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2017년 18주차 북미 박스오피스입니다. 드디어 2017년의 여름 시즌이 시작되었습니다. 시작은 마블의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이하 <가오갤 2>)가 극장가를 북적이게 만들었습니다. 지난주 소개해드린 오프닝보다는 덜 나왔지만 충분히 놀랄 만한 성적입니다. 주말 북미 극장가의 성적과 순위를 살펴보겠습니다.


1위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Guardians of the Galaxy Vol. 2)
- 주말 수익: $146,510,104
- 상영관 수: 4,347
- 평균 수익: $33,704
- 총 수익: $146,510,104
- 누적 해외 수익: $431,548,346
- 스튜디오: BV
- 총 제작 예산: $200,000,000 (N/A)
- 상영 기간: 1주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82% / 관객: 90%
IMDb 사용자 지수 - 8.2/10 (89,107 Votes)


주말 3일간 <가오갤 2>가 벌어들인 오프닝 스코어는 무려 1억 4천 6백만불입니다. 3년 전의 전작은 여름 시즌 중 가장 비수기인 8월에 개봉해서 9천 4백만불의 오프닝을 기록하며 화려하게 등장했습니다. 전편이 기대 이상으로 성공을 거둔 덕에 속편에 대한 기대가 상당히 높았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흥행 좀 했다 하는 영화들은 거의 모두 속편이거나 리부트인 경우가 많았죠. 전편 <가오갤>은 저도 정신없이 빠져들었던 작품이었기에 속편을 무척이나 기다렸습니다. 3년만에 다시 등장한 <가오갤 2>의 성적을 좀 더 분석해보겠습니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를 통해 공개된 15편의 작품 중 다섯 번째로 좋은 오프닝 기록이며 주말 3일간의 오프닝 기록은 역대 17위입니다. 역대 5월 개봉작들의 오프닝 순위에선 6위를 기록했습니다.

'서머 스타트'(summer starts)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여름을 시작하는 작품들의 성적을 말합니다. 대개는 매년 5월 첫쨋주 개봉작의 성적입니다. '서머 스타트'에서도 <가오갤 2>가 역대 6위입니다. 1위는 <어벤저스>가 기록한 2억 7백만불입니다. 최근에는 그해 여름 가장 흥행할 것 같은 영화를 5월 첫째 주에 개봉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2012년부터 올해까지 중 2014년에 공개된 소니의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를 제외하고는 모두 마블의 작품들이었습니다. (스파이더맨도 엄밀히 따지면 마블 캐릭터이긴 하죠?) 2007년부터 2011년까지도 배급사만 디즈니가 아닐 뿐 모두 마블의 작품들이었습니다. 내년과 내후년도 '서머 스타트'는 마블이 예약해놓았고요. 북미를 포함한 월드 와이드의 진정한 대세입니다. 워너와 DC가 부러워하겠네요.

북미를 제외한 해외에서도 개봉했는데 오늘까지 집계된 월드와이드 누계는 4억 3천만불로, 아무리 못해도 7억 7천만불의 성적을 올린 전작의 누계를 충분히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과연 디즈니의 바람대로 월드 와이드 10억불 고지까지 갈 수 있을지 결과가 무척 기대됩니다.


2위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The Fate of the Furious)
- 주말 수익: $8,577,175 (-57%)
- 상영관 수: 3,595 (-482)
- 평균 수익: $2,386
- 총 수익: $207,184,705
- 누적 해외 수익: $1,162,229,939
- 스튜디오: Universal
- 총 제작 예산: $250,000,000 (N/A)
- 상영 기간: 4주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67% / 관객: 78%
IMDb 사용자 지수 - 7.2/10 (63,450 Votes)

