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OTT&시리즈

없는 게 없다는 〈심슨 가족〉에서 나온 예언들(feat. 트럼프)

성찬얼기자

한국에 <무한도전>이 있다면, 미국엔 <심슨 가족>이 있다. 장기 방영을 한 프로그램에서 '유머'로 내뱉었던 말이 훗날 현실에서 벌어지면서 이른바 '예언'이 됐다. '없는 게 없는' <무한도전> 못지않게 <심슨 가족>도 없는 게 없는 프로그램으로 두 프로그램은 '아카식 레코드'(세상 모든 일이 기록돼있다는 가상의 무언가), '일루미나티'(세상을 조종한다는 음모론이 있는 비밀결사 단체)라는 별명을 얻기까지 했다. <심슨 가족>은 이번에 도널드 트럼프가 유죄 판결을 받으면서 '없는 게 없다'는 명성이 한층 더 높아졌다. <심슨 가족>에서 예언한 순간은 어떤 것이 있는지 몇몇 사례를 모았다.


체포된 미 대통령 (주어 없음)

〈심슨 가족〉 트럼프 이후 대통령이 된 리사
〈심슨 가족〉 트럼프 이후 대통령이 된 리사

 

풍자 코미디 <심슨 가족>은 다양한 유명인사들을 출연시켜 그들의 행적을 비꼬는 코미디를 자주 구사했다. 그중 도널드 트럼프는 옛날부터 좋은 타깃 중 하나였는데, 도널드 트럼프가 어린이 관련 정책에 큰 돈을 써서 미국이 파산 직전이라는 묘사(시즌 11 17화, 방영 후 16년 후 실제로 당선됐다)까지 등장하기도.

〈심슨 가족〉 "대통령이 살인 혐의로 체포됐습니다"스테이시 말리부 뉴스 이후 대통령의 체포는 단 한 줄.
〈심슨 가족〉 "대통령이 살인 혐의로 체포됐습니다"스테이시 말리부 뉴스 이후 대통령의 체포는 단 한 줄.

최근에 화제가 된 장면은 그보다 더 오래된 시즌에서 등장했다. 시즌 5 14화 '리사 vs 스테이시 말리부'의 딱 한 줄이다. 스테이시 말리부는 바비 인형 같은, 아이코닉한 완구이다. 이 에피소드는 리사가 스테이시 말리부의 여성 비하에 강경 대응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다루는데, 막판에 뉴스 앵커가 한참 스테이시 말리부 뉴스를 전한 후 "아참, 대통령이 살인 혐의로 체포됐다고 합니다"라는 뉴스를 언급한다. 즉 대통령이 사고를 치는 것보다 완구 관련 뉴스가 더 화제라는 것을 향한 풍자인 것. 하지만 이번에 '전 대통령'이 '성추행'과 '입막음'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것, 그리고 그 뉴스에도 현실의 지지자들이 요지부동이라는 것이 이 에피소드의 장면과 일맥상통해 다시금 미국 누리꾼들의 이목을 모았다.


대스타 비틀즈의 뒤늦은 답장

〈심슨 가족〉 밀린 팬레터에 답장 중인 링고 스타
〈심슨 가족〉 밀린 팬레터에 답장 중인 링고 스타
〈심슨 가족〉 링고 스타는 마지가 보낸 초상화를 발견한다.
〈심슨 가족〉 링고 스타는 마지가 보낸 초상화를 발견한다.

 

원래 어떤 그룹이든 멤버 이름을 호명하다 보면 한 명쯤 생각이 안날 때가 많다.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선봉장 비틀즈도 비슷하다. 다들 폴 매카트니, 존 레논, 조지 해리슨은 바로 떠올리는데 링고 스타는 쉽게 잊곤 한다. <심슨 가족>의 마지 심슨은 그 링고 스타의 열성팬이었다. 시즌 2 18화에서 그는 미술을 해도 될지 의구심이 들었던 젊은 시절, 링고 스타에게 그의 초상화를 보내고 의견을 물었다. 답장은 없었고, 마지는 미술을 포기한다. 그리고 몇 년이 훌쩍 지난 어느 날, 자신에게 보낸 모든 편지에 답장을 보내던 링고 스타가 마침내 마지의 초상화에 답장을 보낸다. 몇 년간 답장해야 할 정도의 팬레터와 일일이 답장하는 상냥함으로 '인기 없는 멤버'라는 링고 스타의 오명을 잘 씻어준 에피소드다.(실제로 그는 꽤 오랫동안 팬레터에 답장을 보냈다)

최애 가수에게 50년 만에 답장을 받으면 얼마나 기뻤을까 (사진 출처=롤링스톤즈 홈페이지 갈무리)
최애 가수에게 50년 만에 답장을 받으면 얼마나 기뻤을까 (사진 출처=롤링스톤즈 홈페이지 갈무리)

 

이 회차가 '예언'이 된 이유는 비틀즈의 한 멤버가 두 여성 팬이 보낸 녹음 메시지를 뒤늦게 발견하고 약 50년 만에 답장을 보냈기 때문이다. 다만 주인공은 링고 스타가 아닌 폴 매카트니다. 팬들의 테이프는 이곳저곳을 떠돌다 한 자동차 판매원이 입수한 후에야 폴 매카트니에게 도달할 수 있었다. 두 팬은 꽤 오랫동안 서로 만나지 않았으나 폴 매카트니의 답장을 받으면서 다시 만났다고 한다.


