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치즈인더트랩
-
감독 김제영
출연 박해진, 오연서, 박기웅
개봉 2017 대한민국

- 치즈인더트랩
-
감독 이윤정
출연 박해진, 김고은, 서강준, 이성경, 남주혁, 박민지
개봉 2016 대한민국
만화→애니메이션→드라마→영화. 일본에서 일반화된 원소스멀티유즈(One source multi-use, OSMU)의 단계다. 만화가 인기를 얻으면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드라마도 만든다. 최종 단계는 영화다. 그런 까닭에 같은 제목의 드라마와 영화가 공존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은 어떨까. 만화, 특히 웹툰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와 영화가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지만 드라마를 거쳐 영화로 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개 드라마 따로 영화 따로 기획하고 만들어진다. 그런 면에서 <치즈인더트랩>이 눈에 띈다. 2016년 tvN에서 드라마로 방영됐고, 최근 영화로 개봉했다. <치즈인더트랩>처럼 드라마와 영화로 모두 제작된 작품이 더 없을까 살펴봤다.
다세포 소녀
<다세포 소녀>는 19금 컨셉 웹툰으로 크게 인기를 얻었다. ‘B급달궁’ 작가의 원작을 바탕으로 영화가 제작됐다. 이재용 감독이 연출하고 김옥빈이 주연을 맡았다. 2006년 8월 개봉했지만 봉준호 감독의 <괴물>에 밀리고 원작 팬들의 비난을 들으며,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이후 최고의 ‘폭망 아이콘’이 되고 말았다.
비슷한 시기 드라마도 있었다. 같은 웹툰 원작인 드라마는 케이블 채널 수퍼액션에서 방영됐다. 정식 명칭은 <시리즈 다세포 소녀>다. 제작 초기 <디지털 다세포 소녀>라고 불렸다. <시리즈 다세포 소녀>는 꽤 야심찬 기획이었다. 9명의 주목받는 신예 영화 감독들이 연출을 나누어 맡은 40부작이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케이블 채널에서 공개한 단편 영화 모음이라고 봐야 한다. <결혼 이야기>, <북경반점>, <청풍명월>의 김의석 감독이 총괄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옴니버스식으로 매회 주인공이 바뀌는 컨셉이었는데 출연자들 가운데 고준희의 이름이 눈에 띈다.

- 다세포 소녀
-
감독 이재용
출연 김옥빈, 박진우, 이켠
개봉 2006 대한민국

- 디지털 다세포 소녀
-
감독 김성호, 김주호, 안태진, 우선호, 유정현, 이성은, 정상민, 정소연, 조운
출연 고준희, 곽지민
개봉 2006 대한민국
친구
<친구>는 영화의 인기를 기반으로 드라마가 제작된 경우다. 2001년 개봉한 곽경택 감독 연출, 장동건, 유오성 주연의 영화 <친구>는 부산을 기반으로 한 범죄조직의 양대 두목이 어린 시절 친구였다는 이야기다. ‘니가 가라 하와이’, ‘느그 아버지 뭐하시노’, ‘고마해라, 마이 무었다 아이가’ 등의 유명한 대사를 남겼다.
드라마 <친구>는 2009년 MBC에서 방영됐다. 정식 제목은 <친구, 우리들의 전설>이다. 총 20부작으로 역시 곽경택 감독이 연출을 맡았고 현빈, 김민준을 주연으로 내세웠다. 현빈이 극장판에서 장동건이 연기한 동수를, 김민준이 유오성이 연기했던 준석 역이었다. 드라마는 크게 히트하지는 못했다.
드라마 <친구> 이후 곽경택 감독은 2013년, 김우빈 주연의 <친구2>를 내놓기도 했다. 300만 명에 약간 못 미치는 관객을 모으며 그럭저럭 흥행했지만 1편에 비하면 존재감이 많이 약한 영화였다.

- 친구
-
감독 곽경택
출연 유오성, 장동건
개봉 2001 대한민국

- 친구, 우리들의 전설
-
감독 곽경택, 김원석, 김상철
출연 현빈, 김민준
개봉 2008 대한민국
식객
만화가 허영만의 원작 <식객>은 드라마와 영화로 각각 재탄생했다. 2007년 영화가 먼저 나왔다. 운암정의 후계자를 결정하기 위해 성찬(김강우)과 봉주(임원희)가 요리 대결을 펼친다는 내용이다. 2편 <식객: 김치전쟁>도 제작됐는데 1편만큼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드라마 <식객>은 2008년 SBS에서 방영됐다. 영화와 비슷한 요리 대결을 토대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김래원이 성찬을, 권오중이 봉주를 연기했다. 김래원은 요리 솜씨가 뛰어나 일찌감치 주인공으로 낙점됐다고 한다.

