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말고 나무를 봤다! 씨플스초이스, 내맘대로 어워즈
나무를 보지 말고 숲을 보라, 그런 명언이 있지만 가끔은 아무리 아름다운 숲을 보아도 한 그루의 나무가 마음에 남곤 한다. 영화 같은 문화예술 작품을 많이 보는 이라면 때로는 누가 봐도 잘 만든 작품보다 뭔가 마음에 콕 박히는 것이 있어 기억하는 작품이 있을 것이다.
나무를 보지 말고 숲을 보라, 그런 명언이 있지만 가끔은 아무리 아름다운 숲을 보아도 한 그루의 나무가 마음에 남곤 한다. 영화 같은 문화예술 작품을 많이 보는 이라면 때로는 누가 봐도 잘 만든 작품보다 뭔가 마음에 콕 박히는 것이 있어 기억하는 작품이 있을 것이다.
인간으로의 최소한의 예의와 책임 여느 회사원들이 그렇듯 문경(류아벨)도 사회생활이 버겁다. 전시기획 TFT를 이끌며 성과를 내는 것은 차라리 쉽다. 직원 3명의 단출한 팀.
지난 14일 개봉해 순항하고 있는 영화 <빅토리>에는 한국 영화의 미래가 가득하다. 빠르게 떠오르고 있는 배우부터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신예까지, 한국 영화계에 자신의 이름을 새길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다.
한국 영화, 볼 게 없다. <핸섬가이즈>에 걸어보는 기대 당면한 한국 영화의 위기를 진단할 때면 으레 치솟은 영화 티켓값과 OTT 영향력의 확대가 원흉으로 지목된다. 스크린 독과점, 정부의 문화예술분야 지원 축소는 또 다른 불쏘시개들이다.
즐거운 곳에서는 날 오라 하여도, 내 쉴 곳은 작은 집 내 집뿐이리. 노래 ‘홈 스윗 홈’(Home Sweet Home)의 가사처럼 우리는 집을 휴식처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집에 가는 길은 대개 즐거운 편이지만, 명절 연휴 기간엔 집에 가는 길도 그렇게 편하지가 않다.
리암 니슨 신작 <커뮤터> 보셨나요. 장소만 열차 안으로 옮긴 리암 니슨표 흥미진진 액션극입니다. 안 봐도 이미 알 것 같(다고 생각하겠)지만, 알고 봐도 후덜덜 스릴이 넘칩니다. 그래서 떠올려 봤습니다. 열차에서 벌어지는 일을 그리는 영화들.
조정석과 도경수의 만남으로 화제가 된 영화 <형>이 개봉 첫 주에 100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하고 있죠. 형제의 이야기를 다룬 다른 작품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살펴보다, 각 영화 속 형제의 특이사항, 웃음, 감동 요소를 수치로 매겨 비교해 보았습니다. 재미로 봐주세요, 제발.
9월 23일은 배우 이미연과 심은하의 생일입니다. 두 사람은 각자 1987년, 1993년 데뷔 했지만 나이는 불과 한 살 터울밖에 나지 않습니다. 둘의 공통점이 또 하나 있습니다. 바로 ‘청순’의 이미지를 대표하며 어마어마한 인기를 구가했다는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