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NEWS

디즈니 실사 영화 〈백설공주〉, 캐스팅부터 원작 재해석 논란 속 조용한 시사회로 첫선

데일리뉴스팀
배우 레이철 제글러 (LA=로이터 연합뉴스)
배우 레이철 제글러 (LA=로이터 연합뉴스)

라틴계 배우가 주연을 맡은 디즈니의 〈백설공주〉(Snow White) 실사 영화가 15일(현지시간) 미국 할리우드에서 시사회를 개최했다. 그러나 영화를 둘러싼 지속적인 논란을 의식한 듯 이날 행사는 주연 배우들의 레드카펫 인터뷰도 생략한 채 조용히 진행됐다고 AFP 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할리우드 시사회에서 백설공주 역의 레이철 제글러와 여왕 역의 갈 가도트 등 주연 배우들은 언론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영화 관련 논란에 대한 질문을 회피했다.

지난 12일 스페인에서 진행된 유럽 시사회 역시 언론 매체 초청을 극도로 제한하며 조용한 분위기 속에 진행됐다.

디즈니의 이 같은 신중한 행보는 2021년 캐스팅 발표 이후 지속된 여러 논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937년 제작된 디즈니 애니메이션 〈백설공주와 일곱 난장이〉를 실사 뮤지컬로 재탄생시킨 이번 작품의 주인공은 콜롬비아 출신 어머니를 둔 라틴계 미국 배우 레이철 제글러(23)가 맡았다.

그러나 캐스팅 소식이 알려지자 일부 디즈니 팬들과 보수층에서는 원작에서 하얀 피부로 묘사된 백설공주 역에 제글러의 외모가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제글러의 솔직한 발언들은 이러한 논쟁에 더욱 불을 지폈다. 그는 캐스팅 논란이 일자 소셜미디어에 "그래, 나는 백설공주지만 그 역할을 위해 내 피부를 표백하진 않을 것"이라며 불만을 표출했다.

또한 제글러는 1937년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내용이 "이상하다"고 지적하며, 영화 속 백설공주가 "자신을 스토킹하는 남자"를 사랑하게 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새 영화의 백설공주는 "왕자에 의해 구해지지 않을 것이며 진정한 사랑을 꿈꾸려고 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발언은 디즈니 원작 애니메이션 팬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제글러는 이후에도 소셜미디어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을 원색적으로 비난하거나, 이스라엘과 전쟁 중인 팔레스타인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에 적극적인 의견을 표출해 논란을 가중시켰다.

한편, 영화 기획 자체가 왜소증 환자에 대한 구시대적 편견을 재생산한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할리우드의 대표적인 왜소증 배우 피터 딘클리지는 디즈니의 〈백설공주〉 다시 제작하는 것 자체가 위선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제작 지연으로 이 영화의 제작비는 최소 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주연을 맡은 배우 제글러는 최근 패션잡지 보그 멕시코와의 인터뷰에서 영화를 둘러싼 논란을 영화에 대한 대중의 '열정'으로 해석하고 있다며 "사람들이 이처럼 열정적으로 느끼는 것의 일부가 되어서 영광"이라고 밝혔다.

〈백설공주〉는 미국에서 오는 21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