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영화

약 사세요, 젊어지는 약, 머리 좋아지는 약, 시간 느리게 가는 약! 영화 속 약들

성찬얼기자

<서브스턴스>가 연일 화제다. 영화 <서브스턴스>도, 영화 속 그 이름을 쓰는 ‘약’ 둘 다. 12월 11일 개봉한 <서브스턴스>는 한때 잘나가는 배우였으나 이제는 본인이 진행하던 TV 에어로빅 쇼에서도 하차 당한 엘리자베스(데미 무어)가 더 젊고 나은 나를 만들어준다는 약물 ‘서브스턴스’를 접하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다. 사실상 현실에선 인간을 중독시켜 나락으로 밀어넣는 약물이 영화에선 가끔 초현실적인 능력이라도 쥐여주며 약물의 위험성에 따른 자아 붕괴를 형상화하기도 한다. <서브스턴스>처럼 파격적인 능력을 주되 주인공의 인생을 뒤흔든 영화 속 약물들을 정리한다. 

 

<서브스턴스> ‘서브스턴스’

‘서브스턴스’의 활성제
‘서브스턴스’의 활성제
‘서브스턴스’의 안정제
‘서브스턴스’의 안정제

앞서 말했으니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자면 서브스턴스는 일단 복용이 아니고 주사하는 약물이다. 특히 꾸준히 척추(!)에 주사해 척수를 채취하는 비주얼이 여타 영화에선 감히 상상할 수도 없는 파격적인 광경을 보여준다. 주사하는 순간 (광고처럼) 더 젊고 더 나은 내가 사용자의 육체에서 분열되듯 탄생하며, 그것이 이 서브스턴스 사용자의 딜레마로 직결된다. 나와 나'는 ‘하나’이지만 서로 욕망하는 것이 다르기에 각자에게 주어진 ‘7일’이란 기한을 지키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결국 이 갈등은 세상의 시선에 나를 맞추려는 과정에서 폭발하며 참극을 불러온다. 사실 더 젊고 나은 나를 만들어준다는 조건은 혹하는데, 영화 속 약 복용 과정이 워낙 날것이라서 관객 중엔 이 약을 탐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아마…도? 

활성제 모양으로 만든 〈서브스턴스〉굿즈
활성제 모양으로 만든 〈서브스턴스〉굿즈

 

<리미트리스> ‘NZT-48’

‘NZT-48’
‘NZT-48’

인터넷 발달로 검색만 해도 뇌과학의 요점을 찾을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음에도, ‘인간은 두뇌를 10%밖에 안 쓴다더라’ 하는 과학적 괴담은 (낭설임이 증명됐지만) 호기심을 자극한다. <리미트리스>는 바로 그 지점을 SF적 상상력으로 극대화한다. 극중 에디가 복용하게 되는 신약 NZT-48은 두뇌활동을 최대한으로 끌어내 인간의 잠재력을 끌어올린다. 기억력과 사고력이 좋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두뇌회전이 빠르니 찰나의 판단력도 좋아져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이런 우수한 ‘약’들이 늘 그렇듯 부작용이 뒤따르는데, 효능이 다한 후 복용자를 무기력하게 만드는 건 물론이고 심지어 이 신약의 효과를 노리는 세력의 위협까지 더해진다. 약은 점점 떨어지는데 위기는 점점 다가오는 상황. 평범했던 에디 모라는 어떻게 이 위기를 타개할 것인가. <리미트리스>는 이 상상력을 긴장감 넘치는 스릴러로 구성해 이후 드라마로도 재탄생했다. 

‘NZT-48’의 약효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면
‘NZT-48’의 약효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면

 

<저지 드레드> '슬로모'

‘슬로모’
‘슬로모’

 

입으로 흡입하지만 대신 입과 폐가 점점 동상을 입게 된다.
입으로 흡입하지만 대신 입과 폐가 점점 동상을 입게 된다.

바쁜 일상이 연이어지면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봤을 것이다. 정신과 시간의 방에서 늘어지게 자고 싶다고. 만화 「드래곤볼」에 나오는 정신과 시간의 방은, 현실의 하루를 1년처럼 보낼 수 있게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곳이다. 영화 <저지 드레드>(2012)에도 이처럼 시간감각을 느리게 하는 가상의 약물이 나온다. 이름도 슬로모(SLO-MO, 슬로우모션의 약자와 같다)인 이 약은 입으로 흡입하면 복용자의 시간 감각을 왜곡시켜 꼭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특히 극중 묘사하는 복용자의 시선에 따르면 이 시간 감각의 변화뿐만 아니라 시각까지 예민해져 평소보다 세상을 더 화려하게 보게 되니, 마약 특유의 고양감에 무시무시한 중독성을 더한다. 과장된 색감이 다소 유치해보이긴 하지만, ‘성인용 B급 SF‘를 표방한 이 영화의 특성을 부각시켜준다. 그럴싸해보이지만 그렇다고 사용자의 신체 능력까지 좋아지는 건 아니란 점이, 고양감을 주지만 실제로는 복용자의 인생을 무너뜨리는 마약의 위험성을 보는 것 같다. 

 

<존은 끝에 가서 죽는다> ‘간장’

‘간장’
‘간장’

이름이나 모양이나 심상치 않은 약들 사이에서 이 약은 약인지도 못 알아볼 가능성이 크다. 이름부터가 ‘간장’인 이 약은 이름처럼 간장과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약효는 앞서 설명한 약들과 ‘차원’이 다르다. 간장을 맞고 나면 급격히 두뇌 회전이 빨라져 감각이 날카로워지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 시간을 다소 앞서가는 느낌마저 받는다. 이렇게만 들으면 혹할 수 있지만, 영화를 보면 절대 맞고 싶지 않을 것이다. 이 약이 사실은 액체 모양을 한 ‘생물’이라는 것이 영화에서 주는 힌트다. 주인공 데이빗은 절친한 친구 존이 다급하게 건 전화를 받고 그를 만나러 갔다가, 온갖 이상한 일에 휘말린다. 존은 보이지도 않은 괴물을 보며 살려달라 하고, 데이빗에게 스무 통의 전화를 걸었다며 앞으로 몇 년 간 자신에게 전화가 올 거라고 말하는 등 이상행동을 보이는데 데이빗 본인도 사고로 약을 주사 맞으며 지구를 구해야 하는 운명에 빠진다. 영화는 B급영화의 대명사 <환타즘> 시리즈의 돈 코스카렐리가 만든 작품답게 뭐랄까, <패컬티>와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와 <갤럭시 퀘스트>를 한데 섞은 뒤 가장 ‘쌈마이’로 만든 것처럼 느껴진다. 그래도 폴 지아마티, 할리우드 대표 크리처 배우 더그 존스가 출연한다는 점이 눈여겨볼 만한 포인트. 

영화에서 그려지는 간장의 실체
영화에서 그려지는 간장의 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