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영화

비연담 팬들 모여라! 스핀오프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 호태와 동희의 고교 시절로 간다

주성철편집장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 포스터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 포스터

호태와 동희의 고교 시절로 간다! 지난 5월 15일 개봉한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는 지난해 화제의 BL 드라마 ‘비연담’ 즉 <비의도적 연애담>에서, 두 명의 메인 주인공 윤태준(차서원)과 지원영(공찬) 못지않게 큰 인기를 끌었던 고호태(원태민)와 김동희(도우)의 풋풋한 학창 시절을 담은 스핀오프 영화다. 티빙에서 독점 공개했고 현재 왓챠에서 볼 수 있는 <비의도적 연애담>은 글로벌 플랫폼 아이치이(iQIYI)와 일본 OTT 라쿠텐에서도 동시 방영되며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으며, 라쿠텐 ‘한국 드라마 부문’에서 공개 당시 월간 1위를 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폭발적 반응에 힘입어 <비의도적 연애담>의 스핀오프가 만들어지게 된 것.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

 

프리퀄이라고 할 수 있는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의 이야기는 이렇다. 몇 년 전, 서울로 이사를 간 호태(원태민)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엄마와 함께 동희(도우)가 살고 있는 강릉으로 돌아온다. 오랜만에 재회한 두 사람은 한 지붕 아래에서 함께 지내게 된다. 어려서부터 형제처럼 자라왔기에 동희에게 호태는 친형제 같은 존재지만, 동시에 자신의 첫사랑이기도 한 호태를 보며 다시 설렌다. 학교에서 수영부 호태는 고백하며 다가오는 여학생들에게 늘 가방으로 얻어맞기 일쑤고, 동희는 미술실에서 미래를 꿈꾼다. 그런 가운데 호태가 자신에게 진지하게 다가올 때마다 “형이라고 불러”라며 선을 그어보려 하지만, 그 마음을 억누르기 쉽지 않다. 호태도 오랜만에 만난 동희에게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 고호태(원태민)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 고호태(원태민)

 

넘버쓰리픽쳐스가 드라마에 이어 영화 제작을 맡았고, 극본 역시 <비의도적 연애담>의 신지안 작가가 썼다. 연출은 바뀌어서 척수장애인 청년의 로맨스를 그린 단편 <당신이 내리는 밤>(2022)으로 한중국제단편영화제에서 최우수작품상, 전주국제단편영화제 감독상, 안산단원국제문화예술영상제에서 대상을 수상한 양경희 감독이 맡았다. 앞서 레즈비언이 겪을 법한 현실적인 이야기를 담담하게 그려낸 단편 <다섯 번째 계절>(2018)로도 주목받은 바 있다. 물론 최근의 양경희 감독은 네 번의 생을 모두 기억하고 살아낸 주인공과, 그와 연애해야만 생을 유지할 수 있는 신의 아이가 만나 서로에게 얽힌 저주를 풀기 위해 진짜 사랑을 찾아가는 로맨틱 코미디인 10부작 웹드라마 <밥만 잘 사주는 이상한 이사님>(2022), 소멸의 길을 걷고 있는 뱀파이어와 순혈의 피를 가진 인간이 만나 벌어지는 로맨스를 그린 8부작 웹드라마 <깨물고 싶은>(2022), 그리고 도시 남자와 시골 청년의 로맨스를 그린 8부작 웹드라마 <트랙터는 사랑을 싣고>(2023) 등을 통해 이제는 BL 장르 팬들의 유명 인사가 됐다.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김동희(도우)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김동희(도우)

<비의도적 연애담>의 팬이라면, 드라마 속 호태와 동희의 못다 한 이야기를 보여주는 스핀오프이자 프리퀄 격의 장편영화인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가 반가울 수밖에 없다. 실제로 호태와 동희는 드라마에서 달항아리 공방의 사장이자 도예가인 윤태준(차서원)과 지원영(공찬) 커플 못지않게 엄청난 팬덤을 보여줬다. 무엇보다 <비의도적 연애담>에서 태준과 원영의 사랑이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 계기를 마련해준 장본인이 바로 호태였다. 호태가 없었다면 사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비의도적 연애담> 6부에서 원영은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호태의 공부를 봐주고 있는데, ‘사장님’이기도 한 태준과의 관계를 고민하고 있는 원영은 공부 도중 느닷없이 호태에게 묻는다. “호태 씨는 여자친구도 사귀어보셨는데, 어떻게 동희 형을 좋아하는 걸 받아들이게 됐어요? 인정이라고 해야 하나? 착각일 수도 있잖아요?” 그러자 호태는 당황스럽고 불쾌한 표정으로 “받아들이다니? 무슨 개소리야!”라고 반문하고는 곧장 “좋아하는 건 마음이 하는 건데 인정이라느니 착각이라느니, 왜 자꾸 머리가 하는 걸 물어봐? 내가 단순해서 모르는 건가. 다들 막 그게 따로따로인가? 뭐 어쩌라고? 난 그냥 김동희가 좋다니까!”라고 말한다. 그런 다음 원영의 질문의 요지를 파악한 호태는 웃으면서 “너 그릇집 형 좋아하지? 아직 말도 못 꺼냈지? 그냥 고백해버려!”라고 말하고, 그 말에 용기를 얻은 원영이 실행에 옮기게 된다. 물론 태준 사장님을 거침없이 ‘그릇집 형’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호태의 중요한 매력 포인트.

