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영화

[90년대생 한국여성배우②] 10년, 20년 후 이들이 그릴 여성 캐릭터가 궁금해진다! 90년대 후반 출생 한국여성배우 10

김지연기자

할리우드에 96년생 여성배우 트로이카 젠데이아-안야 테일러 조이-플로렌스 퓨가 있다면, 한국의 90년대 후반 출생 여성 배우들 라인업도 그에 못지않다. Z세대의 시작점에 선 한국 여성 배우들은 저마다의 독특한 매력과 실력으로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는 배우’임을 몸소 증명하고 있다. 일반인이라면 사회에서 이제 막 자리를 잡고 고군분투할 20대 후반을 갓 지난 나이, 90년대 후반 출생 여성 배우들이 10년, 20년 후에는 어떤 새로운 여성 캐릭터를 만들어 나갈지 궁금해서라도 꾸준히 이들의 작품을 챙겨보고 싶다. 아래에 언급할 배우들 이외에도 수많은 95~99년생 여성 배우들이 자신만의 길을 차근차근 밟아가고 있지만, 지면의 한계로 인해 그중 10명만 생일순으로 소개해 본다.


고민시 (1995.02.15)

〈〉
〈아무도 없는 숲속에서〉 고민시

 

최근 대한민국에서 여러모로 ‘핫’한 배우를 꼽자면, 단연 고민시가 아닐까. <좋아하면 울리는> <스위트홈> 등에 출연하며 ‘넷플릭스의 딸’로 점차 얼굴을 알린 고민시는 스스로 특정 이미지에 갇히지 않으려는 듯, KBS2 드라마 <오월의 청춘>(2021, KBS2)으로 한국 현대사의 아픈 얼굴을 대변하는 한편, 영화 <밀수>로 살아본 적 없는 시대에 대한 능청스러움까지 표현해냈다. 올해 공개된 넷플릭스 시리즈 <아무도 없는 숲속에서>는 고민시의 사이코패스 연기가 작품의 완성도를 책임진 드라마이기도 한데, 이 여성배우가 보여줄 수 있는 장르는 아직도 무궁무진하기에 그의 10년, 20년 후가 더욱 기대된다.


김다미 (1995.04.09)

〈〉
〈그 해 우리는〉 김다미

 

박훈정 감독이 <마녀>로 발탁한 인재는 현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20대 배우로 성장했다. 신인을 기용하는 능력이 탁월한 박훈정 감독이 고르고 골라 발굴한 원석은 보석이 되어가는 중이다. 김다미는 <마녀> 이후에 더욱 인상적인 필모그래피를 남기며 탄탄대로를 걷고 있다. 놀라운 것은 김다미가 출연한 드라마가 <이태원 클라쓰>(2020, JTBC), 그리고 <그 해 우리는>(2021~2022, SBS) 단 두 편이라는 사실인데, 그 두 편의 드라마가 너무나도 큰 화제성을 거둔 나머지 김다미는 드라마 단 두 편으로 국내외의 인지도를 꽉 잡았다. 김다미는 내년 윤종빈 감독의 디즈니+ 시리즈 <나인 퍼즐>로 다시 한번 시청자들을 찾아올 예정이다.


김혜준 (1995.05.08)

〈〉
〈킬러들의 쇼핑몰〉 김혜준

 

올해 공개된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킬러들의 쇼핑몰>은 마치 배우 김혜준의 성장기와도 겹쳐 보인다. <킬러들의 쇼핑몰>은 삼촌(이동욱)의 부재를 딛고 일어선 정지안(김혜준)이 스스로의 주체성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그린다. <킹덤>(2019~2020)의 ‘빌런’ 중전, <구경이>(2021, JTBC)의 양면성을 지닌 사이코패스 살인마 등 20대 여성 배우로서는 유난히도 독특한 필모그래피를 보유한 김혜준은 마치 <킬러들의 쇼핑몰>의 정지안처럼, ‘성장이 눈에 보이는 배우’라고 한마디로 표현하고 싶다.


김민하 (1995.09.01)

〈〉
〈파친코〉 김민하

궁금해지는 눈빛, 이야기를 품은 얼굴. 애플tv+ <파친코>라는 할리우드 대형 프로젝트의 간판이 된 인물은 바로 생소하고 낯선 얼굴 김민하였다. <파친코>로 한국보다 해외에서 더욱 유명해진 배우 김민하는 할리우드의 스포트라이트에도 불구하고, 화려함을 벗어던지고 국내 활동의 내실을 다지는 모양새다. 김민하는 이번 제29회 부산국제영화제에 초청된 영화 <폭로: 눈을 감은 아이>, 내년 공개될 티빙 드라마 <내가 죽기 일주일 전>, 그리고 김종관 감독의 옴니버스 영화 <낮과 밤은 서로에게>(가제) 등에 출연하며 규모를 가리지 않고 작품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남지현 (1995.09.17)

〈〉
〈굿파트너〉 남지현

<굿파트너>의 한유리 변호사처럼 지적이면서도 선한 이미지가 매력적인 남지현은 오랜 아역 활동으로 29세의 나이에 벌써 숱한 히트작을 보유한 배우다. 그가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린 작품은 드라마 <선덕여왕>(MBC, 2009)인데, 당시 배우 이요원의 아역으로 등장했던 그가 성인이 되어 로맨스 사극 <백일의 낭군님>(tvN, 2018)에 주연배우로 출연했다는 사실을 상기해 보면 참 재밌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남지현이 선택하는 작품들은 마치 배우 본인처럼 내실 있고 탄탄한데, 그는 많은 팬덤을 보유한 드라마 <수상한 파트너>(SBS, 2016), <작은 아씨들>(tvN, 2022) 등에 출연하며 ‘믿고 보는 남지현’이라는 문구를 대중들에게 각인시켰다.


