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라스트 마일〉 [블루라벨픽쳐스 제공]](/_next/image?url=https%3A%2F%2Fcineplay-cms.s3.amazonaws.com%2Farticle-images%2F202503%2F17685_205138_4929.jpg&w=2560&q=75)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둔 일본의 한 주택가에서 시작된 폭발음은 곧 전국적인 공포의 시작을 알린다. 가정과 회사, 상점에서 연이어 발생한 폭발 사건의 공통점은 세계 최대 쇼핑 사이트 '데일리 패스트'(Daily Fast)를 통해 배송된 물품이라는 점이었다.
쓰카하라 아유코 감독과 노기 아키코 각본가가 함께 작업한 영화 〈라스트 마일〉은 이러한 연쇄 폭탄 테러에 맞서는 사람들의 사투를 그린 스릴러로, 일상적인 택배 배송이 공포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설정으로 관객들의 불안감을 자극한다.
물류 업계에서 '라스트 마일'(last mile)이란 상품이 고객에게 전달되는 최종 단계를 의미하는데, 이 영화는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극적으로 표현했다. 특히 택배 서비스가 일상화된 한국 관객들에게 더욱 현실적인 공포로 다가올 수 있는 설정이다.
![영화 〈라스트 마일〉 [블루라벨픽쳐스 제공]](/_next/image?url=https%3A%2F%2Fcineplay-cms.s3.amazonaws.com%2Farticle-images%2F202503%2F17685_205139_503.jpg&w=2560&q=75)
영화는 폭탄을 둘러싼 서스펜스에서 점차 범인을 추적하는 추리극으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사건 해결을 방해하는 다양한 장애물이 등장한다. 매출 목표에 집착하는 기업의 태도, 주가 하락을 우려한 정보 은폐 시도 등이 사건 해결을 지연시킨다.
범인의 정체가 밝혀지는 과정은 곧 우리가 사는 현대 사회의 민낯을 보여주는 계기가 된다. 영화는 가동률과 목표 달성을 위한 과로 노동, 대량 소비와 생산 중심의 경제 구조 등 자본주의의 어두운 측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영화 속 광고들은 끊임없이 "무엇을 원하느냐"(What do you want?)라고 질문하며 소비를 부추기고, 물류센터의 컨베이어 벨트는 쉼 없이 돌아간다. 택배 노동자들은 식사 시간마저 줄여가며 배송을 완료해야 하는 현실은 한국에서도 빈번히 보고되는 택배 노동자 과로사 문제를 연상시킨다.
무거운 주제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적절한 유머로 관객들의 부담을 덜어준다. '데일리 패스트' 관동 센터장으로 새로 부임한 후나도 엘레나(미쓰시마 히카리)를 비롯한 캐릭터들의 개성 있는 모습이 극의 완급을 조절한다.
![영화 〈라스트 마일〉 [블루라벨픽쳐스 제공]](/_next/image?url=https%3A%2F%2Fcineplay-cms.s3.amazonaws.com%2Farticle-images%2F202503%2F17685_205140_5039.jpg&w=2560&q=75)
이 영화는 아유코 감독과 아키코 각본가 콤비의 이전 작품인 드라마 〈언내추럴〉(2018), 〈MIU404〉(2020) 등과 세계관을 공유하는 점도 특징이다. 해당 드라마를 시청한 관객들은 이시하라 사토미 등 친숙한 배우들이 원작 캐릭터로 등장하는 장면에서 반가움을 느낄 수 있다.
〈라스트 마일〉은 사회적 메시지와 장르적 재미를 균형 있게 담아낸 작품성을 인정받아 제48회 일본 아카데미에서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남우주연상 등 4개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오는 14일 열리는 시상식에서는 각 부문 최우수상을 놓고 경쟁할 예정이다.
영화 〈라스트 마일〉은 오는 26일 국내 개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