2위는 지난주까지 3주간 1위를 지켰던 유니버설의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입니다. 디즈니의 <미녀와 야수>가 벌 만큼 벌고 나니까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이 차트를 쑥대밭으로 만들더니 또 기운이 다하니 마블의 작품이 등장했네요. 디즈니와 유니버설이 극장가를 나눠 먹고 있습니다. 개봉 4주차가 되면서 북미 2억불을 넘겼습니다. 주말 성적은 지난주보다 57%가 빠졌지만 오늘까지 북미 2억 7백만불을 기록했으며 오늘까지 누적된 월드 와이드 성적은 11억 6천 2백만불입니다. 이 시리즈는 정말 해외에서 강합니다. 재작년 나왔던 7편이 월드 와이드로 15억불을 벌어 들였는데요, 그 성적을 넘기는 건 애초부터 힘들었고, 어느 정도까지 근접할 수 있을지 그리고 지금까지 불과 5편밖에 안되는 해외 10억불 고지를 넘어서게 될 지에 주목하면 되겠습니다. 오늘까지 해외에서만 9억 5천 5백만불 성적을 기록 중입니다.          


3위
보스 베이비
(The Boss Baby)
- 주말 수익: $5,976,818 (-36%)
- 상영관 수: 3,284 (-455)
- 평균 수익: $1,820
- 총 수익: $156,537,343
- 누적 해외 수익: $436,569,635
- 스튜디오: FOX
- 상영 기간: 6주
- 총 제작 예산: $125,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53% / 관객: 58%
IMDb 사용자 지수 - 6.5
/10 (14,951 Votes)

우습게 볼 아기가 아니네요. 3위는 지난주 4위에서 한 계단 올라선 드림웍스 제작, 폭스 배급한 <보스 베이비>입니다. 개봉할 땐 크게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곤 생각지 않았는데 은근히 강합니다. 지난주보다 36% 주말 성적이 빠졌으며 개봉 6주차를 맞아 북미 1억 5천 6백만불, 월드 와이드로 4억 3천만불의 호성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선전하고 있더군요.


4위
하우 투 비 어 라틴 러버
(How to be a Latin Lover)
- 주말 수익: $5,144,904 (-58%)
- 상영관 수: 1,203 (+85)
- 평균 수익: $10,959
- 총 수익: $20,548,224
- 누적 해외 수익: $20,548,224
- 스튜디오: PNT
- 상영 기간: 2주
- 총 제작 예산: N/A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45% / 관객: 75%
IMDb 사용자 지수 - 5.7
/10 (831 Votes)


지난주 2위로 깜짝 등장했던 <하우 투 비 어 라틴 러버>가 두 계단 하락, 4위를 기록했습니다. 주말 성적도 지난주보다 비교적 큰 폭인 58%가 빠져나갔습니다. 개봉 10일간 이 영화가 기록한 북미 성적은 정확하게 2천만불입니다.


5위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
- 주말 수익: $5,087,749 (-26%)
- 상영관 수: 2,680 (-475)
- 평균 수익: $1,898
- 총 수익: $487,739,364
- 누적 해외 수익: $1,186,029,848
- 스튜디오: BV
- 상영 기간: 8주  
- 총 제작 예산: $160,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71% / 관객: 85%
IMDb 사용자 지수 - 7.7
/10 (96,779 Votes)

5위는 지난주 6위에서 한 계단 올라선 디즈니의 <미녀와 야수>입니다. 북미 5억불 고지를 향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데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개봉 8주차이며 오늘까지 벌어들인 북미 누계는 4억 8천 7백만불입니다. 1~2주 정도만 주말 성적에서 선전하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오늘까지 누적된 월드 와이드 누계는 11억 8천 6백만불로 12억불 고지가 코앞입니다. 역대 월드 와이드 순위에선 11위까지 올라섰습니다.  


