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피드] 로다주, 톰 히들스턴 돌아온다! 〈어벤져스: 둠스데이〉 27인 캐스팅 라인업 공개
마블 스튜디오가 <어벤져스: 둠스데이>의 전체 캐스팅을 공개했습니다. 라인업에는 빌런 '닥터 둠'으로 돌아오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로키' 톰 히들스턴, '토르' 크리스 헴스워스 등이 포함돼 있는데요. 아래에서 27인의 캐스팅 라인업을 확인해 보세요.
마블 스튜디오가 <어벤져스: 둠스데이>의 전체 캐스팅을 공개했습니다. 라인업에는 빌런 '닥터 둠'으로 돌아오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로키' 톰 히들스턴, '토르' 크리스 헴스워스 등이 포함돼 있는데요. 아래에서 27인의 캐스팅 라인업을 확인해 보세요.
〈둠스데이〉는 2시간 반, 〈시크릿 워즈〉는 3시간 정도 될 것이라 예상
MCU 최후의 심판의 날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2018)와 <어벤져스: 엔드게임>(2019)의 성공을 끝으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를 떠났던 루소 형제가, 2026년 5월 1일 개봉 예정인 <어벤져스: 둠스데이>와 2027년 5월 7일 개봉 예정인...
2008년 영화 〈아이언맨〉으로 시작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는 지난 10여 년간 전 세계 대중문화의 흐름을 주도하며 전례 없는 성공을 거두었다. 최근 출간된 「마블 인사이드」(다니비앤비)는 단순한 영화 제작사를 넘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잡은 마블 스튜디오의...
아이언맨....아니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MCU(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복귀한다. 솔직히 이 글의 내용을 생각할 때까지만 해도 그냥 정말 루머일 줄 알았다. 복귀를 하더라도 그냥 회상씬이나 과거씬 일부 정도일 거라고 생각했고, 아이언맨으로서의 복귀가 아닌 다른...
〈어벤져스〉 시리즈 전면 개편 발표 후 메인 빌런 닥터 둠으로 확정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의 부흥기를 이끈 배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복귀한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2008년 <아이언맨>부터 2019년 <어벤져스: 엔드게임>까지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로 출연하며 MCU의 주축 인물로 활동했다.
미국의 사진가 디앤 아버스(Diane Arbus, 1923~1971)는 그 명성에 비해 한국에 알려진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내 기억엔 2000년대 초반 경으로 알고 있다. 주로 미술 전공자나 유별한 사진 애호가 등에 의해 새삼 각광받았었다.
전 세계가 기다려 온 박찬욱 감독의 신작 <동조자>가 공개됐다. 쿠팡플레이 독점 HBO 오리지널 리미티드 시리즈 <동조자>는 비엣 타인 응우옌 작가의 동명 소설을 각색한 작품이다. 자유 베트남이 패망한 1970년대, 미국으로 망명한 베트남 혼혈 청년이 남베트남과 미국에 잠입한...
쉬는 시간마저 캐릭터의 말투를 사용했다는 일화
<트로픽 썬더> 속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열연에 숨은 비화가 공개됐다. 대니 맥브라이드는 'GQ'와의 인터뷰에서 <트로픽 썬더> 촬영에 있었던 일화를 밝혔다. 해당 영화에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연기에 너무나도 몰입한 나머지 실제 흑인이 되는 수술까지 받고 흑인...
쿠팡플레이로 4월 공개 예정
박찬욱 감독이 참여한 신작 드라마 <동조자>가 쿠팡플레이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HBO 오리지널 시리즈 <동조자>는 박찬욱 감독과 돈 맥켈러 감독이 공동 집필한 드라마로, 동명 소설을 드라마에 맞게 각색했다.
〈오펜하이머〉의 엄청난 흥행과 수익에 힘입어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영화 <오펜하이머>로 총 1억 달러(한화 1310억 원)에 달하는 수입을 얻었다. 지난 12일(현지 시각) 미국 연예매체 '버라이어티'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최종 급여는 약 1억 달러에 육박할 것"이라고 보도하며 "이는 기본 급여, 흥행...
아카데미 최다 노미네이트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가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13개 부문 후보에 오르며 최다 노미네이트되었다. <오펜하이머>는 작품상, 감독상(크리스토퍼 놀란), 남우주연상(킬리언 머피), 남우조연상(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여우조연상(에밀리 블런트), 각색상(크리스토퍼...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그레고리력'을 사용하지만, 분야마다 한 해를 열고 닫는 순간은 모두 다를 것이다. 1월은 새해이지만, 영화계에선 이제 한 해를 닫는 느낌이기도 한데, 미국 현지의 가장 큰 시상식 골든글로브와 아카데미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