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영화

장국영 22주기를 맞아 ② : 열혈사제 장국영과 원영의의 하세편 〈대삼원〉에 대하여

주성철편집장
〈대삼원〉 포스터
〈대삼원〉 포스터
〈대삼원〉
〈대삼원〉

 

4월 1일은 또 돌아온다. 해마다 재개봉 영화의 중심에 서 있는 배우가 바로, 2003년 4월 1일 세상을 떠난 홍콩의 가수 겸 배우 장국영이다. 그 미모를 일컬어 미목여화(眉目如畵), 즉 ‘눈과 눈썹이 그림을 그려놓은 것처럼 아름답다’고 했을 정도로 그만의 독특한 매력으로 1990년대 중반까지 아시아 전역을 사로잡았다. 특히 국내에서 1987년 5월에 개봉한 <영웅본색>과 12월에 개봉한 <천녀유혼>으로 절정의 인기를 누렸다. 그가 떠난 지 22주기가 되는 올해 4월 1일 전날인 3월 31일, 장국영의 배우로서의 실질적인 데뷔작이라 불러도 좋을 <열화청춘>(1982)이 ‘최초’ 개봉하고, <금지옥엽>(1994)과 <금옥만당>(1995)에 이어 장국영과 원영의가 다시 만난 <대삼원>(1996)도 재개봉할 예정이라 반갑다.

 

해마다 4월 1일, 장국영의 기일을 맞아 종종 재개봉했던 <아비정전>(1990)과 <패왕별희>(1993)가 장국영이라는 위대한 예술가 그 자체로 보면 되는 영화라면, 올해 만나게 될 <열화청춘>과 <대삼원>은 각각 1980년대와 1990년대 ‘홍콩영화’라는 지형도 안에서 봐야 이해가 빠른 영화들이다. 장국영의 영화를 오래도록 실시간으로 호흡해 온 올드팬들의 추억, 아니면 그가 세상을 떠난 뒤 그의 영화에 매료된 새로운 관객 모두 어쩌면 ‘왕가위의 장국영’으로만 기억하고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홍콩영화라는 개념으로 들여다보자면 <영웅본색> <종횡사해> 등 ‘오우삼의 장국영’도 있고 <야반가성> 등 ‘우인태의 장국영’도 있고 <색정남녀> 등 ‘이동승의 장국영’도 있고 <이도공간> 등 ‘나지량의 장국영’도 있다. 그 모두가 장국영이다. 의심할 바 없이 모두가 추앙하는 걸작만 있었던 게 아니라, 홍콩 영화산업 안에서 이른바 흥행배우로서의 장국영도 중요하다. 그래서 이번에 찾아오는 두 영화 <열화청춘>과 <대삼원>은 각각 왕가위를 만나기 전의 장국영과 왕가위를 만난 이후의 장국영이자, 20대의 장국영과 40대의 장국영을 만나는 순간이다.

 

〈대삼원〉
〈대삼원〉
〈대삼원〉
〈대삼원〉

 

중화권에서 연초 춘절 극장가 성수기를 겨냥해 제작한 영화를 ‘하세편’(賀歲片)이라 부른다. 문자 그대로 ‘새해를 축하하는 영화’라 할 수 있으며, 여러 감독과 스타들이 의기투합하여 그리 복잡하지 않은 해피엔딩 스토리로 엮어내는 ‘명절용 기획영화’라 할 수 있다. 장국영이 출연한 <가유희사> <화전희사> <97가유희사> <구성보희>처럼 ‘희사’(囍事)나 ‘보희’(報喜)라는 단어가 붙는 경우가 많다. ‘기쁠 희(喜)’자가 겹쳐서 만들어진 ‘쌍 희(囍)’ 자는 회갑이나 결혼 등 2배 이상 경사스러운 날을 의미하고, ‘보희’는 ‘기쁜 일을 알린다’는 뜻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언제나 가족과 친구의 화해, 그리고 결혼식 장면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장국영과 원영의가 3년 연속 호흡을 맞춘 <금지옥엽> <금옥만당> <대삼원> 중에서, <금지옥엽> 외의 영화들이 작품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 아니냐고 질문할 수도 있는데, 1995년 7월에 개봉한 진가신의 <금지옥엽>과 달리 서극이 연출한 <금옥만당>과 <대삼원>이 바로 각각 1995년 1월과 1996년 2월에 개보한 하세편이다. 서극의 두 영화가 보여주는 정서가 아무래도 다를 수밖에 없다.