김보라 (1995.09.28)

〈〉
〈백설공주에게 죽음을-Black Out〉 김보라

드라마와 독립영화, 단편영화를 아우르는 필모그래피를 보유한 김보라는 올해 MBC 드라마 <백설공주에게 죽음을-Black Out>으로 그의 매력과 연기력을 폭발적으로 분출했다. 김보라는 Z세대들 사이에서 ‘스타일의 아이콘’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김보라의 인스타그램만 봐도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그는 필름 카메라로 사진을 즐겨 찍고, 유행하는 옷 대신 그만의 독특한 취향이 담긴 옷을 입는 등 그야말로 ‘힙스터’라고 할 수 있는데, 대중적인 작품 대신 독립영화, 단편영화, 독특하고 실험적인 소재의 영화 등을 선택하는 그의 행보 역시 ‘힙’하다.


고윤정 (1996.04.22)

〈〉
〈무빙〉 고윤정

탄탄대로가 예정된 또 한 명의 20대 여성 배우. 작년 전국을 뒤흔들었던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무빙>은 관록의 베테랑 배우들과 신선한 얼굴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보는 재미’를 충족시킨 작품이었다. 물론, 그 중심에는 단연 영화 <헌트>, 드라마 <환혼: 빛과 그림자>(2022~2023, tvN) 등으로 존재를 알린 고윤정이 있었다. 고윤정은 00년대, 10년대에 청춘을 연기했던 뭇 여성 배우들이 떠오르는 고전적인 이미지를 품고 있기도 한데, 당시 청춘을 연기했던 여성 배우들이 성장해 현재는 굵직한 중년 여성 캐릭터를 연기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해 보면, 고윤정의 미래가 더욱 기대된다.


김혜윤 (1996.11.10)

〈선재 업고 튀어〉 김혜윤
〈선재 업고 튀어〉 김혜윤

 

2024년 한 해, ‘선업튀’를 빼놓고 논할 수 있을까. ‘류선재’ 변우석 신드롬을 일으킨 <선재 업고 튀어>는 사실, 김혜윤이 아니었다면 성립 자체가 불가능한 작품이었다. <선재 업고 튀어>의 이시은 작가는 쓸 때부터 김혜윤을 염두에 두고 작업했고, 김혜윤은 이보다 더 임솔 역을 잘 살릴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인생 연기’를 펼치며 이에 화답했다. <SKY 캐슬>(2018, JTBC) <어쩌다 발견한 하루>(2019,MBC) 등을 ‘불도저에 탄 소녀’처럼 질주해 온 김혜윤의 질주가 더욱 기대되는 이유다.


신예은 (1998.01.18)

〈정년이〉 신예은
〈정년이〉 신예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웹드라마 <에이틴>(플레이리스트, 2018)에서 공부, 외모, 성격 모두 다 되는 도하나 역으로 Z세대의 워너비에 등극하며 커리어를 시작한 신예은. 당시 20대 초반이던 그가 20대 후반의 나이가 되며 보다 다양한 캐릭터를 소화해나가는 모습을 보고 있자면 단지 신예은을 ‘예쁘고 참한’ 여성 배우라고 칭하기에는 큰 실례라는 걸 깨닫게 된다. 특히 넷플릭스 시리즈 <더 글로리>(2022~2023)의 고등학생 박연진은 ‘보고 싶어 죽는 줄’이라는 명장면을 남겼는데, ‘고등학생들의 워너비’였던 신예은의 <에이틴> 시절을 상기해 보면 자못 놀랍기까지 하다. 특히나 올해 방영된 tvN 드라마 <정년이>는 신예은의 폭발적인 성장이 고스란히 담긴 작품이다.


김시은 (1999.01.19)

〈너와 나〉 김시은
〈너와 나〉 김시은

‘소희’라는 이름이 대중들에게 더 익숙할 배우 김시은은 ‘소희’(영화 <다음 소희>), ‘하은’(영화 <너와 나>)으로 그와 비슷한 나이대 여성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그들을 대변해왔다. 백상예술대상, 디렉터스컷 어워즈 등에서 신인상으로 9관왕을 달성한 김시은은 올해 초 ‘포브스’에서 발표한 ‘아시아에서 영향력 있는 30세 이하 3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제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겨냥할 차례, 김시은은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 2에 ‘95번’으로 등장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