 

〈비의도적 연애담〉
〈비의도적 연애담〉
〈비의도적 연애담〉  윤태준(차서원)과 지원영(공찬, 사진 오른쪽)
〈비의도적 연애담〉  윤태준(차서원)과 지원영(공찬, 사진 오른쪽)

 

호태와 동희의 팬에게는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에서 프리퀄의 흔적을 찾는 것도 흥미롭다. <비의도적 연애담> 5부에서 호태가 동희에게 “나랑 한 달만 사귀자. 형, 동생 그런 거 말고 뽀뽀도 하고 자기도…” 라고 얘기를 꺼냈다가 동희에게 한 방 맞는 장면이 있다. 그런 다음 원영이 커피 배달을 가서 시장 아주머니들이 ‘둘리뼈해장국집 아들’ 호태에 대해 얘기 나누는 걸 듣게 된다. 다들 얼핏 보아 무서운 인상의 호태에 대해 다가가기 어렵다고 입을 모으는데, 심지어 한 아주머니는 “한번은 (호태 청년이) 커피 배달을 잘못 가져온 적 있는데, 겁나서 그 얘기를 꺼내지도 못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호태 청년이) 오토바이 타고 다니면서 엄마 속 많이 썩였고, 크게 사고가 난 적도 있대”라고도 덧붙인다. 바로 그 오토바이 사고가 바로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와 연결되는 에피소드다. 고교 시절, 이루어질 것 같지 않은 사랑에 절망한 호태가 오토바이를 타고 텅 빈 거리를 질주했었다. 그런 다음 원영은 “너랑 사귀어봐야겠는데, 협조 좀 하지?”(호태), “호태야, 우리 이러지 말자”(동희) 라며 골목에서 싸우는 호태와 동희를 보면서 둘의 관계를 알게 된다. 앞서 묘사한 것처럼, 그렇게 이어진 6부에서 원영이 호태에게 진지하게 연애 상담을 하게 된 것.

 

〈비의도적 연애담〉의 호태와 동희
〈비의도적 연애담〉의 호태와 동희

 

<비의도적 연애담> 9부에서는 아예 고교 시절을 묘사하는 플래시백이 등장했다. 마치 운명적으로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가 이후 만들어지게 될 것을 예감이라도 한 것처럼, 교복을 입은 동희가 등장한 것. 아버지의 폭력을 트라우마처럼 가지고 있는 동희가 멍이 든 채로 집 앞에 앉아 있고, 이모는 “난 네가 남자를 좋아하든 여자를 좋아하든 상관하지 않는다”고 했었다. 그렇게 <비의도적 연애담>의 네 인물 중 가장 밝아 보였던 동희의 과거는 예상과 달라 궁금증을 자아냈었다.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는 현재와 사뭇 달랐던 동희, 반면에 예나 지금이나 똑같았던 호태를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삼척시 도계중학교
삼척시 도계중학교
동해시 망상해수욕장(오른쪽)
동해시 망상해수욕장(오른쪽)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 때> 촬영지

삼척시 도계중학교, 동해시 묵호등대와 망상해수욕장

<비의도적 연애담>과 <내 손끝에 너의 온도가 닿을때>의 공간적 배경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으로 설정돼 있지만, 실제 촬영은 삼척시와 동해시에서 이뤄졌다. 먼저 두 사람이 다니는 춘분고등학교로 등장한 곳은 바로 삼척시 도계중학교다. 울창한 뒷산이 교정을 따뜻하게 감싸 안은 느낌이 인상적인 학교다. 놀랍게도 이곳은 과거 최민식 주연으로 실화를 영화화했던 <꽃피는 봄이 오면>(2004)에서, 현우(최민식)가 부임해온 관악부가 있는 실제 도계중학교 촬영지다. 그리고 멀리 바다 풍경이 멋진, 호태와 동희가 사는 동네에서 야경으로는 동해시 묵호등대가 보인다. 한편, 두 주인공 뒤로 ‘상상 그 이상 망상’이라는 문구가 적힌 빨간 시계탑이 눈길을 끄는, 호태와 동희가 답답한 마음을 풀고자 수시로 거닐었던 곳은 바로 동해시 망상해수욕장이다.

〈꽃피는 봄이 오면〉
〈꽃피는 봄이 오면〉
〈꽃피는 봄이 오면〉
〈꽃피는 봄이 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