6위
더 서클
(The Circle)
- 주말 수익: $3,959,045 (-56%)
- 상영관 수: 3,163
- 평균 수익: $1,252
- 총 수익: $15,654,158
- 누적 해외 수익: $15,654,158
- 스튜디오: STX
- 상영 기간: 2주 
- 총 제작 예산: $18,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16% / 관객: 25%
IMDb 사용자 지수 - 5.3
/10 (4,518 Votes)

지난주, 평점이면 평점, 성적이면 성적, 모두 바닥을 기었던 톰 행크스와 엠마 왓슨의 <더 서클>이 한 계단 하락했습니다. 같은 배우가 출연한 영화인데 어떤 영화는 북미 5억불에 월드 와이드 12억불을 넘기려 하고, 어떤 영화는 개봉하자마자 간판을 내려야 하는 처지가 되었으니 아이러니합니다. 엠마 왓슨으로선 이 영화의 성적이 많이 아쉽겠습니다. 개봉 10일간 벌어들인 북미 성적은 1천 5백만불입니다.


7위
바후발리 2: 컨클루젼
(Baahubali 2: The Conclusion)
- 주말 수익: $3,394,061 (-68%)
- 상영관 수: 418 (-7)
- 평균 수익: $8,120
- 총 수익: $16,330,025
- 누적 해외 수익: $155,000,000
- 스튜디오: GrtIndia
- 상영 기간: 2주 
- 총 제작 예산: $39,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 / 관객: 90%
IMDb 사용자 지수 - 9.1
/10 (27,454 Votes)

7위는 지난주 3위로 깜짝 등장했던 인도영화 <바후발리 2: 컨클루젼>입니다. 개봉 2주차 주말 성적이 지난 주보다 무려 68%가 빠져 나갔습니다. 개봉 10일간 기록한 북미 누계는 1천 6백만불인데요. 모조 보도는 지금까지 이 영화가 월드 와이드(인도 포함)로 1억 5천 5백만불의 성적을 기록 중이라고 하는군요.                   


8위
기프티드
(Gifted)
- 주말 수익: $2,024,001 (-40%)
- 상영관 수: 1,874 (-341)
- 평균 수익: $1,080
- 총 수익: $19,209,332
- 누적 해외 수익: $20,739,523
- 스튜디오: FoxS
- 상영 기간: 5주
- 총 제작 예산: $7,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64% / 관객: 86%
IMDb 사용자 지수 - 7.8
/10 (4,819 Votes)

8위는 지난주 9위에서 한 계단 올라선 크리스 에반스의 드라마 <기프티드>가 차지했습니다. 개봉 5주차를 맞아 북미 1천 9백만불의 성적을 기록중입니다.             


9위
스머프: 비밀의 숲
(Smurfs: The Lost Village)
- 주말 수익: $1,838,424 (-48%)
- 상영관 수: 1,902 (-652)
- 평균 수익: $967
- 총 수익: $40,588,998
- 누적 해외 수익: $171,288,998
- 스튜디오: Sony
- 상영 기간: 5주    
- 총 제작 예산: $60,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38% / 관객: 64%
IMDb 사용자 지수 - 5.8
/10 (3,280 Votes)

9위는 <스머프: 비밀의 숲>입니다. 개봉 5주차를 맞아 북미 4천만불, 월드 와이드로 1억 7천 1백만불의 성적을 기록 중입니다. 2011년에 나왔던 1편이 월드 와이드로 5억 6천 3백만불을 거두었고, 2013년에 나왔던 2편이 3억 4천 7백만불을 올렸는데 그 2편 성적의 딱 절반입니다. 소니에서 한숨을 쉬지 않을 수 없겠죠.


10위
고잉 인 스타일
(Going in Style)
- 주말 수익: $1,835,383 (-49%)
- 상영관 수: 2,033 (-728)
- 평균 수익: $903
- 총 수익: $40,536,301
- 누적 해외 수익: $70,536,301
- 스튜디오: WB (NL)
- 상영 기간: 5주   
- 총 제작 예산: $25,000,000 (N/A)

 평점
로튼토마토 지수 - 평론가: 45% / 관객: 63%
IMDb 사용자 지수 - 6.8
/10 (7,036 Votes)

10위는 북미 시장 안에서 소니의 <스머프: 비밀의 숲>과 나란히 가고 있는, 워너의 <고잉 인 스타일>입니다. 개봉 5주차이며 북미 성적도 똑같이 4천만불입니다. 월드 와이드 누계는 7천만불입니다.   