타이타닉 잠수정 사고

〈심슨 가족〉 하필 심해 탐사정에 하필 부자가 탔다는 설정.
〈심슨 가족〉 하필 심해 탐사정에 하필 부자가 탔다는 설정.

우연이라도 웃어넘길 만한 일만 예언됐다면 좋으련만, 때때로 일어나지 않았을 법한 사고가 우연의 일치가 그려지는 경우가 있다. <심슨 가족> 시즌 17 10화는 호머가 '진짜 아빠'를 만났다는 내용을 그린다. 오랜 시간 에이브라함의 아들이라고 생각했지만 메이슨 페어뱅크스와의 DNA 검사 결과 그가 친부로 확인된다(물론 여기엔 반전이 있다). 마침내 조우한 부자는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심해 탐사정을 타고 바다 깊숙이 잠긴 보물선을 구경하는 것. 이는 2023년 있었던 '타이타닉호 잠수정 사고'를 연상시킨다. 잠수정으로 심해에 가라앉은 배를 구경하는 장면도 그렇고 사고 피해자 중 대부호 아빠와 아들이 있었다는 것도 그렇다. 사고가 참사에 가까웠던 만큼 자주 언급되는 사례는 아니지만 '없는 게 없는'이란 명성에 걸맞은 예언이 아닌가 싶다.


조 바이든 & 카말라 해리스 콤비

〈심슨 가족〉 제작자 데이비드 실버맨도 해당 사진을 올리며 본인도 '바이든-해리스' 콤비를 예언한 것에 놀랐다고 전했다.
〈심슨 가족〉 제작자 데이비드 실버맨도 해당 사진을 올리며 본인도 '바이든-해리스' 콤비를 예언한 것에 놀랐다고 전했다.

<심슨 가족>의 예언은 특별 단편에서도 멈추지 않았다. 2019년 제작진이 공개한 특별 단편 <웨스트 윙 스토리>는 당시 미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 '더 스쿼드'라고 불리는 미 하원 민주당 의원 네 사람의 뮤지컬을 담았다. 해당 장면은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넘버 '아메리카'를 패러디한 것인데, 여기서 예언이라고 불리는 부분은 막판에 등장하는 군무 장면이다. 이 장면에 조 바이든 바로 옆에 카말라 해리스가 있는데, 당시만 해도 두 사람은 그렇게 가까운 사이가 아녔다. 두 사람의 관계가 도드라진 건 2020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을 거쳐 해리스가 바이든의 러닝메이트로 활약한 대통령 선거 시점이었다. 이 특별 단편은 2019년 8월경 공개한 영상이고. 그래서인지 <심슨 가족>을 총괄하는 제작자 데이비드 실버맨도 2021년 해당 장면을 SNS에 올리며 "우리가 또 미래를 예측한 걸까?"라고 말하기도.


20세기 폭스와 디즈니의 인수

〈심슨 가족〉 20세기 폭스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부서)
〈심슨 가족〉 20세기 폭스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부서)

그래도 <심슨 가족>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이라면, 자신들의 운명마저 예언한 것이 아닐까. 1998년 방영한 시즌 10 5화에선 '20세기 폭스' 마크 아래에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부서'라는 문장이 쓰여있다. 이때까지만 해도 정말 유머였는데, 디즈니는 이후 <스타워즈> 제작사 루카스필름, 협력사였던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떠오르는 신예 마블 스튜디오를 인수하는 등 어마어마한 확장을 이어갔다. 그래도 유서 깊은 '20세기 폭스'를 인수할 수 있을까 싶었지만 2018년 양사의 주주들에게 인수 최종 승인을 얻으며 20세기 폭스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 산하 '20세기 스튜디오'가 됐다. 20세기 폭스 텔레비전에서 제작하고 FOX 채널로 방영하던 <심슨 가족>은 그렇게 디즈니 패밀리에 합류하며 FOX 채널에서 방영 후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OTT 플랫폼 '디즈니+'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한다.

〈심슨 가족〉
디즈니플러스로 서비스 중인 〈심슨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