 

〈금옥만당〉
〈금옥만당〉
〈금옥만당〉
〈금옥만당〉

 

<대삼원>은 신부 홍중(장국영)이 우연히 고리대금업자에게 쫓기게 된 바이쉐화(원영의)를 만나, 그녀와 친구들의 빚을 갚고 새 출발을 도와주려다 함께 곤경에 빠지게 된다는 이야기다. 물론 ‘백마 탄 왕자’처럼 등장한 장국영이 위기를 해결하고 행복한 결말을 맞게 된다. 일단 <금옥만당>과 <대삼원> 모두 철저히 그 하세편의 공식을 따르고 있다. ‘금옥만당’은 글자 그대로 황금(黃金)과 옥(玉)으로 집을 가득 채울 만큼 부유한 상태를 뜻하는 말로, 궁궐에 현명한 신하나 부하가 많다는 뜻으로도 쓰이는 사자성어이기도 하다. 영화 <금옥만당>에서는 화려한 중화요리로 가득한 음식점의 세계로 치환됐다. ‘대삼원’은 마작 용어로 白(백), 發(발), 中(중) 삼원패가 모두 ‘앙꼬’(똑같은 모양의 패가 같은 조를 이루는 것)를 이루었을 때(세 주인공의 극중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대삼원’이라 한다. 어지간한 행운이 따르지 않고서는 쉬이 가질 수 없는 패로서 화투로는 ‘고도리’, 포커로는 ‘스트레이트 플러시’쯤 된다고나 할까. 영화 <대삼원>에서는 신부를 연기하는 장국영과 원영의의 사랑에 빗대 쓰인다. 중화요리의 <금옥만당>, 마작의 <대삼원> 등 모두 중화권의 명절과 어울리는 제목이라 할 수 있다.

 

〈대삼원〉
〈대삼원〉
〈대삼원〉
〈대삼원〉

 

1956년생 장국영과 1971년생 원영의는 15살 차이이며, ‘유청발’이라는 이름으로 출연해 내내 장국영을 의심해 뒤쫓는 형사 역의 유청운은 1964년생이다. 당시 홍콩영화계를 대표하는 신구 배우들이 절묘한 호흡을 맞췄다고나 할까. 앞서 원영의와 <신불료정>으로 호흡을 맞춘 바 있는 유청운은 이후 <화급>(1997), <암전>(1999) 등 두기봉 영화에 단골로 출연하며 1990년대와 2000년대를 아우르는 홍콩영화계의 대표 배우가 됐다. 두기봉과 위가휘가 1996년 설립한 영화사 밀키웨이 이미지가 안정적으로 자리잡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 배우였다고나 할까. 또한 <대삼원>은 당시 인기 절정이었던 원영의의 매력이 빛나는 영화이기도 하다. 1992년 <아비와 아기>로 홍콩금상장시상식에서 신인상을 수상한 원영의는 1994년 <신불료정>, 1995년 <금지옥엽>으로 홍콩금상장시상식에서 2년 연속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룬다. 이후 왕성하게 활동한 원영의는 최근 주윤발과 함께 <원 모어 찬스>(2023)에 출연했다.

 

성규안(왼)과 황백명
성규안(왼)과 황백명

 

하세편인 만큼 기존 배우들을 색다르게 활용하는 방식도 흥미롭다. 특히 <영웅본색> <첩혈쌍웅> 등 무수히 많은 홍콩 누아르 영화에서 빌런 캐릭터로 유명한 배우 성규안이 머리를 노랗게 염색한 ‘로빈 신부’로 출연한 것도 반갑다. <첩혈쌍웅> 클라이맥스 장면에서 주윤발과 이수현이 머무르던 성당을 불바다로 만든 악당이 바로 그다. 더불어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경찰서장으로 우정출연한 황백명이다. 홍콩영화계를 대표하는 배우 겸 제작자인 그는 하세편을 비롯해 줄곧 코미디 영화만 만들어온 베테랑 제작자다. 제작과 주연을 겸한 <가유희사>(1992)에서는 주성치, 장국영과 함께 삼형제 중 장남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홍콩 누아르의 반대편에서 <난형난제>(1982), <개심귀>(1984), <최가복성>(1984) 등을 제작했으며 장국영의 영화들 중에서는 또 다른 하세편인 <화전희사>(1993), <대부지가>(1994), <구성보희>(1998) 외에 장국영과 종초홍이 주연을 맡은 <살지연>(1988)을 비롯해 장국영이 음악감독이자 조감독으로도 참여한 <야반가성>(1995)의 제작자이기도 하다. 최근까지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엽위신 감독, 견자단 주연 <엽문> 시리즈의 제작자이자 하세편 전문 제작자로서 <가유희사 2020>(2020)도 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