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7년 작 영화 〈산딸기〉는 50년간 의사로 헌신한 노 교수가 명예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 고향으로 향하는 여정을 담아낸 작품이다. 쇠락한 고향 집 앞에 선 그는 젊은 시절의 기억과 마주하며, 한때 그의 배우자가 될 뻔했던 사촌 사라와의 추억 속으로 빠져든다.
〈산딸기〉는 스웨덴의 거장 잉마르 베리만(1918~2007) 감독이 그의 예술적 역량이 절정에 달했을 때 연출한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영화는 죽음을 앞둔 노 교수의 시선을 통해 인생의 아름다웠던 순간들과 씁쓸한 회한을 섬세하게 그려낸다.
마흔을 앞둔 베리만 감독이 노 교수의 삶을 상상하며 빚어낸 〈산딸기〉는 그의 노년을 예견하는 일종의 서곡과 같은 작품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베리만 감독이 노년에 집필한 자서전 「환등기」를 통해 더욱 깊이 와닿는 감상이다.
「환등기」는 베리만 감독의 유년 시절의 꿈부터 말년의 고뇌에 이르기까지 그의 파란만장한 삶을 연대기순으로 담담하게 묘사한다. 탁월한 영화·연극 연출가이자 각본가였던 그는 과거와 현재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마치 그의 영화처럼 사건과 사건을 교차시키는 독특한 플롯으로 책을 구성했다.
![「환등기」 [민음사 제공]](/_next/image?url=https%3A%2F%2Fcineplay-cms.s3.amazonaws.com%2Farticle-images%2F202506%2F18818_207469_5830.jpg&w=2560&q=75)
부유한 목사 집안에서 태어난 베리만 감독은 불화하는 부모, 엄격한 아버지, 우울한 어머니, 그리고 어머니의 사랑을 갈망하며 형과 벌였던 갈등 속에서 성장했다. 부모는 끊임없이 다퉜고, 어머니는 사랑을 찾아 방황했지만, 자녀들 때문에 결국 가정을 지키기로 결심했다. 혼란스러운 가정 환경 속에서 그의 유일한 안식처는 영화였다.
어린 베리만은 설탕 상자 위에 시네마토그래프를 올려놓고 등유 램프를 켜 하얀 벽에 빛을 투사하며 영화를 상영하곤 했다. 그 순간, 세상은 고요하고 평화로워졌다. 할머니와 함께 매주 영화를 보고, 삼촌이 만들어준 시네마토그래프와 환등기를 만지작거리면서 영화에 대한 그의 열정은 점점 더 깊어져 갔다.
베리만 감독은 성장하여 마침내 위대한 영화감독이 되었다. 그는 직접 대본을 쓰고, 촬영 현장을 꼼꼼하게 관리하며 명성을 쌓았다. 그에게 즉흥적인 연출은 "낯선 일"이었다. 그는 모든 것을 사전에 계획하는 완벽주의자였다. "편집은 촬영하는 순간에 이루어지고 리듬은 대본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이 그의 철칙이었다.
그는 완벽한 준비를 마친 후, 촬영 현장에서 마법 같은 순간이 펼쳐지기를 기다렸다. 몇 달에 걸쳐 지칠 정도로 완벽하게 준비한 결과가 단 몇 초 만에 포착되는 순간을 갈망했다. "연습하지 않은 표정이 찰나에 탄생하고 카메라는 그걸 포착한다…이전에 본 적이 없던, 결코 파악되지 않은 그 고통은 몇 초 머물다가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하지만 필름 조각 속에 그 순간이 담겼다. 어쩌면 나는 그 찰나를 기다리며 사는지도 모른다. 진주조개를 캐는 어부처럼."

몇 차례의 이혼, 탈세 의혹,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촬영 현장, 암으로 고통받는 잉그리드 버그만과 함께 영화 〈가을 소나타〉를 촬영하며 그녀에게 뺨을 맞았던 일, 그의 분신과도 같았던 배우 리브 울만과의 사랑, 영화를 만들고 싶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창의력이 고갈되는 것에 대한 아쉬움, 모든 예술 활동이 결국 "헛수고"로 끝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등, 그의 삶은 수많은 좌절과 실패, 그리고 간혹 찾아오는 승리의 순간들로 가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삶을 관통하는 것은 영화에 대한 뜨거운 열정이었다. 베리만 감독은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페데리코 펠리니, 구로사와 아키라, 루이스 부뉴엘 등 그가 존경했던 거장들처럼 '영화라는 꿈'에 빠져 헤어나오지 못했다.
"영화가 기록이 아니라면 그것은 꿈이다… 영화라는 꿈, 영화라는 음악. 어떤 예술 형식도 영화만큼 우리 일상의 의식을 뛰어넘고, 우리의 감정을 향해 돌진하고, 영혼이 어둑어둑해지는 방 깊숙이까지 들어가지 못한다"
2001년 도서출판 '이론과 실천'이 「마법의 등」이란 제목으로 출간했다가 절판된 책이다. 24년 만에 민음사가 「환등기」란 제목으로 선보였다. 이번엔 스웨덴어판 정본을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