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기사 카테고리

Movie & Entertainment Magazine from KOREA

검색어 힘쎈여자

[인터뷰] 〈멜로무비〉 박보영 “무비로 살았던 그때가 다른 의미로 행복했다”

[인터뷰] 〈멜로무비〉 박보영 “무비로 살았던 그때가 다른 의미로 행복했다”

최근 박보영 배우는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조명가게> 그리고 <멜로무비>까지. 기존의 밝고 사랑스러운 이미지의 캐릭터와는 다른 새로운 캐릭터들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작품 <멜로무비>에서 그가 맡은 인물 김무비도 겉으로는 시니컬하고 주변에 좀처럼 마음을 열지 않는다.

2025년 2월 20일|추아영
벡델데이2024 현장, 〈LTNS〉 〈졸업〉 〈힘쎈여자 강남순〉 등을 만든 벡델리안들과의 만남

벡델데이2024 현장, 〈LTNS〉 〈졸업〉 〈힘쎈여자 강남순〉 등을 만든 벡델리안들과의 만남

성평등의 가치를 좇는 창작자들과 한 공간에서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가 얼마나 될까. 매년 차별과 소외를 벗어난 성평등 콘텐츠를 발굴해 온 벡델데이가 올해로 5회째를 맞았다. 벡델데이는 한국영화감독조합(DGK)이 주최·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후원하는 행사로, 올해는...

2024년 9월 20일|김지연
영화·시리즈를 보는 균형 잡힌 눈! 색다른 영상매체 관람의 기준을 제시하는 행사, '벡델데이'란?

영화·시리즈를 보는 균형 잡힌 눈! 색다른 영상매체 관람의 기준을 제시하는 행사, '벡델데이'란?

여러분은 영화와 시리즈를 어떤 기준으로 관람하고 판단하는가? 배우? 스토리? 영상미? 대사? 여기, 영화와 시리즈를 보는 기준을 ‘성평등’에 둔 이들이 있다. 한국영화감독조합(DGK)에서 주최·주관하는 ‘벡델데이’는 영화를 보는 기준이 ‘성평등’인 행사로, 2020년부터 시작되어...

2024년 8월 31일|김지연
내가 제다이가 될 상인가? 한국배우 최초 ‘스타워즈’ 시리즈에 출연한 이정재의 〈애콜라이트〉 외 6월 첫째 주 OTT 신작 (5/29~6/5)

내가 제다이가 될 상인가? 한국배우 최초 ‘스타워즈’ 시리즈에 출연한 이정재의 〈애콜라이트〉 외 6월 첫째 주 OTT 신작 (5/29~6/5)

〈조폭인 내가 고등학생이 되었습니다〉, 〈센강 아래〉, 〈오멘: 저주의 시작〉, 〈나는 대놓고 신데렐라를 꿈꾼다〉, 〈애콜라이트〉 등

제다이가 된 한국 배우를 보게 될 줄이야. . 그 꿈같은 일이 이번 주 OTT 신작에서 벌어진다. 한국 배우 최초 이정재가 ‘스타워즈’ 시리즈에 출연한 작품이 드디어 공개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이른 더위를 식혀줄 공포영화 두 편이 안방을 서늘하게 할 듯싶다.

2024년 5월 31일|씨네플레이
표예진 출연 티빙 시리즈〈나는 대놓고 신데렐라를 꿈꾼다〉5월 첫 공개!

표예진 출연 티빙 시리즈〈나는 대놓고 신데렐라를 꿈꾼다〉5월 첫 공개!

신(新)데렐라 표예진의 인생 역전 하이브리드 로맨틱 코미디

표예진이 <나는 대놓고 신데렐라를 꿈꾼다> 속 신재림 캐릭터로 꿈꿔왔던 욕망을 쟁취한다. 오는 5월 첫 공개될 티빙 오리지널 시리즈 <나는 대놓고 신데렐라를 꿈꾼다>는 현실의 벽에 부딪혀 신데렐라가 되기로 마음먹은 여자가 사랑 따위 믿지 않는 백마 탄 재벌 왕자를 만나 벌어지는 욕망...

2024년 4월 30일|추아영
화제의 중심에 선 'SNL 코리아' 시즌5, 2회 호스트는 배우 이유미!

화제의 중심에 선 'SNL 코리아' 시즌5, 2회 호스트는 배우 이유미!

‘웃긴 여자’ 이유미의 모습을 제대로 보여드리겠다고 출연 소감을 밝혔다

첫 회부터 이른바 ‘입틀막’ 장면 방송으로 화제를 모은, 쿠팡플레이의 코미디쇼 ‘SNL 코리아’ 리부트 시즌5의 2회 호스트로 이유미가 등장한다. 입틀막 장면의 경우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설연휴 명절 대국민 영상메시지를, 가수 변진섭의 노래 ‘우리의 사랑이 필요한 거죠’를 대통령실...

2024년 3월 9일|주성철
올해 씨네플레이에서 가장 사랑받은 기사는? 씨플 독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콘텐츠로 돌아보는 2023년

올해 씨네플레이에서 가장 사랑받은 기사는? 씨플 독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콘텐츠로 돌아보는 2023년

그렇게 가지 말라고 붙잡는데도 기어코 가버렸다. 2023년 말이다. 올해는 유난히도 사건 사고가 많았던 것 같은 느낌은 기분 탓일까. ‘영화의 위기’ 등의 수식어는 23년을 설명할 때 빠질 수 없는 키워드였지만, 그럼에도 올해 역시 흥행한 영화와 시리즈는 속속들이 등장했다.

2023년 12월 29일|김지연
총 29개 항목 중 1-20개