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석 영화 저널리스트
휴머니티 범죄 스릴러
★★★★
범죄 스릴러로서 장르적 법칙을 준수하면서도, 그 안에서 인간에 대한 도리를 이야기한다. 이 장르에 속한 많은 영화들이 종종 결말 부분에서 휴머니티에 대한 장황설에 빠지지만 <암수살인>은 간결하면서도 정확하다. 캐릭터로는 시종일관 충돌하지만, 김윤석과 주지훈이 근래에 보기 드문 연기 앙상블을 만들어낸다.
송경원 <씨네21> 기자
‘왜’를 제대로 짚으니 ‘무엇을’과 ‘어떻게’가 저절로 따라온다
★★★★
암수살인을 집요하게 수사하는 형사 이야기. 형사가 사건을 접하고, 의심하고, 범인을 만나고, 현장을 발로 뛰어보고, 실패하고,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조사하는. 그 과정을 그저 담담하게, 한편으로 집요하게 따라간다. 딱히 클라이막스도 없고 장르적 쾌감이나 속도감에 기대지도 않는데 그 무던하고 우직한 손놀림이 도리어 관객의 마음을 움직인다. 일대일 취조와 플래시백을 활용한 방식에 주목할 것. <추격자>, <살인의 추억>과 또 다른 결로 기억될만한 실화 바탕의 범죄물.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 진짜 중요한 게 무엇인지 다시금 자문하게 만드는 영화.
이은선 영화 저널리스트
자극이 아닌 뚝심으로 완성한 범죄 드라마
★★★★
작품이 고발하는 사실 자체는 보도 프로그램의 내용과 다를 바 없을지 몰라도, 실화를 어떻게 영화적으로 재구성했는가의 측면에서 충분한 성취가 있다. 자극적인 방식에 곁눈질하지 않고 시종 우직하게 정공법으로 밀어붙이는 성실함이 결국 이 영화의 힘으로 기능한다. 김윤식이라는 뚝심, 주지훈이라는 패기. 한치의 물러남 없는 두 배우의 충돌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극의 온도를 높인다. 그 흔한 액션 신 하나 없이 교도소 접견실에서 벌어지는 두 인물의 두뇌싸움만으로도 팽팽한 긴장감이 감돈다.
정시우 영화 저널리스트
희귀한 시도와 귀한 성취
★★★★
‘또 형사에 또 살인범이야?’란 걱정은 접어둬도 된다. 관성적인 스릴러 화법을 튕겨내는 <암수살인>은 범죄물이란 장르가 허용한 여러 영화적 유혹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흥분하지 않는다. 자극이나 신파 액션에 기대지 않고도 관객을 몰입시킬 수 있다는 자세/시도가 희귀한데, 이를 성취해내고 있다는 점에서 귀하다. 액션과 추격이 빠진 자리에 들어서 있는 것은 말과 말의 부딪힘, 상대의 의중을 탐색하고 교란시키는 고도의 심리전이다. 자연스럽게 배우들이 1대 1로 독대하는 장면들이 중요할 수밖에 없는데, ‘김윤석의 관록’과 ‘주지훈의 패기’가 멋진 앙상블을 빚어내며 팽팽한 긴장감을 부여한다. 관객이 살인범에 감정 이입할 수 있는 일말의 여지마저 완강하게 버티며 막아낸 주지훈의 연기가 특히나 인상적. <추격자>의 성공 이후 엇비슷하게 쏟아지고 있는 한국 스릴러물 사이에서 단연 돋보이는 결과물이라 할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