월드 와이드 누적 박스오피스 차트

디즈니의 <미녀와 야수>가 지난 주보다 약 4천 4백만불 정도 성적을 추가하며 12억불 고지를 앞두고 있습니다. 그 뒤를 맹렬하게 쫓고 있는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은 지난주보다 약 1억불 정도를 추가하면서 두 영화의 차이는 2천 4백만불로 좁혀졌습니다. 아무래도 다음주 쯤엔 두 영화 모두 12억불을 넘기면서 순위가 바뀔 듯합니다. 금주 개봉한 마블의 <가오갤 2>가 6위로 첫 진입했습니다. 올여름의 기대작들 중에서 또 어떤 영화가 10억불 고지를 넘기게 될지 궁금합니다.       


1위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
​​- 북미 수익: $487,700,000
- 해외 수익: $698,300,000
- 전 세계 수익: $1,186,000,000
- 전 세계 랭킹: 11위
- 스튜디오: Buena Vista

2위
분노의 질주: 더 익스트림
(The Fate of the Furious)
​​- 북미 수익: $207,200,000
- 해외 수익: $955,000,000
- 전 세계 수익: $1,162,200,000
- 전 세계 랭킹: 12위
- 스튜디오: Universal

3위
로건
(Logan)
​​- 북미 수익: $225,100,000
- 해외 수익: $383,500,000
- 전 세계 수익: $608,600,000
- 전 세계 랭킹: 122위 
- 스튜디오: Fox

4위
콩: 스컬 아일랜드
(Kong: Skull Island)
- 북미 수익: $166,300,000
- 해외 수익: $398,100,000
- 전 세계 수익: $564,400,000
- 전 세계 랭킹: 136위
- 스튜디오: Warner Bros

5위
보스 베이비
(The Boss Baby)
- 북미 수익: $156,500,000
- 해외 수익: $280,000,000
- 전 세계 수익: $436,600,000
- 전 세계 랭킹: 214위 
- 스튜디오: Fox (DW)

6위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
(Guardians of the Galaxy Vol. 2)
- 북미 수익: $146,500,000
- 해외 수익: $285,000,000
- 전 세계 수익: $431,500,000
- 전 세계 랭킹: 219위 
- 스튜디오: BV

7위
50가지 그림자: 심연
(Fifty Shades Darker)
- 북미 수익: $114,400,000
- 해외 수익: $264,400,000
- 전 세계 수익: $378,800,000
- 전 세계 랭킹: 265위  
- 스튜디오: Uni

8위
너의 이름은.
(君の名は。)
- 북미 수익: $4,700,000
- 해외 수익: $349,500,000
- 전 세계 수익: $354,200,000
- 전 세계 랭킹: 306위   
- 스튜디오: FUN

9위
트리플 엑스 리턴즈
(xXx: The Return of Xander Cage)
- 북미 수익: $44,900,000
- 해외 수익: $301,200,000
- 전 세계 수익: $346,100,000
- 전 세계 랭킹: 325위    
- 스튜디오: Par

10위
그레이트 월
(The Great Wall)
- 북미 수익: $45,200,000
- 해외 수익: $286,800,000
- 전 세계 수익: $332,000,000
- 전 세계 랭킹: 345위     
- 스튜디오: Uni

권오형 파워블로거

재밌으셨나요? 아래 배너를 눌러 네이버 영화를 설정하면 영화 이야기, 시사회 이벤트 등이 가득한 손바닥 영화 매거진을 구독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