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
감독 타마르 반 덴 도프
출연 요런 셀데슬라흐츠, 핼리너 레인

김형석 영화 저널리스트
슬프고도 아름다운
★★★☆
로맨스 영화 마니아들에겐 인생 영화  하나인, 2007 작품이 지각 개봉했다. 눈이 보이지 않는 남자와 알비노이며 상처 투성이인 여자가 안데르센의 <눈의 여왕> 통해 이어지고, 조금씩 가까워지며, 결국은 연인이 된다.  과정에서 생기는 감정의 강렬한 지점들을 그대로 관객에게 전달하는 생생함 <블라인드> 관객들에게 가장 크게 호소하는 부분이다.  주인공의 매력도  영화를 정서적으로 고양시키는 중요한 요소다.


정유미 <더 스크린> 에디터
보이지 않는 사랑
★★★
시각장애를 가진 청년과 책을 읽어주는 여자의 러브스토리. 각자가 지닌 몸과 마음의 상처 때문에 서로를 밀어내던 두 사람은 격렬한 사랑에 빠지고, 청년이 눈을 뜨게 되면서 상황은 급변한다. 안데르센의 동화 <눈의 여왕>을 강력한 모티프로 사용해 환상 동화 같은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실내극 위주로 연출했지만 하얀 겨울 풍경과 스산한 정서가 이들의 가슴 시린 사랑을 강조한다. 인물들의 감정을 가곡, 클래식, 퓨전 등 다양한 장르 음악으로 풀어낸 정키 KL의 음악도 귀에 쏙쏙 박힌다. 익숙한 사랑 이야기 같아도 이국적인 느낌과 배우들의 연기, 음악에 저절로 이끌린다. 2007년 작인 이 영화가 지금까지 회자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블라인드

감독 타마르 반 덴 도프

출연 요런 셀데슬라흐츠, 핼리너 레인, 카테리네 베르베케, 얀 데클레어

개봉 2021.01.14.

상세보기

마이 미씽 발렌타인
감독 진옥훈
출연 유관정, 이패유

정시우 화 저널리스트
설렘보단 뭉클함
★★★
품고 있는 이야기 자체는 새롭지 않지만, 사연을 실어나르는 구조/형식의 아이디어가 흥미로워 다음 장면을 호감으로 지켜보게 된다. 반응속도가 남들보다 1초 빠른 여자의 사연과 남들보다 항상 한발 늦은 남자의 사연을 전후로 이어붙인 영화는, 속도 차이가 쌓여 생긴 시간의 공백을 적극 끌어안아 판타지의 세계로 들어간다. 로맨스물로서의 설렘보다, 우리 각자는 누군가에게 소중한 존재일 수 있음을 알려주는 구간에서의 뭉클함이 조금 더 가슴을 울린다. 중화권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금마장에서 5개 부문을 석권한 영화로 대만 청춘물의 현재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리트머스지다.

마이 미씽 발렌타인

감독 진옥훈

출연 유관정, 이패유

개봉 2021.01.14.

상세보기

나의 작은 동무
감독 무니카 시멧츠
출연 탐벳 투이스크

김형석 영화 저널리스트
엄마는 출장중
★★★
 소련이 에스토니아를 점령하고 병합했던 1950년대가 배경이다. 전체주의 사회 안에서  가정이 겪는 비극을 소녀의 시선으로 보여준다. 엄마는 어디론가 사라졌고, 아빠 역시 감시의 대상인 상황에서 소녀 렐루는 소년단의 일원이 되기를 꿈꾼다. 드라마 전개의 속도가 빠르진 않지만, 대신 꼼꼼하게 당대의 시대적 공기를 담아내며 차곡차곡 감정을 쌓아간다. 드물게 접하는 에스토니아 영화다.


정유미 <더 스크린> 에디터
작은 존재가 주는 큰 위로
★★★
1950년대 스탈린의 독재하에 놓여 있던 에스토니아를 배경으로 한 가족 영화. 주인공 소녀의 엄마는 수용소에 끌려가고 비밀경찰은 아빠까지 잡아가기 위해 감시하고 괴롭힌다. 여섯 살 소녀에게 닥친 시련은 가혹하기 그지없는데 아이의 순수한 시선에서 시대를 보여주기 때문에 밝고 따뜻한 가족 영화의 결을 따른다. 무니카 시멧츠 감독의 차분한 연출은 엄혹한 시기에도 다정한 이웃이 있고, 아이들은 희망을 품고 성장하는 존재임을 일깨운다. 스탈린주의를 부드러운 방식으로 비판하면서 가족이라는 이름의 치유와 위로를 건네는 영화다

나의 작은 동무

감독 무니카 시멧츠

출연 탐벳 투이스크

개봉 2021.01.14.

상세보기

요요현상
감독 고두현
출연 문현웅, 곽동건, 윤종기, 이대열, 이동훈

김형석 영화 저널리스트
어떤 이의 
★★★☆
그저 요요가 좋아 살아가던 청소년들은 어느덧 청년이 되어,  이상 요요만 하며 살아갈  없게 된다. 그러면서 누군가는 요요를 하지 않고, 누군가는 그저 취미로 즐기고, 누군가는 요요를 하며 살아가려 한다. ‘요요 상징되는 젊은 날의  현실 부딪힐   충돌의 지점들을 짚어가는 <요요 현상> 그들만의 특수한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모두 겪었던 혹은 어떤 이에겐 앞으로 겪게 , 일종의 성장통에 대한 이야기다. 진지한 테마지만 유머를 잃지 않는 태도는  영화의 중요한 미덕이다.

요요현상

감독 고두현

출연 문현웅, 곽동건, 윤종기, 이대열, 이동훈

개봉 2021.01.14.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