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광장〉 최성은 감독 “사실은 소지섭 배우가 1순위가 아니라…”
광장에는 절대적으로 지켜야 할 규칙이 있다. 그 규칙이 깨지는 순간, 광장에는 피와 욕망이 뒤엉킨다. 11년 전, 자신의 아킬레스건을 끊고 광장을 떠났던 남기준은 동생의 죽음으로 규칙이 깨지자 다시 돌아온다. 그의 귀환으로 광장은 다시 한번 거칠게 요동친다.
광장에는 절대적으로 지켜야 할 규칙이 있다. 그 규칙이 깨지는 순간, 광장에는 피와 욕망이 뒤엉킨다. 11년 전, 자신의 아킬레스건을 끊고 광장을 떠났던 남기준은 동생의 죽음으로 규칙이 깨지자 다시 돌아온다. 그의 귀환으로 광장은 다시 한번 거칠게 요동친다.
<잉투기>(2013) 잉여들의 인터넷 디스토피아 탈출기 ‘엄태화 유니버스’라는 관점에서 <잉투기>를 지금 다시 보면, 태식(엄태구)의 방에 붙어 있는 제임스 카메론의 <터미네이터>(1984) 1편 포스터가 유독 눈에 띈다.
“정말 이상한 세상이야. ” 사랑과 혐오, 혹은 선과 악 사이에서 배회하는 욕망의 그림자라고나 할까. 설명하기 힘든, 혹은 설명을 거부하는 기괴한 성장영화이자 로맨스 영화라는 점에서 <블루 벨벳>(1986)은 현대 영화사에 있어 가장 논쟁적인 작품 중 하나다.
지난 8월 28일 개막한 베니스국제영화제가 11일간의 대장정 끝에 지난 7일 막을 내렸다. 올해로 81번째를 맞은 베니스국제영화제는 미국 배우조합 파업으로 위축되었던 지난해에 비해 화려하게 만개했다.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은 스페인의 거장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룸 넥스트 도어>에,...
브라이언 풀러가 하차하고 〈웰컴 투 데리〉의 브래드 케인이 쇼러너를 맡을 예정
A24가 인기 호러 프랜차이즈 <13일의 금요일>의 프리퀄 시리즈인 <크리스털 레이크>를 제작한다. 안드레스 무시에티의 <그것>(2017)의 프리퀄 시리즈인, 내년 공개 예정의 HBO 맥스의 오리지널 시리즈 <웰컴 투 데리>의 프로듀서인 브래드 케인이 쇼러너를 맡을 예정이다.
개막작 〈가려진 시간〉을 시작으로 〈그해 여름〉 〈파이란〉이 야외상영된다
올해도 변산해수욕장에서 ‘부안 무빙’ 축제가 열린다. 지난해에 이어 ‘Pop-Up Cinema: Buan Moving’(팝업 시네마: 부안 무빙)이라는 이름으로 변산해수욕장에서 3편의 영화를 감상하고, 각 영화의 감독과 배우를 초청하여 관객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한다.
전 세계가 사랑하는 비글 ‘스누피’가 온다! 참을 수 없는 사랑스러움! 〈스누피의 캠핑〉
전 세계가 사랑하는 캐릭터 ‘스누피’의 새로운 모험을 담은 Apple TV+ 애니메이션 <스누피의 캠핑>이 6월 14일 공개를 확정하며 예고편을 공개했다. <스누피의 캠핑>은 해체 위기에 놓인 ‘스누피’의 비글 스카우트가 공로 배지를 얻기 위해 자연으로 떠나는 모험을 그린...
반려동물 전문 매거진, 반려동물을 위한 TV 채널 등 보유한 반려동물 특화 브랜드
배우 조한선이 반려동물 전문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대표를 맡는다. 지난 30일, 주식회사 빅프렌즈는 빅프렌즈의 신임 대표이사에 배우 조한선이 취임했다고 밝혔다. 주식회사 빅프렌즈는 1500만 명의 펫팸족(Pet+Family)을 공략하기 위해 세계 최초 반려견들을...
<너의 순간> 포스터. 사진 제공=영화로운 형제...
연애와 결혼은 정말 인간이라면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코스일까? 흔히 생애 주기라는 사회적 시계에는 탄생부터 죽음 사이에 연애와 결혼을 인간의 과제로 포함하곤 한다. 이성이든 동성이든 누군가를 사랑하며 살지 않는 사람에게는 쓸쓸함이나 외로움 따위의 감정을 느낄 것이라고 지레짐작하기도...
<애스터로이드 시티>...
2023년 관객수 코로나19 이전 절반에도 못 미쳐… 정부가 6월부터 코로나19 위기 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한국 극장가 분위기는 여전히 심각하다. 영화진흥위원회가 며칠 전 ‘2023년 4월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서’를 공개했는데 현재...
연출자의 최고작으로 손색이 없다...
<텐트 밖은 유럽 스페인편> 이미지: tvN...
※ 영화 <파벨만스>에 대한 스포일러가 포함돼있습니다....
<애프터썬> 메인포스터. 사진 제공=그린나래미디어...
어린 시절을 떠올리면 한참 빠져봤던 일본 애니메이션 하나씩은 있을 것이다. 수많은 변신소녀물이나 메카닉물, 지금까지 명맥을 잇고 있는 <포켓몬스터>나 <원피스> 등등. 그럼에도 어른이 되면 '덕스럽다'는 이미지 때문인지 일본 애니메이션과 조금씩 멀어지기 시작한다.
우리는 오늘도 한 줌 남은 에너지까지 모조리 소진시키며 고단한 하루를 보냈다. 그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번아웃을 경험하기도 한다. 지친 나를 다그치는 말은 많지만 따뜻한 위로는 늘 부족하고, 듣는 나도 어쩐지 낯간지럽다. 그래서 영화가 필요한 것일까.
고층 빌딩 가득한 도시에서 아이들의 생태적 감수성을 깨워주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생태적 감수성이란 자연의 변화를 예민하게 받아들이고, 자연에 대한 감정 이입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여행, 등산, 캠핑 등 이벤트처럼 행해지는 경험보다 더욱 좋은 방법은 동물과 자연스러운 유대감...
콘텐츠 홍수 시대 속에 ‘정주행’은 드라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화려한 비주얼과 탄탄한 스토리를 갖춘 애니메이션도 가능하다. 한 에피소드 당 2~30분 정도 짧은 이야기 속에 관람자의 부담도 덜하면서, 실사에서는 구현하기 힘든 이미지를 자유롭게 펼쳐내는 작화는 시청자의 마음을 단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