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영화

22년 만에 모녀 상봉?! 〈프리키 프라이데이 2〉오기 전 1편 돌아보기

성찬얼기자
〈프리키 프라이데이 2〉

요즘 유행하다시피 하는 고전의 속편 귀환, 그 대열에 이 영화가 합류했다. 2003년 <프리키 프라이데이>는 린제이 로한과 제이미 리 커티스가 주연한 가족코미디영화로 엄마와 딸의 몸이 바뀌어 벌어지는 일을 그린다. 흔한 바디 체인지(바디 스왑, 바디 스위치) 류의 코미디 영화지만, 개봉 당시 인기를 끌며 제작비 8배에 달하는 흥행 성적을 올리는 등 지금까지도 바디 체인지 코미디영화에서 빠지지 않고 거론되곤 한다. 이 영화가 장장 22년 만에, 2025년 8월에 2편을 공개할 예정이다. 당연히, 혹은 다행히도 전작의 주연 린제이 로한과 제이미 리 커티스가 복귀한다. 2편 공개에 앞서 1편(그리고 그 원작)을 다시 돌아본다.

 

〈프리키 프라이데이〉

<프리키 프라이데이>는 메리 로저스 작가가 1972년 발간한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이 소설은 디즈니에서 여러 차례 실사화한 바 있는데, 1976년, 1995년, 2003년, 2018년 총 네 편의 영화가 있다. 그중 대외적으로 가장 유명한 영화가 2003년에 개봉한 영화다. 나온 지 30년이 된 소설을 토대로 시대에 맞춰 여러 디테일을 더해 좀 더 바디 체인지 코미디의 묘미를 살렸다. 사실 ‘모녀가 몸이 바뀐 채 하루를 보내고, 서로를 이해하게 된다’는 기본 토대를 제외하면 완전히 다른 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엄마 테스(제이미 리 커티스)와 딸 애나(린제이 로한)는 사사건건 충돌한다. 테스는 간단한 상담만으로도 상대에게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훌륭한 심리상담사이지만, 애나에게만은 엄격하게 군다. 애나는 동생 해리에 대한 편애, 본인이 하고 싶은 음악을 자꾸만 방해하는 등 엄마의 일방적인 통제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특히 테스가 라이언(마크 하몬)과 재혼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테스의 결혼 전야 파티와 애나의 밴드 오디션 무대가 겹치면서 둘의 갈등은 고조된다.

 

〈프리키 프라이데이〉

이런 둘의 말다툼을 본 중식 레스토랑 사장의 노모는 둘에게 포춘 쿠키를 건네고, 이를 먹은 두 사람은 다음날 아침 서로의 몸이 바뀐 채 잠에서 깬다. 서로의 몸에 왜 바뀌었는지 알 수 없지만, 어떻게든 일상을 이어가야 하는 상황. 테스는 애나를 대신해 학교생활을 해야 하고, 애나는 테스를 대신해 심리상담사로서 그리고 재혼을 앞둔 신부로서 하루를 보내야 한다. 두 사람은 이 ‘기묘한 금요일’을 보내면서 서로가 몰랐던 부분들을 알아간다.

영화는 서로의 관심도, 성격도 판이한 모녀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한다. 1976년 영화는 일반적인 가정의 엄마와 딸을 토대로 해 상황적인 부분의 코미디를 집중했다면, 2003년 영화는 두 사람의 성격 대비뿐만 아니라 남편/아빠를 잃은 가족의 일원이란 대비를 더했다. 그래서 서로의 다른 환경과 성격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이란 범위의 고민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1976년 〈프리키 프라이데이〉 조디 포스터(왼), 바바라 해리스

<프리키 프라이데이>는 영화만큼 재밌는 제작비화가 있는데, 영화와 인연이 닿을 뻔하다 만 배우들이 꽤 있다. 먼저 위에서 말한 1976년 영화에서 딸 애나벨 역으로 출연한 조디 포스터가 2003년 영화의 엄마 역으로 고려됐다는 것. 제작을 맡은 프로듀서가 이 기획으로 영화를 만들고 싶었는데, 전작과 다른 방향으로 각본이 진행되고 조디 포스터 또한 전작과 다른 영화인데 본인이 출연하면 관객에게 혼란을 줄 것이라고 거절해 성사되지 못했다. 제이미 리 커티스가 이 역할에 들어오기 전, 시고니 위버, 아네트 베닝 등이 고려됐다. 실제로 촬영 직전까지 갔던 아네트 베닝은 각본 보완을 여러 차례 제안했지만 결국 제작진과 합의해 하차했다. 그래서 제이미 리 커티스는 촬영을 코앞에 두고 합류했다고 한다. 커티스는 해당 영화 속 기타 연주 장면을 위해 실제로 연주할 수 있을 정도까지 연습했지만, 아쉽게도 영화에는 전문 연주자가 녹음한 버전이 쓰였다.

영화는 제이미 리 커티스와 린제이 로한을 비롯해 배우들의 호연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최고 수혜자는 린제이 로한인데, <페어런트 트랩> 이후 두 번째 주연작에서도 좋은 연기로 영화의 재미를 더했다. 무엇보다 이 영화에 이어 차기작 <퀸카로 살아남는 법>에서도 연기와 흥행 모두 성과를 거두며 스타로서의 탄탄대로를 걸었다. 원래 이 배역은 미셸 트라첸버그가 낙점됐었는데, 그가 출연한 <뱀파이어 해결사>(<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가 인기를 얻어 장기 방영되며 하차했다. 그 자리에 린제이 로한이 들어간 것이니 천운이었다고 해도 좋을 정도.

2018년 영화 〈기묘한 금요일〉
2018년 영화 〈기묘한 금요일〉

사실 2편 제작 이전에 디즈니는 새로운 <프리키 프라이데이> 실사영화를 공개한 바 있다. 앞선 두 편과 차별화를 원했는지 한국에선 제목을 직역한 <기묘한 금요일>로 공개했다. 여기서는 포춘 쿠키 대신 모래시계를 같이 쥐는 것이 바디체인지의 트리거로 그려지며, 전반적으로 노래와 춤을 내세운 뮤지컬 요소로 특색을 더했다. 그러나 출연진이 빈약하고 혹평도 많이 받아서인지 이 영화가 있는지 모르는 팬들이 많을 정도. 특히 이전 1976년, 1995년, 2003년 영화를 전부 챙겨 본 팬덤에선 1점 세례를 받았다.

 

〈프리키 프라이데이 2〉 촬영 전 제이미 리 커티스(왼), 린제이 로한 인증샷
〈프리키 프라이데이 2〉 촬영 전 제이미 리 커티스(왼), 린제이 로한 인증샷
〈프리키 프라이데이〉 의 제이크(채드 마이클 머레이)도 돌아온다고 한다.
〈프리키 프라이데이〉 의 제이크(채드 마이클 머레이)도 돌아온다고 한다.

그렇게 돌고 돌아 <프리키 프라이데이>는 2003년의 시퀄로 돌아온다. 희소식이라면 제이미 리 커티스, 린제이 로한 두 배우가 적극적으로 아이디어를 내며 속편을 추진해왔기에 적어도 ‘억지로 만든’ 속편은 아니라는 것. 이번 영화는 테스와 애나가 애나의 딸, 그리고 애나의 의붓딸과 몸이 뒤바뀌는 이야기가 된다고 알려졌다. 두 명에서 네 명이 된 바디 체인지가 관객들에게 먹힐지, 기대 반 걱정 반이지만 오랜만에 만나는 반가움이 앞선다.

 


씨네플레이 성찬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