면 이야기의 설득력을 잃기 쉬운데, 김용화 감독은 정보를 어디에서 얼마큼 숨기고 어디에서 노출해야 하는 가를 영리하게 파악하고 있다. 불모지로 평가받던 한국 판타지 장르 안에서 1편이 일군 놀라운 성공은 감독이 <미스터 고> 실패에서 얻은 거대한 교훈, 시각특수효과를 향한 아티스트들의 헌신적인 노력, 배우와 스태프들의 담대한 꿈들이 인연이 돼 만들어 낸 하나의 사건이었다. 이제 이 작품은 단순한 사건이 아닌, 하나의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또 한 번의 모험을 하려는 듯하다. 쿠키 영상에 그 열쇠가 숨어있다.
정유미 <맥스무비> 기자
관객과 함께 갔다면
★★☆
2017년 흥행작 <신과함께-죄와 벌>의 속편. 전편의 단점으로 지적됐던 신파를 줄이고 주인공들의 사연에 집중했지만 이야기를 진행하는 방식이 효과적이지 못하다. 캐릭터의 특징을 살리지 못하고 대사와 교차편집으로 전개하다 보니 마동석을 비롯해 배우들의 활약이 제한적이다. 전편의 장점이었던 시각특수효과와 컴퓨터그래픽으로 구현한 지옥의 모습도 2편에서는 이야기를 뒷받침하기보다는 덱스터의 기술력을 전시하는데 머물고 만다. 흥행을 위한 야심만 보일뿐 상업 영화에서 재미와 의미를 ‘함께’ 보고픈 관객의 기대를 소멸시켜 아쉬움이 크고 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