- 식객
-
감독 전윤수
출연 김강우, 임원희, 이하나
개봉 2007 대한민국

- 식객
-
감독 최종수, 한철수
출연 김래원, 남상미, 권오중, 원기준, 김소연, 최불암
개봉 2008 대한민국
올드 미스 다이어리
<올드 미스 다이어리>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시트콤이다. 주인공 최미자(예지원)를 중심으로 (극중 이름과 실제 이름이 같은) 친구 김지영, 오윤아 등 3명의 30대 여성의 이야기를 담았다. <올드 미스 다이어리>는 KBS에서 유일하게 성공한 시트콤이라고 봐도 좋을 듯하다. MBC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이 몰고 온 ‘골드 미스’ 열풍을 이었다.
<조선명탐정> 시리즈로 알려진 김석윤 감독이 시트콤 <올드 미스 다이어리>를 연출했다. 당시 연출진에서 <응답하라> 시리즈의 신원호 PD 이름도 눈에 띈다. 시트콤의 인기로 극장판이 제작됐다. 김석윤 감독이 직접 연출을 맡았다. <올드 미스 다이어리>의 극장판은 원작만큼 성공하지 못했지만 충분히 재밌게 볼 수 있는 영화다. 코미디를 기반으로 하면서 동시에 30대 여성의 감정을 영리하게 그려냈다.

- 올드 미스 다이어리
-
감독 김석윤, 정희섭, 신원호, 김상미
출연 예지원, 김지영, 오윤아, 지현우, 장동직, 김정민
개봉 2004 대한민국

- 올드 미스 다이어리 - 극장판
-
감독 김석윤
출연 예지원, 지현우, 김영옥, 서승현, 김혜옥, 임현식, 우현
개봉 2006 대한민국
아이리스
<아이리스>는 이병헌과 김태희 주연의 블록버스터 첩보액션 드라마다. 2009년 KBS에서 20부작으로 방영됐다. 방영 당시 큰 인기를 얻었다. 2010년 11월 <아이리스: 더 무비>가 공개됐다. 드라마의 스토리를 재구성했으며 추가 촬영 등을 통해 제작한 극장판이다. <올드 미스 다이어리>의 경우처럼 영화를 위해 다시 촬영한 것은 아니다. 극장판 스틸 사진이 따로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아이리스: 더 무비>는 극장에서 개봉하지 않고 IPTV 등으로 직행했다.
<아이리스>는 극장판 <아이리스: 더 무비>, 스핀오프 드라마 <아테나: 전쟁의 여신>과 극장판 <아테나: 더 무비>, 속편 드라마 <아이리스 2> 등으로 시리즈를 구축하고 있다.

- 아이리스
-
감독 김규태, 양윤호
출연 이병헌, 김태희, 정준호, 김승우, 김소연, T.O.P
개봉 2009 대한민국

- 아이리스 - 극장판
-
감독 김규태, 양윤호
출연 이병헌, 김태희, 김승우, 정준호, T.O.P
개봉 2010 대한민국
사랑과 전쟁
“4주 후에 뵙겠습니다”라는 신구의 대사가 유명한 <부부 클리닉 사랑과 전쟁>(이하 <사랑과 전쟁>)은 KBS에서 방영했던 시추에이션 드라마다. 이혼을 앞둔 부부의 사연을 다룬 드라마로 막장 중의 막장 드라마처럼 보이지만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됐다. 1999년 시작돼 2014년까지 꽤 오랜 기간 방영되며 장수 프로그램으로 분류됐다.
2008년 <사랑과 전쟁: 열두 번째 남자>라는 영화가 개봉했다. <사랑과 전쟁>으로 익숙한 배우들이 등장한 영화로, ‘남편의 외도에 맞바람으로 11명의 남자를 만난 당찬 주부의 안방 스캔들을 도발적으로 그린 작품’이라고 한다.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으로, 불륜을 소재로 한 다소 노골적인 기획 의도가 보인다. 박평식 평론가는 <씨네21> 20자평에서 “브라운관으로 다시 돌아오게나”라는 평과 함께 별 하나를 남겼다.

- 사랑과 전쟁
-
감독 곽기원, 한준서, 김종윤, 성준해, 김정환, 지형욱
출연 신구, 정애리, 이호재, 김흥기
개봉 1999 대한민국

- 사랑과 전쟁: 열두 번째 남자
-
감독 곽기원
출연 이주나, 이정훈
개봉 2008 대한민국
씨네플레이 에디터 신두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