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8회 칸국제영화제 초청작 발표 기자회견 [EPA=연합뉴스]](/_next/image?url=https%3A%2F%2Fcineplay-cms.s3.amazonaws.com%2Farticle-images%2F202504%2F18175_206184_1620.jpg&w=2560&q=75)
제78회 칸국제영화제에서 한국 장편 영화가 한 편도 상영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 10일(현지시간) 칸영화제 집행위원회가 발표한 공식 초청작 명단에 한국 영화는 단 한 편도 포함되지 않았다.
경쟁 부문을 비롯해 비경쟁 부문, 미드나이트 스크리닝, 주목할 만한 시선, 칸 프리미어 등 주요 섹션에서 한국 영화는 찾아볼 수 없었다. 연상호 감독의 〈얼굴〉, 김미조 감독의 〈경주기행〉, 김병우 감독의 〈전지적 독자 시점〉 등이 출품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초청장을 받지 못했다.
한국 장편 영화가 칸영화제에 전혀 초청되지 못한 것은 2000년대 이후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다. 칸영화제는 지난 20여 년간 거의 매년 적게는 1~2편, 많게는 3~4편씩 한국 영화를 초대해왔다.
특히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놓고 경합을 벌이는 경쟁 부문에서는 올해로 3년째 한국 영화가 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다. 칸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한 가장 최근 한국 영화는 2022년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과 한국 영화사가 투자·제작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브로커〉다.
박찬욱 감독의 신작 〈어쩔수가없다〉가 이번 칸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해당 작품은 현재 후반 작업 단계로 영화제에 출품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한국 영화의 초청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칸영화제는 그간 공식 발표 이후에도 추가로 초청작을 공개해온 전례가 있다. 박찬욱 감독은 칸영화제에서 심사위원대상, 감독상, 심사위원상을 받은 '칸의 총아'로 불리는 만큼, 집행위원회 측이 마감 시간을 늦춰 향후 초청작에 포함시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아직 발표되지 않은 감독주간과 비평가주간 등의 부문에 한국 영화가 이름을 올릴 가능성도 남아있다.
올해 칸영화제는 5월 13일부터 24일까지 프랑스 남부 도시 칸에서 개최된다. 프랑스 출신 배우 쥘리에트 비노슈가 심사위원장을 맡는다.
경쟁 부문에는 켈리 라이카트 감독의 〈더 마스터마인드〉, 다르덴 형제 감독의 〈영 마더스〉, 아리 애스터 감독의 〈에딩턴〉, 쥘리아 뒤쿠르노 감독의 〈알파〉, 하야카와 치에 감독의 〈르누아르〉 등이 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